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6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저녁 6시~7시 이후 음식 섭취를 제한하는 것은 다이어트의 핵심으로 잘 알려져 있다. 살빼기에 성공한 어느 유명인은 “저녁 6시 이후에는 물도 마시지 않았다”고 했다. 이른 저녁 이후 아침까지 음식을 먹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간헐적 단식이 된다. 아침 식사를 오전 7시 30분~ 8시 전후로 한다면 13~14시간의 공복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오랜 시간 공복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요즘 사람들은 아침에 일어나서 밤에 잘 때까지 끊임없이 뭔가를 먹고 마신다. 삼시세끼를 먹던 것은 옛일이 됐고 TV를 볼 때는 몸에 좋지 않은 가공식품에 손이 간다.

조영민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내분비내과)는 “새해 건강을 위해 위장이 쉴 시간을 주자”고 제안한다. 조 교수는 “우리 몸은 리듬이 있어야 한다. 먹을 때 먹고, 쉴 때 쉬는 것이 좋다”면서 “동물은 주행성과 야행성으로 구분된다. 주행성은 주로 낮에 먹고 밤에 쉬며, 야행성은 그 반대”라고 했다.

조 교수는 “사람은 주행성에 가깝다. 우리 조상들은 해가 떠서 해가 지는 시간까지 먹을 것을 찾아 다녔고 밤에는 쉬었기 때문”이라며 “올해는 이른 저녁 후 물 외에는 먹지 않는 식생활을 실천해 보자”고 했다. 야식을 많이 하던 사람은 자연스레 다이어트가 될 것이고, 체중이 줄지 않더라도 몸이 건강해진다고 했다.

박용우 성균관대 의대 강북삼성병원 교수(가정의학과)도 “깨어있는 낮 시간에 음식을 먹고 수면을 취해야 하는 밤에는 음식섭취를 제한해야 생체리듬이 정상으로 돌아와 몸이 건강해지고 살이 빠진다”고 했다. 박 교수의 주장도 주행성 활동에 맞춰 음식 섭취도 조절해야 한다는 것이다.

두 교수의 주장을 실천하면 자연스럽게 13~14시간의 공복이 지켜진다. 하루 16시간 공복을 유지하고 8시간 동안만 음식을 먹는 이른바 간헐적 단식에 근접한 셈이다. 하지만 몸을 움직이는 낮에는 음식을 충분히 먹고 잠을 자는 밤에는 음식섭취를 멀리해 생체리듬을 지키는 것이 핵심이다.

공복 상태가 길수록 건강과 장수에 도움이 된다는 해외 연구 결과는 많다. 이제는 익숙한 주제들이다. 미국의 국립 노화 연구소, 위스콘신-매디슨 대학교, 페닝턴 생체의학 연구소 등의 과학자들이 동물(쥐)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먹이를 먹는 간격이 길었던 쥐가 자주 먹은 쥐에 비해 건강하고 오래 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라파엘 드 카보 박사는 “음식 종류를 제한하거나 칼로리를 줄일 필요도 없이 식사 간격만 늘리는 것만으로 노화를 늦추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한 것”이라고 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세포 대사(Cell Metabolism)’에 실렸다.

야식이 몸에 나쁘다는 것은 이제 누구나 알고 있다. 야식은 특히 튀김 등 기름진 음식이 많은 게 더욱 문제다. 올해는 야식을 한 번 줄여보자. 내 몸의 위장이 쉬는 시간을 늘리는 게 핵심이다. 퇴근 후 TV를 볼 때도 가끔 일어나 방이나 거실을 어슬렁거리자. 몸을 움직일 때는 충분히 먹고 휴식할 때는 위장도 쉬게 하자.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09051/%ea%b1%b4%ea%b0%95%ec%88%98%eb%aa%85%ec%9d%98-%ed%95%b5%ec%8b%ac-%ec%9c%84%ec%9e%a5%ec%9d%b4-%ec%89%ac%eb%8a%94-%ec%8b%9c%ea%b0%84%ec%9d%84-%eb%8a%98%eb%a0%a4%eb%9d%bc/


  1. 스트레스받으면 좋은 음식

    스트레스를 받으면 부신피질 호르몬의 일종인 코르티솔의 분비가 촉진되는데, 이 호르몬이 분비되면 식욕이 증가한다. 코르티솔은 지방 세포에 있는 효소를 촉발시키는데 이 효소는 피하지방보다 내장지방에 많아 심장 질환과 당뇨병의 위험률을 높이는 내장...
    Date2020.01.29 Byflexmun Views391
    Read More
  2. 음주 여성이 더 해롭다.

    여성이 과음으로 건강을 해칠 위험이 남성보다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국가 알코올 남용 및 중독 연구소(NIAAA)은 1999년부터 2017년까지 16세 이상 미국인의 사망 원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약 100만 명이 알코올 관련 사망자였으며, 99년과 비...
    Date2020.01.22 Byflexmun Views398
    Read More
  3. 의외로 여성이 고혈압 발생이 남성보다 빠르다

    심장질환과 관련된 문제는 주로 남성에게만 있다는 통념과는 달리 혈관은 여성이 남성보다 빨리 노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관 건강의 척도인 혈압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이른 시기에 증가하기 시작해 더 빠르게 상승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인생의 후...
    Date2020.01.17 Byflexmun Views562
    Read More
  4. 초콜릿 수면을 방해한다.

    설탕이 몸에 해롭다는 건 현대인의 건강 상식이 된 지 오래다. 설탕을 과다 섭취하면 체중이 늘고, 충치가 생기며, 당뇨 발생 위험이 커진다. 여기에 나쁜 소식을 하나 보태자면, 설탕이 수면을 방해한다는 사실이다. 더 지독한 점은 단것을 너무 먹어 잠이 ...
    Date2020.01.16 Byflexmun Views791
    Read More
  5. 2020년 유행할 식단

    2020년 유행할 식이요법 중 지중해 식단이 가장 인기가 있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왔다. 지중해 식단(Mediterranean diet)은 그리스와 이탈리아의 식문화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한 식이요법으로, 채소, 과일, 정제하지 않은 곡물, 올리브 오일 등을 ...
    Date2020.01.15 Byflexmun Views468
    Read More
  6. 장수에 기본은 물먹는 습관부터

    건강하게 오래 사는 ‘건강 수명’은 건강한 피(혈액)와 혈관이 기본이다. 장수를 위해 암, 심뇌혈관 질환 예방에 신경 쓰는 사람이 많지만 결국 온 몸을 도는 혈액과 혈관 건강이 바탕이 된다. 혈액이 건강하지 못하면 피의 흐름(혈류)에 문제가 ...
    Date2020.01.14 Byflexmun Views375
    Read More
  7. 색깔별 과일 채소 효과

    컬러 푸드(색깔먹거리)는 하나의 색깔을 선명하게 띠는 식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이런 컬러 푸드에는 종류만 약 2500개인 식물영양소 파이토뉴트리언트가 가득 들어 있다. 강력한 항산화 작용 덕분에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물, 비타민, 무기질에 이어...
    Date2020.01.12 Byflexmun Views565
    Read More
  8. 비만 유전자보다 생활습관이 문제다

    “나는 살이 잘 찌는 스타일”이라며 과체중이나 비만을 유전자 탓으로 돌리는 사람들이 있다. ‘헬스데이’에 따르면, 미국인들은 유전자 때문에 자신이 뚱뚱하게 됐다고 믿고 있는 경우가 많다. 최근 수년간 ‘비만 유전자’...
    Date2020.01.10 Byflexmun Views528
    Read More
  9. 장수에 기본원칙 위를 쉬게해라

    저녁 6시~7시 이후 음식 섭취를 제한하는 것은 다이어트의 핵심으로 잘 알려져 있다. 살빼기에 성공한 어느 유명인은 “저녁 6시 이후에는 물도 마시지 않았다”고 했다. 이른 저녁 이후 아침까지 음식을 먹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간헐적 단식이 된...
    Date2020.01.09 Byflexmun Views619
    Read More
  10. 나이들어 기름진 식사는 시력을 감퇴시킨다.

    붉은색 육류나 지방이 많이 든 음식을 즐겨먹는 식습관이 노년기 시력 감퇴와 연관을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전형적인 서구식 식사를 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나이를 먹으며 나타나는 시력 감퇴, 즉 중심시력이 떨어질 확률이 3배 이상 ...
    Date2020.01.07 Byflexmun Views4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21 Next
/ 12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