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70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따끈따끈한 설렁탕이나 우거지탕이 생각나는 계절이다. 어느 곰탕집에서는 ‘48시간 푹 고아낸 곰탕’이라는 문구와 함께 창에는 가마솥에 사골이 펄펄 끓고 있는 모습이 비친다.

인터넷에 들어가 보면 사골을 푹 고아낸 국물이 단백질, 콜라겐, 콘드로이드 황산, 칼슘, 그리고 마그네슘 등이 많아서 성장기 어린이와 노약자에게 좋은 영양 공급원이고 뼈 건강에도 좋다고 쓰인 글들이 많다. 그러나 사실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사골 국물의 영양성분을 제대로 분석한 연구 보고는 대단히 드물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사골국물에 단백질이나 칼슘이 많은 것도 아니다. 더구나 단백질이나 칼슘 공급을 위해서는 사골국물보다 더 좋은 식품들이 많다. 또 한 가지, 사골은 오랜 시간 푹 우려내고, 국물이 너무 연해지지만 않는다면 재탕, 삼탕, 사탕을 해서라도 여러 번 고아 먹는 것이 좋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이것도 잘못된 상식 중 하나이다. 사골을 오래 자주 끓이면 뼈에서 인이 많이 빠져나온다. 인이 많이 들어 있는 사골 국물은 오히려 뼈에 나쁠 수 있다. 인을 섭취하면 음식물에 함유된 칼슘과 결합하여 불용성 화합물을 만들어서 변으로 배설시킨다. 결국 인은 칼슘의 흡수를 방해하는데,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뼈에 있는 칼슘까지 빼낸다. 인과 칼슘의 관계는 견우나 직녀의 관계라 고 비유할 수 있다. 서로 만나기만 하면 즉각 결합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사골은 한번에 6시간 정도 고아내되 3번까지만 우려내도록 권유한다. 그러나 필자가 찾아본 바에 의하면 여러 조건을 달리하여 사골을 끓인 경우 칼슘이나 인의 함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정확히 조사한 논문은 없었다. 이런 실험 데이터가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인의 섭취가 가장 문제가 되는 환자는 만성콩팥병 환자다. 만성콩팥병 환자는 콩팥기능이 저하되면서 인의 배설도 감소하는데 이로 인해 고인산혈증이 발생한다. 이것이 시발점이다. 고인산혈증이 생기면 인산이 칼슘을 데리고 골 내로 끌고 들어가므로 혈청 칼슘이 떨어진다. 또한 활성형 비타민 D의 합성이 감소하며 종국에는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이 생겨서 뼈가 약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만성콩팥병 환자 식이요법에서 가장 강조되는 것이 인의 섭취 제한이다. 단 인의 섭취 제한만으로는 혈청 인치 조절에 한계가 있으므로 탄산칼슘이나 초산칼슘을 식후에 복용하도록 처방한다. 이때 칼슘 성분은 음식물에 함유된 인과 결합하여 불용성 화합물을 만들어서 인을 변으로 배설한다. 필자는 병원에서 회진할 때 인이 높은 환자에게는 인이 높은 음식물 리스트를 제공하는데, 여기에는 사골국물이 포함되어 있다.

 

요컨대 사골국물을 뼈에 좋다고 뼈 건강을 위한 목적으로 먹는 것은 과학적이지 않을 뿐 아니라 현명한 선택이 아니다. 단 사골국물을 먹지 말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만성콩팥병 환자에서는 높은 인 함량으로 인하여 오히려 뼈에 많이 해로울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한 가지 첨언하면 끓이는 중 녹아 나오는 기름은 냉장고에 넣어두면 허옇게 굳으므로 걷어 내면 된다. 사골국물로 인한 고지혈증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11673/%eb%bc%88%ec%97%90-%ec%a2%8b%ec%9d%80-%ec%82%ac%ea%b3%a8%ea%b5%ad%eb%ac%bc-%ec%98%a4%ed%9e%88%eb%a0%a4-%ec%95%88-%ec%a2%8b%ec%9d%84-%ec%88%98-%ec%9e%88%eb%8b%a4/

 


  1. 불규칙한 수면습관 심혈관질환 생긴다.

    잠드는 시간이 불규칙하면 심혈관계 질환에 걸리기 쉽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건강을 지키려면 하루 7시간 이상을 푹 자야 한다. 수면 부족은 당뇨병, 뇌졸중,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런데 미국 노트르담 대학교 연구진에 따르면, 충...
    Date2020.03.26 Byflexmun Views388
    Read More
  2. 대장암에 좋은 엽산이 풍부한 음식

    대장암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세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며, 서구화된 식습관과 관련이 높은 암이다. 서양에서 이미 대장암 예방에 관한 훌륭한 역학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대장암과 관련된 생활습관에 대해 알아본다...
    Date2020.03.26 Byflexmun Views493
    Read More
  3. 두통과 뒷목통증 고혈압과 상관없다.

    두통으로 외래에 오신 연세 지긋하신 한 환자분이 이렇게 말한다. “최근 머리가 아프다. 혈압이 올라갔나 보다. 혈압을 재어 달라” 진료실에서 종종 볼 수 있는 광경이다. 혈압이 올라가서 두통이 온 것이라는 얘기다. 이럴 때 실제 혈압을 재보...
    Date2020.03.24 Byflexmun Views672
    Read More
  4. 다이어트 실패자들의 핑계

    다이어트에 성공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리고 당장 살빼기를 시작하기는 어렵다는 핑곗거리는 많고도 많다. 몸에 좋은 음식을 조리할 시간이 없다거나 건강식품은 비싸다거나 운동할 여건이 되지 않는다는 식이다. 하지만 다이어트와 규칙적인 운동은 그...
    Date2020.03.22 Byflexmun Views424
    Read More
  5. 양치만 해도 당뇨 예방이 된다.

    하루 세 번 이상 양치질을 하거나 치석 제거를 받으면 당뇨병 위험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대서울병원 송태진, 이대목동병원 장윤경 교수팀이 ‘구강 위생 상태 호전에 의한 당뇨 발생 위험성 감소’라는 제목의 연구 논문을 통해 이 ...
    Date2020.03.17 Byflexmun Views426
    Read More
  6. 근력운동에 좋은 식물성 음식

    근육 형성을 위해 근력운동을 하는 사람의 식단에 꼭 들어가는 것은 닭 가슴살 등 단백질이 풍부한 고기다. 단백질은 근육을 만드는 데 꼭 필요하면서도 가장 좋은 영양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기를 전혀 못 먹거나 좋아하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고...
    Date2020.03.14 Byflexmun Views444
    Read More
  7. 소금과 나트륨 같은 의미일까?

    일반적으로 ‘짜게 먹는다’는 것과 ‘소금(식염, NaCl, 염화나트륨)을 많이 먹는다’는 말과 동의어로 통용된다. 그리고 흔히 소금이 짠 것은 나트륨이 들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염화나트륨 중 짠 맛을 내는 것은 염소이...
    Date2020.03.12 Byflexmun Views604
    Read More
  8. 땀 흘린후에 물을 보충하는 것과 소금을 보충하는 것중에 뭐가 좋을까?

    땀을 많이 흘린 후 물을 먹어야 하나, 소금을 먹어야 하나 ? 이런 질문을 던지면 답은 물이라는 답이 반, 소금이라는 답이 반으로 갈린다. 무엇이 맞을까? 우선 땀의 정체를 알아야 한다. 일반 성인은 평상시 하루에 약 600~800 mL 정도의 땀을 흘린다. 운동 ...
    Date2020.03.11 Byflexmun Views652
    Read More
  9. 사골국물 과연 뼈에 좋을까?

    따끈따끈한 설렁탕이나 우거지탕이 생각나는 계절이다. 어느 곰탕집에서는 ‘48시간 푹 고아낸 곰탕’이라는 문구와 함께 창에는 가마솥에 사골이 펄펄 끓고 있는 모습이 비친다. 인터넷에 들어가 보면 사골을 푹 고아낸 국물이 단백질, 콜라겐, 콘...
    Date2020.03.11 Byflexmun Views702
    Read More
  10. 건강검진표 보는 방법

    올해 국가건강검진 대상은 만 20세 이상 짝수년도 출생자다. 건강검진 결과는 현재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라는 점에서 꼭 받아야 한다. 그런데 검진표에 적힌 의학 용어들로 내용을 이해하기 쉽지가 않다. 강동경희대병원 건강검진...
    Date2020.03.06 Byflexmun Views73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21 Next
/ 12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