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25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다이어트를 할 때 혹은 건강한 몸을 만들 때 필수적으로 살펴야할 부분은 하루 총 칼로리 섭취량이다. 그런데 누구나 잘 알고 있을 것만 같은 ‘칼로리’, 막상 정의해보려 하면 쉽지 않다. 정확한 의미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는 것.

칼로리는 무엇일까?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우리가 섭취한 음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이다.

counting-calories-different-food-written-450w-727792900.jpg

칼로리에 대한 가장 흔한 오해는 ‘저칼로리’ 식사가 건강에 좋다는 인식이다. 칼로리 섭취량이 적을 때 자기 관리를 잘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자리하면서 생긴 오해다. 하지만 사실상 우리 몸은 저칼로리가 아니라 적정량의 칼로리가 필요하다.


숨을 쉬고 심장이 뛰고 말을 하고 걷는 등 일상의 모든 몸의 기능이 칼로리를 섭취했을 때 가능하다.


칼로리가 필요 이상 몸에 들어오면 지방 형태로 저장돼 살이 찌지만, 부족해도 기운이 없고 일상 활동을 생산적이고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어려워진다.


그렇다면 적당한 칼로리 섭취량은 어느 정도일까? 이는 각 개인의 활동량, 현재 체중, 성별,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진다. 가령 130파운드(약 59kg) 정도의 평범한 체중을 가진 활동적인 여성이라면 대략 하루 2000칼로리 정도의 보충이 필요하다. 단 체중 감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유지만 하면 되는 여성을 기준으로 했을 때다. 체중 감량을 해야 한다면 적정 칼로리 섭취량은 또 달라진다.


자신에게 적정한 하루 칼로리 섭취량을 잘 모르겠다면 의사나 헬스 트레이너 등 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하지만 요즘에는 권장 칼로리를 계산하는 어플들이 많으니, 이를 통해서도 대략적인 계산이 가능하다.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은 저칼로리 식사를 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느끼기 쉬운데, 급작스러운 체중 감량을 필요로 하는 운동선수 등이 아니라면 굳이 칼로리 섭취량을 지나치게 제한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이로 인해 예전보다 살이 찌기 쉬운 몸이 된다.

 

덜 먹는 만큼 살이 빠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나치게 적게 먹으면 신진대사가 느려져 결국 점점 살이 잘 찌는 체질로 바뀐다. 요요가 올 뿐 아니라, 오히려 예전보다 더 비만이 될 확률이 높다는 것.


몸에 너무 적은 양의 칼로리가 들어오면 우리 몸은 음식이 부족한 ‘기아 모드’로 인식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가급적 우리 몸에 축적된 칼로리를 태우려 하지 않는다. 이런 현상을 바로 신진대사가 느려졌다고 표현한다.


그런데 다이어트가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살기 위해서도 ‘소식’은 필요하지 않을까? 그렇다. 단 소식에 대해 오해를 하지 않아야 한다. 소식은 저칼로리 식사라기보다는 적정량의 식사에 가깝다. 즉 과식이나 폭식을 하지 말라는 의미로 보는 것이 보다 정확하다. 칼로리 섭취량이 많은 사람은 현재 먹는 식사량의 15%만 줄여도 노화 과정을 늦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저탄수화물 고단백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는 탄수화물이 단백질보다 칼로리가 높다는 의미일까? 그렇지 않다. 탄수화물과 단백질 모두 그램당 약 4칼로리의 열량이 나간다. 탄수화물 역시 우리 몸이 꼭 필요로 하는 영양성분이므로,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 비타민, 각종 미네랄과 함께 꼭 먹어야 한다. 설탕과 같은 정제된 탄수화물만 주의하면 된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283953/칼로리-칼로리하는데-칼로리가-도대체-뭐죠/

  1. 위염과 대장암에 양배추 왜 좋을까?

    위 건강을 위해 아침에 양배추를 먹는 사람들이 많다. 양배추가 위장병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헌데 의학적으로 실제 효과가 인정되고 있을까? 이는 세계 각국의 의학 논문을 통해서 확인된 사실이다. 위의 점막이 헐어서 상처가 나는...
    Date2019.03.28 Byflexmun Views384
    Read More
  2. TV 보면서 과자먹는 아이 대사증후군 위험

    TV를 보면서 과자를 먹는 아이는 심장병, 당뇨병 등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5일,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내분비학회 연례 회의에서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TV를 보거나 게임을 하는 등 스크린 앞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며 간식을 먹는 1...
    Date2019.03.26 Byflexmun Views301
    Read More
  3. 자동차 배기가스 남성의 능력을 감소시킨다.

    자동차 배기가스에 자주 노출되면 남성의 성 능력이 감소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배기가스를 통해 독성의 미세먼지를 흡입하면 발기 부전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는 것이다. 중국 광저우의과대학 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자동차 배기가스가 성 반응에 미치는...
    Date2019.03.21 Byflexmun Views371
    Read More
  4. 달걀 영양 덩어리 ??? 콜레스테롤 덩어리???

    달걀은 논쟁적인 식품이다. 단백질이 풍부하지만, 콜레스테롤도 잔뜩 들어 있기 때문이다. 달걀, 먹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지난해 중국 베이징 대학교,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등의 합동 연구진은 매일 달걀을 하나씩 먹은 사람들이 먹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
    Date2019.03.20 Byflexmun Views266
    Read More
  5. 버섯을 먹으면 치매를 예방한다.

    버섯을 매주 2인분 정도 먹으면 나이가 들어가면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뇌 기능 쇠퇴 증상을 반으로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주일에 300그램 정도의 버섯을 요리해 먹으면 경도 인지 장애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싱가포르국립...
    Date2019.03.14 Byflexmun Views360
    Read More
  6. 다먹는 프로바이오틱스 나두 먹어야하나

    위와 장 등 소화기에 유익한 박테리아가 균형 잡힌 생태계를 유지하면 몸의 건강이 좋아진다. 프로바이오틱스라 불리는 유익균은 소화를 돕고, 비타민을 생성하며, 해로운 박테리아가 번식하는 걸 막아준다. 연구에 따르면 나이가 들수록 체내 유익균이 줄어든...
    Date2019.03.13 Byflexmun Views366
    Read More
  7. 칼로리 도대체 뭘까요?

    다이어트를 할 때 혹은 건강한 몸을 만들 때 필수적으로 살펴야할 부분은 하루 총 칼로리 섭취량이다. 그런데 누구나 잘 알고 있을 것만 같은 ‘칼로리’, 막상 정의해보려 하면 쉽지 않다. 정확한 의미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는 것. 칼로리는 무엇일까? 간단하게...
    Date2019.03.12 Byflexmun Views250
    Read More
  8. 저탄수다이어트 심방세동 위험 높인다.

    장기적으로 볼 때 저탄수화물 다이어트가 심장에 좋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중산대학교 샤오둥 좡 박사팀이 심방세동을 앓고 있지 않은 1만 3000여 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22년간 건강 기록을 추적 분석했다. 연구 참여자에게 매일 66가지 영양 요...
    Date2019.03.08 Byflexmun Views329
    Read More
  9. 미세먼지 인공눈물과 마스크 사용법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驚蟄)이지만 봄기운보다는 여전히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사상 최장, 최악의 미세먼지 경보에 ‘목이 칼칼하다’라거나 ‘눈이 간지럽다’ 등 신체 증상을 호소하는 시민들이 많다. 현재 외...
    Date2019.03.07 Byflexmun Views341
    Read More
  10. 과학적으로 검증된 스테미너에 좋은 음식

    남성이 40대 중반을 넘어서면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감소하면서 갱년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테스토스테론 분비량이 감소하면 피로감, 우울증, 무력감이 몰려오고, 근골격의 양은 떨어지고 체지방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
    Date2019.03.05 Byflexmun Views28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