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52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여성의 활동성은 월경 주기의 영향을 받는다. 월경으로 컨디션 난조에 빠지면 일주일 이상 운동을 미루게 되는데, 이는 전반적인 운동 루틴을 망가뜨릴 수 있다.

따라서 매일 똑같은 운동 패턴을 고집하는 것보단 월경 주기에 맞춰 유연하게 변주를 주는 것이 보다 꾸준하게 운동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다.

산부인과 의사이자 생식 내분비학자인 루키 세크혼 박사는 미국 언론매체 팝슈거를 통해 “월경주기에 따른 생물학적 변화를 고려하면 보다 효율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며 “불편 역시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성마다 월경 주기별 컨디션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월경주기 어플이나 일지 등을 체크해 자신의 상태에 적정한 운동 방법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세크혼 박사에 의하면 수분 부족에 이르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배란 이후에는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높아지는데, 이 호르몬 수치가 올라가면 혈관이 느슨해지고 혈압이 평소보다 낮아진다. 이로 인해 체내에 수분이 부족할 때 가벼운 두통이 발생하거나 현기증이 날 수 있다.

◆ 여포기= 월경이 끝나고 배란이 시작되기 전 단계인 여포기에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등의 호르몬 수치가 낮아진다.

월경을 하는 동안에는 기분이 처지고 무기력하며 통증이 나타나 운동할 의욕이 안 생기지만, 월경이 끝나고 낮은 호르몬 수치가 유지되는 여포기에는 통증 내성과 회복 효과가 향상돼 고강도 운동을 하기에 좋다. 월경 주기를 기준으로, 강도 높은 운동을 하기에 적기라는 것.

◆ 배란= 난소에서 난자를 배출하는 이 시기에 고강도 운동을 하면 경련통이 심해질 수 있으니, 운동 시 통증이 나타날 땐 운동 강도를 낮추는 것이 좋다. 특히 복부에 압박을 가하는 유형의 운동이 배란통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복부 운동, 코어 강화 운동 등에 주의토록 한다.

◆ 황체기= 배란 후, 생리 전 단계인 황체기에는 프로게스테론의 수치가 급격히 올라가기 시작한다. 프로게스테론은 긴장이 풀리게 만드는 효과가 있어 이 시기 졸음이 발생할 수 있다. 근육과 인대 역시 이완되는 때인 만큼 운동 전 스트레칭 시 주의가 필요하다.

고강도 운동이나 전단력을 요하는 운동이 부상을 일으키기 쉬우니 조심해야 한다. 달리기와 같은 고강도 운동 시 가슴이 아플 수도 있다. 자신의 몸 상태를 체크해 뛰는 게 부담스럽다면 달리기를 활기차게 걷기나 수영 등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황체기 후반에는 짜증이 밀려오거나 기분이 좋았다 나빠지기를 반복하는 롤러코스터를 탈 수도 있다. 이때 유산소운동이 엔도르핀 분비를 도와 기분 상태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월경= 자궁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월경 기간에는 경련통이 발생하거나 피로도가 높아진다. 생리로 인한 불편도 커진다. 이로 인해 대다수의 여성들은 이 시기 가장 운동하기 힘들어한다. 복부와 골반 부위 등이 예민해져 복부와 그 주변으로 힘이 가는 운동이 특히 불편할 수 있다.

이 시기 하기 좋은 운동으로는 요가와 스트레칭이 있다. 이 같은 운동은 고강도 운동보다 부담이 덜 하고, 생리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철분과 헤모글로빈 수치가 다시 정상적인 균형을 이룰 때까지 힘이 약해질 수도 있으니, 운동 강도 역시 잘 조절하도록 한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26271/%ec%9b%94%ea%b2%bd-%ec%a3%bc%ea%b8%b0%eb%b3%84-%ec%9a%b4%eb%8f%99-%ec%9a%94%eb%a0%b9%ec%9d%80/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6319
    read more
  2. 하루종일 앉아 있다면 몇시간 운동이 적당할까?

    종일 앉아서 일하는 사람이 건강을 유지하려면 얼마나 운동해야 할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생각보다 적은 운동량도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사무직 종사자들은 앉아있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따로 시간을 내 운동을 해야 한다. 하지만 일을 하며 에너...
    Date2020.12.08 Byflexmun Views617
    Read More
  3. 집에서 허리 강화운동하기

    요통으로 불리는 허리 통증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증상의 하나로 막대한 건강관리 비용이 들어간다. 허리 통증이 자꾸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복부와 허리 근육을 강화시켜주는 운동이 도움이 된다. 급성 통증이 사라진 후 규칙적으로 허리 강화 ...
    Date2020.12.06 Byflexmun Views647
    Read More
  4. 과체중이라도 체력이 좋으며 조기사망률이 낮다.

    체력은 육체적 활동을 할 수 있는 몸의 힘을 말한다. 그런데 체중에 관계없이 체력이 좋으면 사망과 질병 발생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 연구팀이 60세 이상 남녀 2600여명을 12년간 관찰한 결과, 비만 여부에 상관...
    Date2020.12.01 Byflexmun Views62574
    Read More
  5. 당뇨에는 운동강도보다 빈도가 중요하다.

    운동은 짧게, 자주 하는 게 좋을까? 가끔하더라도 오래 하는 게 좋을까? 당뇨 환자라면 전자를 택하는 게 적절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당뇨병은 진행될수록 혈관 기능이 떨어진다. 따라서 잠깐 체조를 하는 정도에 그치더라도 자주 일어서는 게 다리로 가...
    Date2020.11.30 Byflexmun Views539
    Read More
  6. 엉덩이 근육이 중요한 이유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면서 유난히 힘이 약해지고 쇠퇴하는 부위가 있다. 바로 엉덩이 근육이다. 어느 순간 엉덩이를 만져보면 근육이 감소하고 자꾸 처진다는 느낌이 온다. 거울에 자신의 엉덩이를 비춰보고 우울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30대 후반-40...
    Date2020.11.18 Byflexmun Views846
    Read More
  7. 근력운동이 우울증을 줄일수 있다.

    스쿼트, 팔굽혀 펴기 등 웨이트트레이닝이 심리적 불안을 누그러뜨리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운동이 우울증을 완화하고 행복감을 높인다는 기존 연구는 여럿이지만, 대부분 달리기나 자전거 타기 등 유산소 운동의 효과에 관한 결과들이었다...
    Date2020.11.10 Byflexmun Views533
    Read More
  8.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걷기 방법

    느긋하게 천천히 걷는 걸음은 비타민D를 얻기 위해, 졸음을 쫓기 위해, 강아지 산책을 위해선 좋다. 하지만 다이어트를 위해 혹은 운동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여유로운 걸음이 아니라, 땀이 날 정도로 빠르게 걸어야 한다. 주로 앉아서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은...
    Date2020.11.04 Byflexmun Views17736
    Read More
  9. 농부걸음 운동법을 아세요

    운동 방법 중 ‘농부 걸음(Farmer’s Walk)’이라는 운동법이 있다. 이 운동은 농부들이 양손에 무거운 짐을 들고 나르는 것처럼, 양손으로 무거운 덤벨을 들고 걷는 운동이다. 복부, 등, 허리, 둔부 등의 코어 근력을 강화하고, 골반 주변의 ...
    Date2020.10.31 Byflexmun Views618
    Read More
  10. 여성 월경주기별 운동법

    여성의 활동성은 월경 주기의 영향을 받는다. 월경으로 컨디션 난조에 빠지면 일주일 이상 운동을 미루게 되는데, 이는 전반적인 운동 루틴을 망가뜨릴 수 있다. 따라서 매일 똑같은 운동 패턴을 고집하는 것보단 월경 주기에 맞춰 유연하게 변주를 주는 것이...
    Date2020.10.27 Byflexmun Views529
    Read More
  11. 유산소운동 무산소운동 같이? 따로?

    운동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 유산소운동은 걷고 뛰는 형태의 운동이고, 무산소운동은 보통 ‘근력운동’이라 불리는 형태의 운동이다. 근력운동을 할 때도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데 왜 무산소운동이라고 할까?...
    Date2020.10.26 Byflexmun Views8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05 Next
/ 10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