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38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잠드는 시간이 불규칙하면 심혈관계 질환에 걸리기 쉽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건강을 지키려면 하루 7시간 이상을 푹 자야 한다. 수면 부족은 당뇨병, 뇌졸중,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런데 미국 노트르담 대학교 연구진에 따르면, 충분한 수면 못지않게 규칙적인 수면 역시 중요하다.

연구진은 대학생 557명에게 매일 스마트 밴드를 착용하고 잠자리에 들도록 했다. 4년 동안 25만 여건의 데이터가 쌓였다. 그를 분석한 결과 연구진은 ‘얼마나’ 자는지도 중요하지만 ‘언제’ 자는지 역시 중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평소보다 늦게 잠든 날에는 참가자의 안정 시 심박수(RHR)가 확연히 올라갔던 것. ‘겨우’ 30분 늦은 경우에도 결과는 같았다. 게다가 그 영향은 다음날까지 이어졌다.

뜻밖이지만 평소보다 일찍 잠자리에 드는 것 역시 안정 시 심박수에 변화를 가져왔다. 30분까지는 괜찮았지만, 그 이상 일찍 자게 되면 안정 시 심박수가 증가했던 것.

제일 저자인 니테쉬 차울라 교수는 “안정 시 심박수가 올라하면 심혈관계 질환에 걸릴 위험도 커진다”면서 “7시간을 잔다 하더라도 잠드는 시간이 매일 널뛰기한다면 문제”라고 말했다.

규칙적인 수면에 관해서는 원래 교대 근무자들이나 여행이 잦은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코로나 19 사태는 이를 모두의 골칫거리로 만들었다. 차울라 교수는 “학생이건 직장인이건 집에만 있다 보면 리듬이 깨지기 쉬울 것”이라며 “하지만 건강을 생각한다면 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Deviations from normal bedtimes are associated with short-term increases in resting heart rate)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디지털 메디신(digital medicine)’에 게재되었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14119/%eb%b6%88%ea%b7%9c%ec%b9%99%ed%95%9c-%ec%b7%a8%ec%b9%a8-%ec%8b%9c%ea%b0%84-%ec%8b%ac%ec%9e%a5%eb%b3%91-%ec%9c%84%ed%97%98-%eb%86%92%ec%9d%b8%eb%8b%a4-%ec%97%b0%ea%b5%ac/

 


  1. 불규칙한 수면습관 심혈관질환 생긴다.

    잠드는 시간이 불규칙하면 심혈관계 질환에 걸리기 쉽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건강을 지키려면 하루 7시간 이상을 푹 자야 한다. 수면 부족은 당뇨병, 뇌졸중,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런데 미국 노트르담 대학교 연구진에 따르면, 충...
    Date2020.03.26 Byflexmun Views388
    Read More
  2. 대장암에 좋은 엽산이 풍부한 음식

    대장암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세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며, 서구화된 식습관과 관련이 높은 암이다. 서양에서 이미 대장암 예방에 관한 훌륭한 역학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대장암과 관련된 생활습관에 대해 알아본다...
    Date2020.03.26 Byflexmun Views493
    Read More
  3. 두통과 뒷목통증 고혈압과 상관없다.

    두통으로 외래에 오신 연세 지긋하신 한 환자분이 이렇게 말한다. “최근 머리가 아프다. 혈압이 올라갔나 보다. 혈압을 재어 달라” 진료실에서 종종 볼 수 있는 광경이다. 혈압이 올라가서 두통이 온 것이라는 얘기다. 이럴 때 실제 혈압을 재보...
    Date2020.03.24 Byflexmun Views672
    Read More
  4. 다이어트 실패자들의 핑계

    다이어트에 성공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리고 당장 살빼기를 시작하기는 어렵다는 핑곗거리는 많고도 많다. 몸에 좋은 음식을 조리할 시간이 없다거나 건강식품은 비싸다거나 운동할 여건이 되지 않는다는 식이다. 하지만 다이어트와 규칙적인 운동은 그...
    Date2020.03.22 Byflexmun Views424
    Read More
  5. 양치만 해도 당뇨 예방이 된다.

    하루 세 번 이상 양치질을 하거나 치석 제거를 받으면 당뇨병 위험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대서울병원 송태진, 이대목동병원 장윤경 교수팀이 ‘구강 위생 상태 호전에 의한 당뇨 발생 위험성 감소’라는 제목의 연구 논문을 통해 이 ...
    Date2020.03.17 Byflexmun Views426
    Read More
  6. 근력운동에 좋은 식물성 음식

    근육 형성을 위해 근력운동을 하는 사람의 식단에 꼭 들어가는 것은 닭 가슴살 등 단백질이 풍부한 고기다. 단백질은 근육을 만드는 데 꼭 필요하면서도 가장 좋은 영양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기를 전혀 못 먹거나 좋아하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고...
    Date2020.03.14 Byflexmun Views444
    Read More
  7. 소금과 나트륨 같은 의미일까?

    일반적으로 ‘짜게 먹는다’는 것과 ‘소금(식염, NaCl, 염화나트륨)을 많이 먹는다’는 말과 동의어로 통용된다. 그리고 흔히 소금이 짠 것은 나트륨이 들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염화나트륨 중 짠 맛을 내는 것은 염소이...
    Date2020.03.12 Byflexmun Views604
    Read More
  8. 땀 흘린후에 물을 보충하는 것과 소금을 보충하는 것중에 뭐가 좋을까?

    땀을 많이 흘린 후 물을 먹어야 하나, 소금을 먹어야 하나 ? 이런 질문을 던지면 답은 물이라는 답이 반, 소금이라는 답이 반으로 갈린다. 무엇이 맞을까? 우선 땀의 정체를 알아야 한다. 일반 성인은 평상시 하루에 약 600~800 mL 정도의 땀을 흘린다. 운동 ...
    Date2020.03.11 Byflexmun Views652
    Read More
  9. 사골국물 과연 뼈에 좋을까?

    따끈따끈한 설렁탕이나 우거지탕이 생각나는 계절이다. 어느 곰탕집에서는 ‘48시간 푹 고아낸 곰탕’이라는 문구와 함께 창에는 가마솥에 사골이 펄펄 끓고 있는 모습이 비친다. 인터넷에 들어가 보면 사골을 푹 고아낸 국물이 단백질, 콜라겐, 콘...
    Date2020.03.11 Byflexmun Views701
    Read More
  10. 건강검진표 보는 방법

    올해 국가건강검진 대상은 만 20세 이상 짝수년도 출생자다. 건강검진 결과는 현재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라는 점에서 꼭 받아야 한다. 그런데 검진표에 적힌 의학 용어들로 내용을 이해하기 쉽지가 않다. 강동경희대병원 건강검진...
    Date2020.03.06 Byflexmun Views73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21 Next
/ 12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