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27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피자나 치킨 등 맛있지만 칼로리와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을 잔뜩 먹은 후 후회해본 적이 있는가. 그렇다면 앞으로는 어느 정도 안심해도 될 것 같다.

전반적으로 건강 상태가 양호하고 규칙적으로 과식을 하지 않으면 우리의 신체는 한 번의 과식은 잘 처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영국 배스대학교 대사생리학과 연구팀은 14명의 건강한 젊은 남성들을 대상으로 피자를 다시 한 입도 먹을 수 없을 정도로 배부를 때까지 먹은 후의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피자가 맛있어서 사람들이 계속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연구 음식으로 선택했다. 또한 피자는 지방과 탄수화물 함량이 높아 신체에 부담을 준다.

연구팀은 피자를 잔뜩 먹은 뒤 대상자들의 혈액을 검사해 혈당, 혈중 지질, 인슐린과 다른 호르몬 변화가 있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포만감을 느끼게 하기 위해 필요한 피자 양의 2배를 먹었을 때도 혈액검사 결과가 부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의 제임스 베츠 박사는 “이번 연구에서 인간은 과식할 수 있는 엄청난 능력을 가지고 있고, 그 엄청난 능력에도 불구하고 신체는 과식 후에 혈당과 혈중 지질을 매우 잘 조절한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베츠 박사는 “신체의 반응이 혈당과 지질을 그렇게 많이 먹은 후에도 통제할 수 있었고, 연구 참가자들이 엄청나게 많은 양의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가능했다”고 말했다.

 

참가자들이 포만감을 느낄 때까지 먹는 평균 양은 피자 라지사이즈 한판이었다. 최대한 배부를 때까지 먹을 때 참가자들은 피자 라지사이즈 두 판을 먹었다.

베츠 박사는 “우리는 참가자들에게 포만감을 느낀 뒤 더 먹도록 요청했을 때 약간 더 먹을 것으로 예상했다”며 “하지만 참가자들이 거의 100% 더 많이 먹었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밝혔다.

그는 “전형적으로 혈당과 혈중 지질은 사람이 얼마나 많이 먹느냐에 따라 증가한다”며 “예를 들어 적은 양의 식사는 중간 정도의 식사보다 적은 변화를 가져온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에 다르면, 과식한 후에 혈당은 보통 식사 후보다 높지 않았다. 지방 섭취가 두 배로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혈중 지질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분비되는 인슐린은 정상보다 50% 더 높았으며, 포만감을 주는 호르몬이 가장 많이 바뀌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건강하고 마른 사람에게 국한됐으며 연령대는 24~37세인 남성들만 자원했다”며 “앞으로 과체중이거나 건강상의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 과식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베츠 박사는 “한 번의 관대한 식사가 건강한 사람에게 좋은 것처럼 보일지라도 건강하지 않거나 항상 탐식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 Physiological responses to maximal eating in men)는 ‘브리티시 저널 오브 뉴트리션(British Journal of Nutrition)’에 실렸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21926/%ed%94%bc%ec%9e%90-%ec%b9%98%ed%82%a8%ed%95%9c-%eb%b2%88%ec%af%a4-%ea%b3%bc%ec%8b%9d%ed%95%b4%eb%8f%84-%ea%b4%9c%ec%b0%ae%ec%9d%80-%ec%9d%b4%ec%9c%a0%ec%97%b0%ea%b5%ac/

 


  1. 머리가 좋아지는 음식

    나이가 들어가면서 생기는 인지력 감퇴를 막을 수 있는 마법과 같은 약은 없다. 영양학자들에 따르면, 과일과 채소, 콩류, 통곡물 등이 많이 포함된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는 게 뇌 건강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전략이다. 포화지방보다는 식물이나 생선에서 단...
    Date2020.08.14 Byflexmun Views339
    Read More
  2. 음식 궁합이 안좋은 음식들

    식사를 할 때 으레 함께 먹게 되는 음식들이 있다. 두 식품의 맛이 조화를 이룰 뿐 아니라 두 음식에 들어있는 영양성분이 만나 체내 흡수율을 높이는 등의 상승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식품조합을 두고 궁합이 잘 맞는 음식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
    Date2020.08.12 Byflexmun Views368
    Read More
  3. 한번쯤은 과식 괜찮다.!!!

    피자나 치킨 등 맛있지만 칼로리와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을 잔뜩 먹은 후 후회해본 적이 있는가. 그렇다면 앞으로는 어느 정도 안심해도 될 것 같다. 전반적으로 건강 상태가 양호하고 규칙적으로 과식을 하지 않으면 우리의 신체는 한 번의 과식은 잘 처리...
    Date2020.08.11 Byflexmun Views279
    Read More
  4. 남성은 첫눈에 반하지만 여성은 아니다.

    남녀가 만날 때 첫눈에 반하는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 이와 관련해 남성이 여성에게 끌리는 데에는 눈 깜박할 시간도 걸리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여성에게 한 눈에 반하는 남성은 보통 경솔한 사람으로 취급받지만, 남성이 예쁜 여성에 반하는 것은 ...
    Date2020.08.09 Byflexmun Views399
    Read More
  5. 파를 먹어야 하는 중요한 이유

    어렸을 적 콩나물 국 속의 파(대파)를 모두 건져내면 할머니께서 “몸에 좋은 것인데…”라며 언짢아하셨다. 요즘도 우리 아이들은 파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것 같다. 특유의 냄새 때문에 별로 당기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 조상들이 ...
    Date2020.08.05 Byflexmun Views450
    Read More
  6. 안 먹는 다이어트하면 짜증이 심해진다.

    안 먹는 다이어트 즉, 단식 다이어트는 실패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식욕을 참는 것은 스트레스가 되는데 그 반동으로 폭식을 하게 돼 다이어트를 망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본능적인 욕구를 건강하게 해소하지 못하고 억...
    Date2020.08.04 Byflexmun Views282
    Read More
  7. 50세 이전 비만 노년에 치매 위험

    살을 빼야할 새로운 동기가 필요한가.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젊은 성인들은 인생의 황금기인 노년에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연구팀은 장기간에 걸쳐 미국에서 진행된 두 가지 연구에 참가한 5100여명...
    Date2020.08.02 Byflexmun Views345
    Read More
  8. 적당한 가공식품 하루 섭취량

    전반적으로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루 섭취량 중 가공식품의 비중이 크지 않아야 한다. 가공식품의 섭취 비율을 얼마나 낮춰야 할까? 가공식품이 건강에 유익한 식품군이 아니라는 건 다들 잘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간편하고 편리하게 먹을 수 ...
    Date2020.07.31 Byflexmun Views378
    Read More
  9. 종아리 근육이 건강 수명을 늘린다.

    종아리는 우리 몸의 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날씬’만 강조하는 과도한 다이어트는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몸의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는 중년 이전에 탈이 날 수 있다. 종아리 근육은 제2의 심장으로 불린다. 온몸을 돌아 발밑까지 ...
    Date2020.07.29 Byflexmun Views397
    Read More
  10. 다이어트하면 요요가 오더라도 건강은 좋아진다.

    다이어트에 성공한 사람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이 요요현상이다. 이는 체중 감량을 한 후 감량했던 체중이 다시 원래의 체중으로 돌아가는 현상을 말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요요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체중 감량 경험이 있으면 다이어트를 하지 않아 계속 비만...
    Date2020.07.28 Byflexmun Views24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