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2019.05.03 12:20

과식이 해로운 이유

조회 수 59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많은 사람들이 습관처럼 과식을 한다.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식탐을 뿌리치기 힘들다.  장수 노인들이 “약간 모자란 듯한 느낌이 들 때 수저를 내려놓는다”고 하지만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느긋한 포만감을 주는 과식, 왜 위험할까?

eating-junk-food-nutrition-dietary-450w-378935893.jpg

우선 과식은 과체중과 비만의 원인이 된다. 과체중은 단순히 체중이 정상보다 많은 상태이고  비만은 우리 몸에 필요한 지방보다 더 많은 양의 지방이 있는 것을 말한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과체중 중에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과 같은 체중 증가와 관련된 질병이 발생할 위험이 높으며 이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된 상태를 비만이라 한다. 과체중은 정상체중과 비만의 중간 정도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


과식을 하면 탄수화물, 단백질 등 칼로리 섭취가 많아져 신체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로 쓰이지 못하고 체내에 남는 칼로리가 많아지게 된다. 남은 칼로리는 지방세포로 저장되고 트리글리세리드라 불리는 중성지방이 된다.


남은 지방이 중성지방으로 전환돼 쌓이면 살이 찌는 것이다. 지방 3500kcal가 축적되면 0.45kg 정도의 체중이 증가할 수 있다. 지방 7000~8000kcal가 체내에 쌓인다면 1kg 정도의 체중이 늘어날 수 있다.


체내에서 칼로리를 에너지로 사용하고 그 나머지를 지방으로 저장하기까지는 음식섭취를 시작한 시점부터 4~8시간이 걸린다. 만약 과식을 한 후, 신체활동이 없다면 최대 8시간 안에 지방으로 축적될 가능성이 높다.


식단 조절 및 운동을 하면 체내에 쌓인 중성지방을 대사(변화)시켜 다이어트 효과를 볼 수 있다. 결국 평소 과식을 하지 않으면 중성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막아 살이 찌지 않을 수 있다. 식사 때 많이만 먹지 않아도 힘든 다이어트 고통을 덜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암의 원인 가운데 음식 관련이 30%를 차지한다고 했다. 흡연 15 ~ 30%. 만성 감염 10 ~ 25% 등이다.


우리나라의 암은 서구형 암으로 진행하고 있다. 미국, 유럽처럼 칼로리 과다 섭취로 인한 대장암, 전립선암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 암 발생 1위도 지난해부터 위암에서  대장암으로 바뀌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


과식 가운데 육류 등 동물성 지방의 과다 섭취가 위험하다. 기름에 튀긴 동물성 지방은 더욱 나쁘다. 칼로리가 매우 높아 몸안에서 중성지방으로 쌓일 가능성이 높아 비만, 당뇨병, 암 등의 질병을 앓을 수 있다.


살이 찐 후에야 단식 등을 통해 다이어트를 한다면 건강을 해치기 쉽다. 약간 모자란 듯한 느낌이 들 때 수저를 내려놓지는 못하더라도 과식은 피해야 한다. 여기에 채소와 과일을 자주 먹고, 적절한 운동을 한다면  과체중, 비만을 막고 성인병, 암 등을 예방할 수 있다.


http://kormedi.com/1291932/%ec%98%a4%eb%8a%98%eb%8f%84-%eb%8a%90%ea%b8%8b%ed%95%9c-%ed%8f%ac%eb%a7%8c%ea%b0%90-%ea%b3%bc%ec%8b%9d-%ec%99%9c-%ec%9c%84%ed%97%98%ed%95%a0%ea%b9%8c/


  1. 과식이 해로운 이유

    많은 사람들이 습관처럼 과식을 한다.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식탐을 뿌리치기 힘들다. 장수 노인들이 “약간 모자란 듯한 느낌이 들 때 수저를 내려놓는다”고 하지만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느긋한 포만감을 주는 과식, 왜 ...
    Date2019.05.03 Byflexmun Views599
    Read More
  2. 면역력을 높여주는 식품 9가지

    외부에서 들어온 병원균에 저항하는 힘, 즉 면역력을 강화시키면 질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자연적인 면역력은 음식을 통해서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하퍼스바자닷컴’ 등에 소개된 면역력을 높이는 음식 9가지를 알아본다. 1. 살코기 등 단...
    Date2019.05.01 Byflexmun Views316
    Read More
  3. 밤에 화장실 때문에 자주 깬다면 확인해보자

    밤중에 화장실에 가고 싶어 잠자리에서 자주 일어나야 하는 사람들이 있다. 왜 그럴까. 잠자는 동안에도 신장(콩팥)의 혈류량이 증가하면서 소변이 생성되는데 이 때문에 수면 장애가 있다거나 옆에 있는 사람이 코를 심하게 고는 등의 이유로 잠이 깨고 나면 ...
    Date2019.04.30 Byflexmun Views458
    Read More
  4. 다이어트 훼방꾼 군것질 식탐과 무슨관계?

    먹고 나면 괜히 찔리는 음식들이 있다. 보통 군것질을 했을 때 그렇다. 음식을 먹은 것뿐인데, 왜 죄책감이 드는 걸까? 군것질하는 행위는 ‘길티 플레저(guilty pleasure)’라고도 부른다. 죄책감이 들지만 한편으론 즐겁기 때문에 하는 행위라는 의미다. 심지...
    Date2019.04.25 Byflexmun Views410
    Read More
  5. 아침을 안먹으면 심장병 위험 87%나 올라간다.

    아침 식사를 거르면 심장질환에 걸릴 위험이 비약적으로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 연구진은 40세 이상 성인 6500여 명을 대상으로 18년간 설문 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끝에 이같이 밝혔다. 참가자들은 18년 전 설문조사를 시작할 당...
    Date2019.04.24 Byflexmun Views369
    Read More
  6. 레몬 워터 정말 살빠지는데 도움이 될까?

    레몬 한 조각을 물에 띄워 마시는 게 유행이다. 물맛이 상큼해지는 장점도 있으려니와 블로그나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레몬수가 다이어트에 좋다는 믿음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레몬은 신진 대사를 촉진하고 몸속 독소를 씻어내는 디톡스 효과가 뛰어나서 ...
    Date2019.04.23 Byflexmun Views405
    Read More
  7. 라이코펜 제왕 열대과일 "걱"을 알고 계시나요?

    타임(TIME)지에서 발표한 ‘심각한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힘을 가진 10 FOODS’ 중 하나로 ‘라이코펜’이 소개된 가운데 라이코펜이 가장 많이 들어있다는 과일 ‘걱’이 화제다. 라이코펜은 붉은색을 띠게 하는 식물성 색소다. 국립암센터-국가암정보센터는 “전립...
    Date2019.04.22 Byflexmun Views425
    Read More
  8. 잘못알고 있는 수면 상식

    수면에 관한 근거 없는 믿음이 대중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대학교 랑곤 의과대학 연구팀은 8000여개의 웹사이트를 분석해 수면에 관해 일반인들이 가장 잘 알고 있는 20가지를 확인했다. 연구팀의 레베카 로빈스 ...
    Date2019.04.17 Byflexmun Views316
    Read More
  9. 흡연보다 조기사망률을 높이는 식습관

    짜게 먹거나 채소를 덜 먹는 등 나쁜 식습관 탓에 숨지는 사람이 세계적으로 매년 1100만 명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 대학교 등 연구진은 195개국의 식습관을 조사한 결과, 나쁜 식습관은 매년 700만 명의 조기 사망 원인으로 지목되는 흡...
    Date2019.04.12 Byflexmun Views454
    Read More
  10. 식욕 남녀 호르몬 차이가 있다.

    성별 차이보다 개인 차이를 중시하는 문화가 형성되고 있다. 하지만 남성과 여성의 생리학적 차이가 가져오는 여러 상이점이 존재하는 것은 여전한 사실이다. 식탐 역시 남녀가 다소의 차이를 보인다. 누구나 음식에 대한 욕구가 있지만, 여성의 음식에 대한 ...
    Date2019.04.11 Byflexmun Views40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21 Next
/ 12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