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2016.03.16 08:09

어깨관절 해부학

조회 수 7854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 견관절 복합체(Shoulder Complex)란?

348d7b8d1b2ef0ed32e07b5dc41e93d0.jpg

 

 

 

견관절 복합체(Shoulder complex)란?

 

상완골(Humerus), 견갑골(Scapula), 쇄골(Clavicle) 이렇게 총 3개의 뼈들이

관절와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 흉쇄관절(Sternoclavicular joint), 

견쇄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견흉관절(Scapulothoracic joint)로 연결되어 있는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어깨 또는 견관절(shoulder joint)이라고 하면

'상완골두(humeral head)'와 '견갑골의 관절와(glenoid fossa)'가 만나서 이루어지는 

관절와상완관절을 말하는 것이지만,

 

위에서 언급한 모든 관절들이 어깨의 움직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위의 모든 관절들을 포함하여 

견관절 복합체(shoulder complex)라고 표현합니다. 

 

 

 

2. 관절와상완관절(glenogumeral joint)

 

 

견관절 복합체 1-2.jpg

 

 

 

관절와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은?

 

볼록(convex)한 면을 갖는 '상완골두(humeral head)'와

오복(concave)한 면을 갖는 '견갑골(scapula)의 관절와(glenoid fossa)'가 만나서 이루어지는 관절입니다.

 

이 관절은 '가늘고 작은 골프티(golf tee)'위에

'커다란 골프공'이 얹혀져 있는 것과 비슷한 형상이라

인체에서 가장 움직임이 자유롭지만 그만큼 불안정하기도 한 관절입니다. 

 

이렇게 불안정한 관절에서 자유로운 움직임이 일어나기 위해 

나름대로 골학적(osteologic)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주변 구조물들의 도움도 받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관절와상완관절(glenogumeral joint)에

안정성을 제공하는 인자(因子)들에 대하여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절와상완관절을 구성하고 있는 '상완골두'와 '견갑골의 관절와'는 불안정한 관절에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일정한 각도(angle)를 이루고 있습니다. 

 
 
 

견관절 복합체 1-3.jpg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상완골두(humeral head)는 상완골체(humeral shaft)에 대하여

135도의 경사도(inclination)를 가지고 있으며,

'견갑골의 관절와(glenoid fossa)'는 5도의 상방기울기(upward tilt)를 가지고 있습니다.

 

 

견관절 복합체 1-4.jpg

 

 

 

이처럼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절벽 같은 관절면에 상완골두가 메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경사진 비탈길에 얹혀져 있는 것'과 같은 효과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절벽에 메달린 녀석보다는

바탈길에 있는 녀석의 표정이 밝아보이지요?^^

 
 

견관절 복합체 1-5.jpg

 

 

 

이러한 효과는 '관절의 상부 구조물로부터 제공되어지는 힘(SF)'과 '중력의 힘(GF)'이 합해져 생성되는 합력(SGF)이 

'견갑골의 관절와'에 압박력(compression force)을 가하게 되어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SF + GF = SGF

 

상완골두가 견갑골의 경사진 관절면 위에 있기 때문에 압박력(SGF)을 더 안정적으로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것입니다.

 

이러한 안정성 제공 원리 때문에, 만약 '바르지 못한 자세를 오랜기간 취하고 있는 경우'나 '어떠한 이유에서든 상완골(humerus)과 견갑골의 

위치 정렬이 바르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제공되었을 경우'에는 주변 구조물에 부하가 걸리게 되고, 통증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3. 관절와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에 정적(static) 또는 동적(dynamic) 안정성 제공을 위한 주변 구조물

 
 

견관절 복합체 1-6.jpg

 

 

 

 

정적안정성(static stability)을 제공하는 구조물로는 '관절낭(joint capsule)', 

'관절와상완인대(glenohumeral ligament)', '오훼상완인대(coracohumeral ligament)'가 있습니다.

 

관절와상완인대(glenohumeral ligament)는

상관절와상완인대(superior glenohumeral ligament),

중관절와상완인대(middle glenohumeral ligament),

하관절와상완인대(inferior glenoumeral ligament)로 나뉘어

 

상·중관절와상완인대는 관절의 전방을 지지하고,

하관절와상완인대는 관절의 하방을 지지합니다.

 

 

이 관절낭 및 관절와상완인대는

회전근개 근육(rotator cuff muscle)들과 섞이게 되어,

 

회전근개 근육들이 수축하게 되면 잡아당겨져서 팽팽해(tightness)지므로

안정성을 한층 더 제공해 주게 됩니다.

 

이렇게 정적안정성에 부가적인 도움을 주는

회전근개(rotator cuff)에 대하여

아래에서 계속 살펴봅시다.

 

 

 

동적안정성(dynamic stability)을 제공하는 구조물인

회전근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견관절 복합체 1-7.jpg

 

견관절 복합체 1-8.jpg

 

 


 

 

회전근개는 SIT's

즉 극상근(supraspinatus), 극하근(infraspinatus),

소원근(teres minor), 견갑하근(subscapularis)

이렇게 총 4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극상근(supraspinatus)은

상완골대결절(greater tubercle of humerus)의 최상부에

정지부(insertion)를 가지고 있어서

 

이곳에 관절낭과 섞여서 붙음으로

관절와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의 천장을 형성하여

지지하고 있습니다.

 

 

 

▣ 극하근(infraspinatus)과 소원근(teres minor)

상완골대결절(greater tubercle of humerus)의 중간부에

정지부(insertion)를 가지고 있어서

 

이곳에 관절낭과 섞여서 붙음으로

관절와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의 후방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 견갑하근(subscapularis)

상완골소결절(lesser tubercle of humerus)에

정지부(insertion)를 가지고 있어서

 

이곳에 관절낭과 섞여서 붙음으로

관절와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의 전방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4 '동적안정성(dynamic stability)을 제공하는 근육들'의 안정성 제공 원리

 

 

 

견관절 복합체 1-9.jpg

 

 

 

위의 그림은 견관절 외전(abduction) 시에 근육들이 제공하는 힘의 방향(direction of force)을 표현한 그림입니다.

 

외전(abduction) 동작은 삼각근(deltoideus)을 주동근(major muscle)으로 사용합니다.

 

이와 동시에 극상근(supraspinatus)이 수축하여 관절낭(joint capsule) 상부를 팽팽하게 만들어 주어 상완골두(humeral head)가 위로 밀고 올라오지 못하도록 지지함으로써 '상완골두가 상방으로 구르기(rolling)가 일어나는 동시에 하방으로 미끄러짐(sliding)이 같이 일어나도록' 해주어, 같은 자리에서 구르기(rolling)가 가능하도록 합니다.

 

이에 더하여

상완이두근 장두(long head of biceps brachii)

다관절 근육(multi joint muscle)으로서 같이 수축하게 되는데,

 

상완이두근 장두의 건(tendon of biceps brachii long head)이

상완골(humerus)의 대결절(greater tubercle)과 소결절(lesser tubercle) 사이인

결절간구(intertubercular groove)를 통과하여

상완골두(humeral head)의 상방(superior part)과 전외측(anterolateral part)을 지지해 줌으로써

극상근(supraspinatus)과 마찬가지로 하방으로의 압력을 제공해주게 되므로,

 

상완이두근 장두가 '상완골두가 상방으로 구르기(rolling) 시에

하방으로 미끄러짐(sliding)을 만들어 주는데 한 몫'을 하게 됩니다.

 

- 머슬로 박상원 선생님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6319
    read more
  2. 어깨관절 해부학 두번째

    견관절 복합체(shoulder complex) 제2부 ① 어깨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관절 중 흉쇄관절(sternoclavicular joint)과 견쇄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그리고 견흉관절(scapulothoracic joint)에 대해서 알아보자. 흉쇄관절(sternoclavicular joint)은 '...
    Date2016.03.16 Byflexmun Views27598
    Read More
  3. 어깨관절 해부학

    1. 견관절 복합체(Shoulder Complex)란? 견관절 복합체(Shoulder complex)란? 상완골(Humerus), 견갑골(Scapula), 쇄골(Clavicle) 이렇게 총 3개의 뼈들이 관절와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 흉쇄관절(Sternoclavicular joint), 견쇄관절(Acromioclavicular...
    Date2016.03.16 Byflexmun Views78540
    Read More
  4. 운동량이 중요하지 않다.

    운동을 할수록 성장을 위한 역치를 이겨내기 힘들다. 그것을 이뤄낼 수 있는 것은 "점진적 과부하"뿐이고 그 점진적 과부하를 이뤄내려면 시간적 과부하에 의한 고갈성 운동은 필요하지 않다. 중량과 강도에 의한 과부하가 필요하다. 보디빌딩 운동을 해본 사...
    Date2016.03.13 Byflexmun Views3990
    Read More
  5. 손바닥 발바닥 지압점

    Date2016.02.28 Byflexmun Views2446
    Read More
  6. No Image

    SEX 운동효과에 좋을까? 나쁠까?

    성행위와 운동과의 관계 첫번째 알아볼 점은 단백질이 빠져 나가는 것입니다. 사실 단백질은 근육의 합성에 대단히 중요한 요소인 것은 이제 다들 알고 계실 것입니다. 당연히 근육생성을 통해 운동력증가와 건강미를 증대시켜야 하는 단백질이 정액을 통해 빠...
    Date2016.02.28 Byflexmun Views4905
    Read More
  7. No Image

    빅라미 등운동 루틴

    엄청난 사이즈로 등장후 요즘 가장 떠오르는 루키 "라미"! 기본기에 충실한 등 운동 위주로 하기 때문에 오히려 특별해 보이는 훈련 방법을 데니스 제임스의 지도 아래 많은 발전을 이뤄냈고 현재도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 라미의 훈련 방식과 등 운동 팁...
    Date2016.02.23 Byflexmun Views2642
    Read More
  8. No Image

    복근운동시 유의할점

    복근 운동시 가장 많이 하는 실수 리스트 입니다. 1. 다중 관절 운동 데드리프트, 스쿼트, 오버헤드 프레스 같은 다중관절 운동은 신체의 코어인 복근을 끌어들이기 때문에 이런 다중 관절 운동들을 포함시켜주는게 좋습니다. 2. 복근 운동 순서 복근은 신체...
    Date2016.02.23 Byflexmun Views2478
    Read More
  9. No Image

    대퇴이두 운동 실수 top5

    대퇴사두에 밀려서 흔히 대퇴이두쪽은 집중력이 흐트러진대로 중량위주 운동을 하는 사람이 많은데 아래글을 참조하면 많이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바로 이전 우수님에 글과 함께 참고하세요 Hamstrings are the ultimate bodybuilding bodypart. After all, m...
    Date2016.02.22 Byflexmun Views3754
    Read More
  10. No Image

    무릎통증 어떻게 대처해야하는가

    Runner’s Knee 한번이라도 무릎에 통증을 느낀 적이 있는가? 계단을 오르거나 내려올 때 통증을 느끼는가? 마치 통증이 무릎 안쪽에서 느껴질 때 당신은 아마 슬개골 밑 부분이 부어 있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 (Patellofemoral pain syndrome)슬개대퇴통...
    Date2016.01.11 By문종수 Views2511
    Read More
  11. 생리학자들이 말한다. 2주간 운동 쉬면....

    2주간 운동을 쉬었을때 1. 근력/지구력등 운동 수행능력이 25~30% 감소 2. 근육량, 골밀도, 유연성, 혈류량과 속도, 에너지 생산능력 감소 3. 근육에 저장하는 탄수화물(글리코겐)양이 줄어들고 근위축증 발생 4. 웨이트 능력보다 유산소 능력과 지구력이 더 ...
    Date2015.11.25 By문종수 Views277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Next
/ 10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