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28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코로나19 사태로 많은 사람이 '면역력' 강화에 열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운동하고, 끼니를 잘 챙겨 먹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는데, '물 섭취'도 잊으면 안 된다. 특히 물은 호흡기점막을 건조하지 않게 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점막이 촉촉하게 유지되면 섬모 운동이 활발해지고 결과적으로 바이러스 감염 예방에 효과를 낸다. 하루 수분 섭취 권장량은 하루 1.5L 내외로 하루 7~8잔의 물을 마시는 게 좋다.

갈증 느끼기 전 수시로 물 챙겨야

물은 갈증을 느끼기 전에 수시로 마시는 게 좋다. ​입이 마르고 눈이 건조해지는 걸 느꼈을 때는 이미 체내에 수분이 많이 부족한 상태다. ​특히 60세 이상은 체내 수분량이 60% 이하로 저조한 경우가 많​아 물 섭취에 더 신경 써야 한다. 유안 비만항노화센터 안지현 원장은 "체내 수분이 부족할수록 건강과 멀어진다"며 "특히 나이 들수록 체내 수분 함량이 계속 감소함과 동시에 갈증 반응이 둔화돼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체내 수분이 부족하면 세포 수분량도 감소해 면역 기능이 떨어질 뿐 아니라, 피부 탄력이 줄어들기도 한다. 아무리 비싼 화장품이나 시술을 해도 체내 수분 부족으로 피부 조직이 말라 있으면 피부가 처진다.

기상 직후 물 섭취, 심장질환 예방

아침에 잠에서 깨자마자 마시는 물은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도 낮춘다. 자는 동안 우리 몸은 땀과 호흡을 통해 몸속 수분을 최대 1L가량 배출한다. 이로 인해 혈액의 점도가 높아져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혈관을 막는 혈전(피떡) 생성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어나서 물을 마시면 끈적끈적했던 혈액이 묽어지는 효과가 있다. 혈액과 림프액의 양을 늘려서 밤 동안 쌓인 체내 노폐물을 원활히 흘려보낼 수도 있고, 장운동을 활발하게 해 배변에도 도움을 준다. 고령자의 만성 탈수 예방에도 좋다. 고령자 중에는 항이뇨호르몬 분비가 저하돼 만성 탈수 상태를 보이는 사람이 많다. 특히 자는 동안에는 수분 공급이 안 돼 증상이 심해진다. 일어나자마자 물을 마시면 탈수를 막고 신진대사와 혈액순환 촉진을 돕는다.   

자기 전 물 섭취, 혈당 조절 도와

당뇨병 환자는 몸의 수분이 빠져나가면 혈액 내 당 수치가 높아지며 혈당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고, 그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잠자리에 들기 30분 전 물을 마시면 체액과 혈액의 균형이 맞고 밤새 혈당이 높아지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낸다. 잘 때 다리 근육 경련을 겪는 사람들이 있다. 이 경우에도 물을 마시고 자면 경련 예방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차가운 물보다는 미지근한 물로

물의 온도는 체온보다 약간 낮은 30도 전후가 적당하다. 미지근한 정도다. 찬물을 마시면 자율신경계를 과도하게 자극해 부정맥 등 심장 이상이 생길 수 있다. 또 찬물을 마시면 우리 몸이 정상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불필요한 에너지를 쓰게 된다. 특히 고령자나 허약자는 기초대사량이 떨어져 있어 시원한 물을 마시면 체온이 더 감소하고, 소화액 분비 저하 등이 생길 수 있다. 물을 벌컥벌컥 마시기보다는 천천히 마시는 것도 중요하다. 고혈압이 있으면서 뇌동맥류나 뇌출혈을 경험한 사람은 물을 빨리 마시면 뇌 혈류량이 갑자기 증가해 뇌혈관에 손상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08/2020040804679.html

 


  1. 녹차가 음식물에 대한 알러지를 줄여준다.

    녹차를 꾸준히 마시면 음식물 알레르기를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일본 신슈대학교 연구팀은 녹차에 풍부한 항산화성분이 면역체계를 변화시켜 특별한 음식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부터 보호 작용을...
    Date2020.04.14 Byflexmun Views375
    Read More
  2. 요즘 같은 시기 물은 필수다.

    코로나19 사태로 많은 사람이 '면역력' 강화에 열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운동하고, 끼니를 잘 챙겨 먹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는데, '물 섭취'도 잊으면 안 된다. 특히 물은 호흡기점막을 건조하지 않게 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Date2020.04.12 Byflexmun Views288
    Read More
  3. 자기전에 단백질 먹어도 지방 분해 방해 안된다.

    다이어트를 할 때 항상 듣는 이야기는 '취침 전 금식'이다. 그런데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단백 음식의 경우 자기 전에 먹어도 지방 연소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로리다 주립대 연구팀은 단백질 쉐이크를 마시는 시간에 따라 ...
    Date2020.04.08 Byflexmun Views556
    Read More
  4. 주먹을 쥐어보면 당뇨병을 예측할수 있다.

    악력 측정으로 초기 당뇨병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오클랜드대 연구팀은 2011~2014년에 미국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성인들의 악력과 건강 상태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체중 대비 악력이 낮은 사람은 당뇨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
    Date2020.04.08 Byflexmun Views420
    Read More
  5. 오래 걷지도 서있지도 않았는데 발이 붓는 이유

    퉁퉁 부어오른 발은 걷는데 큰 지장을 준다. 대체로 통증도 함께 수반된다. 붓기의 원인은 한 가지로 단정하기 어렵다. 이와 관련해 ‘웹 엠디’가 소개한 발이 붓는 원인 8가지를 알아본다. 1. 부상 발을 헛디디거나 접질리면 인대가 손상을 입거...
    Date2020.04.05 Byflexmun Views575
    Read More
  6. 이유식을 일찍 시작하면 비만확률이 높아진다.

    이유식을 과하게 빨리 시작하면 아이의 비만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 홉킨스 블룸버그 공중보건대 연구팀은 67명의 아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이들이 이유식을 먹기 시작한 시기를 조사한 후, 3개월 간격으로 대변 ...
    Date2020.04.02 Byflexmun Views293
    Read More
  7.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수면법이 있다.

    뇌 기억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수면법에 관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스라엘 텔아비브대와 아이즈만연구소는 3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장미 향기를 맡으며 컴퓨터 화면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표시되는 단어의 위치를 기억했...
    Date2020.04.01 Byflexmun Views385
    Read More
  8. 봄에 심장이 왜 약해질까?

    ‘신체의 엔진’으로 불리는 심장은 보통 자기 주먹보다 약간 크고, 근육으로 이루어진 장기다. 주된 역할은 산소와 영양분을 싣고 있는 혈액을 온몸에 흐르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분에 60~80회 정도 심장 근육이 수축한다. 이런 심장은 봄에 ...
    Date2020.03.29 Byflexmun Views292
    Read More
  9. 불규칙한 수면습관 심혈관질환 생긴다.

    잠드는 시간이 불규칙하면 심혈관계 질환에 걸리기 쉽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건강을 지키려면 하루 7시간 이상을 푹 자야 한다. 수면 부족은 당뇨병, 뇌졸중,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런데 미국 노트르담 대학교 연구진에 따르면, 충...
    Date2020.03.26 Byflexmun Views362
    Read More
  10. 대장암에 좋은 엽산이 풍부한 음식

    대장암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세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며, 서구화된 식습관과 관련이 높은 암이다. 서양에서 이미 대장암 예방에 관한 훌륭한 역학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대장암과 관련된 생활습관에 대해 알아본다...
    Date2020.03.26 Byflexmun Views45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