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42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건강을 위해서 운동을 해야 한다! 하자! 라는 경향이 이제는 선택이 아닌 삶에 필수가 되었다. 누구나 다 공통된 마음이다. 왜 하냐고 묻는 사람보다는 어떻게 하느냐? 언제 하느냐? 얼마큼 하느냐? 가 운동의 주된 관심사이다. 그만큼 운동은 우리네 삶속에 깊숙이 자리 잡아 특별한 사람들이 하는 것이 아닌 누구나 다 하는 것으로 정착되었다. 무병장수하고 싶은 욕망은 누구에게나 공통적이다. 예전에는 이런 희망사항을 대부분 먹는 것으로 해결하려 했으나, 지금은 먹는 것도 중요하지만 운동이 그 이상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아주 바람직한 현상이다.

1. 운동의 구성은 어떻게 해야 하나? 생각만큼 거창하지 않다. 우리가 아는 운동은 실생활에서 크게 나누어보면 무산소 운동(웨이트트레이닝)과 유산소 운동(달리기, 걷기, 고정식자전거 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무산소 운동(웨이트트레이닝)은 주로 인체의 골격근을 발달시킨다. 차로 비유하자면 차체로 보면 되겠다. 골격근(근육)을 튼튼하게 단련시키면 근육부피가 커지거나 강하게 만들 수 있다. 신체의 물질대사를 원만하게 하고 에너지를 저장하여 다시 생활에너지(생명현상유지, 운동 등)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에너지를 저장하는 창고를 크게 만드는 것도 중요하고, 활성도를 높이는 것도 아주 중요하다. 이런 여러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골격근인데 특히 하체근육이 대부분 그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큰 근육군(하체, 등 가슴, 팔 등)을 2~3회/주 단련시켜 몸을 건강하게 유지해야 한다.

또한 나이가 들어가면서 50세 전후가 되면 노화가 서서히 진행되고 남성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면서 매년 0.9~1% 비율로 근육량이 감소하게 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노화요,근육감소증(Sarcopenia:sarco=muscle/근육, penia=disease/병)이라 하는데, 이런 과정이 진행되면 속도나 힘을 내는 빠르게 반응하는 근육(속근, 백근 이라고도 한다)의 감소율이 현저히 증가한다.

이 근육의 감소를 막거나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현재까지는 웨이트트레이닝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기에 더욱 권장한다. 일반적인 마라토너들은 이 시기에 접어들면 완주기록이 서서히 뒤로 후퇴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 또한 훈련량과도 상관이 있지만 속근의 감소에 의해서도 속도가 떨어지는 것이다.

 

2. 유산소운동은 운동과정에 외부의 산소를 최대한 많이 끌어들여 대사에 이용하여 지방을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킨다. 달리기나 빨리 걷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차체에 비유하면 내연기관(엔진) 또는 동력전달기관으로 보면 되겠다. 근육에서 만들어진 에너지가 혈관을 타고 온 몸 구석구석에 전달되는 과정이다. 이 흐름이 원만하게 진행되어야 체온도 유지되고 운동에너지로도 활발하게 사용된다. 이런 과정에서 심장, 혈관의 건강이 유지되고, 향상되는 부수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근육에서 만들어진 에너지를 심장을 이용하여 온몸으로 많이 전달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튼튼한 혈관을 필요로 한다. 혈관이 노화되어 굳어가거나 탄력이 떨어지면 에너지,산소의 전달능력이 떨어진다. 또한 대사과정에서 발생한 노폐물을 분해하거나 체외로 배출시키는데 효율이 떨어지며, 그에 비례하여 심신의 피로도도 증가한다. 따라서 이 전 과정을 원만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주일에 3~4회, 40분~1시간 정도 달리기나 빨리 걷기 등을 하면 고혈압, 동맥경화, 뇌졸중, 뇌경색, 심근경색, 협심증 등 심장, 혈관계 질환(대사증후군), 과체중, 비만을 예방하거나 치유하는데 아주 효과적이다.

우리가 치킨 시킬 때처럼 무산소 반, 유산소 반으로 구성하여 운동하는 것이 내 몸을 위하여, 가족 건강을 유지하는데 아주 바람직하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286281/%ec%9a%b4%eb%8f%99%ec%9d%80-%ec%b9%98%ed%82%a8%ec%8b%9c%ed%82%ac-%eb%95%8c%ec%b2%98%eb%9f%bc-%eb%ac%b4%ec%82%b0%ec%86%8c-%ec%9c%a0%ec%82%b0%ec%86%8c-%ec%a0%88%eb%b0%98%ec%94%a9/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운동에 관한 잘못된 상식들

    운동은 건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지만, 잘못된 운동은 몸에 도리어 해를 끼친다. 평촌서울나우병원 김준배 대표원장의 도움말로 '잘못 알려진 운동 상식'에 대해 알아본다. 1. 스쿼트는 최고의 하체 운동이다? 건강한 사람이 제대로 배워서 하는 스...
    Date2020.03.31 Byflexmun Views510
    Read More
  3. 영양제 코로나19에 효과있나?

    코로나 19가 유행하면서 면역력을 높인다는 영양보충제와 건강기능식품을 찾는 사람이 늘고 있다. 각종 비타민에서 생약 추출물에 이르기까지 종류도 다양하다. 미국 ‘뉴욕타임스’가 전문가의 의견을 들었다. 결론은 어떤 영양제나 식품, 민간요...
    Date2020.03.25 Byflexmun Views489
    Read More
  4. 나이별 체중감량법

    나이가 들면 무조건 펑퍼짐해질까? 노화가 진행되면 신진대사가 느려지고 잦은 회식과 야근, 육아 등으로 인한 피로까지 겹쳐 살찌기 쉬워지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날씬한 허리와 탄탄한 복근을 절대 가질 수 없는 건 아니다. 미국 ‘...
    Date2020.03.20 Byflexmun Views493
    Read More
  5. 운동은 유산소와 무산소 반반으로 해라

    건강을 위해서 운동을 해야 한다! 하자! 라는 경향이 이제는 선택이 아닌 삶에 필수가 되었다. 누구나 다 공통된 마음이다. 왜 하냐고 묻는 사람보다는 어떻게 하느냐? 언제 하느냐? 얼마큼 하느냐? 가 운동의 주된 관심사이다. 그만큼 운동은 우리네 삶속에 ...
    Date2020.03.19 Byflexmun Views429
    Read More
  6. 스트레칭과 정리운동이 필요한 이유

    우리는 운동을 하기 전에 으레 준비운동을 하는 것으로 배웠다. 무엇을 하기 전에 예비해야 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맨손체조를 비롯하여 여러 동작을 배웠고 실시하고 있다. 근래 들어서는 준비운동이라는 말 대신에 스트레칭(Stretching)이란 단어가 그 ...
    Date2020.03.18 Byflexmun Views442
    Read More
  7. 대사질환에 주범 뱃살을 빼자

    뱃살은 보기에도 좋지 않을 뿐 아니라 다발성 대사질환을 유발하는 주범이다. 대사증후군은 어느 하나의 질환이 아니라 복부 비만, 고혈압, 높은 혈당, 이상지질혈증 등 여러 대사 위험요인들이 동시에 한 사람에게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대사증후군 여부를 ...
    Date2020.03.10 Byflexmun Views413
    Read More
  8. 만성질환에 좋은 운동법

    운동은 만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다스리는 데 도움이 된다. 예방 측면에서 보면 빠르게 걷기나 자전거 타기 같은 운동을 1주일에 150분 정도 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와 함께 건강한 식습관을 가지면 당뇨병 발병 위험을 30% 이상 줄일 수 있으며, 좋은 콜레스...
    Date2020.03.08 Byflexmun Views508
    Read More
  9. 근력운동을 하면 스트레스가 적다

    근력운동을 자주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스트레스가 더 적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사이버대 보건의학과 연구팀은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해 20세 이상 성인 5624명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들의 스트레스 인지 수준과 세 가지 유...
    Date2020.03.04 Byflexmun Views588
    Read More
  10. 만보걷기 실제 운동량은 적다

    만 보 걷기는 큰 돈을 들이지 않고 소소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운동법이다. 특별한 장비 없이 스마트폰의 관련 앱으로 걸음 수를 측정하며 성취감을 느끼거나, 자신에게 분발을 촉구할 수 있다. 그러나 미국 브리검영 대학교 연구진이 내놓은 분석 결과는 좀...
    Date2020.02.28 Byflexmun Views504
    Read More
  11. 코로나 상식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크게 늘면서, 불안도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싱가포르 정부는 24일 홈페이지에 일반인의 질문에 대한 전문가의 답변을 게재했다. 답변에 나선 이는 마운트 엘리자베스 노베나 병원의 감염 전문가 렁호남 박사. 다음은 주요 ...
    Date2020.02.26 Byflexmun Views4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