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29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당뇨인 1000만 명 시대. 무심코 먹는 식품이 설탕투성이라면? 단맛도 안 나는데 의외로 당분이 범벅인 식품이 많다. 지나친 당류 섭취는 첨가당(added sugar)이 진짜 문제다. 과일의 과당이나 유제품의 유당처럼 식품 자체에 들어 있는 천연당은 신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고 섬유질이나 단백질 같은 영양소가 함께 들어 있다.

하지만 액상과당, 올리고당 같은 첨가당은 빨리 소화되고 혈당을 급격히 올린다. 첨가당의 과다섭취는 지방간, 인슐린 저항성, 제2형 당뇨병, 전신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과체중과 비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2016년 한 연구는 많은 사람이 가공식품을 통해 90%의 첨가당을 먹고 있다는 걸 밝혀냈다. 식품 전문가들이 알려준 비밀 설탕 폭탄 다섯 가지를 소개한다.

1. 맛을 낸 요거트 = 요거트는 좋은 식품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종류에 따라 다르다. 과일이 바닥에 깔린 요거트는 피하라. 요거트에 들어가는 과일은 일반 과일보다 설탕이 더 많이 첨가된다. 무설탕 요거트에 계피, 신선한 과일, 달지 않은 사과, 구운 견과류, 그리고 씨앗 등을 첨가해 먹는 것을 적극 추천한다.

2. 통조림 스프 = 통조림 스프에는 소금도 많이 들어 있지만 첨가당도 많이 들어 있다. 보통 토마토로 만든 스프가 첨가당이 많은 편이다. 맛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설탕으로 토마토의 산도를 줄이기 때문이다. 토마토 캔 스프를 고를 때 성분표를 잘 확인해야 한다.

3. 샐러드드레싱 = 샐러드드레싱은 체중 감량 때 선택할 수 있는 건강에 좋은 우선 선택지처럼 보이지만 사실이 아니다. 드레싱에는 지방뿐만 아니라 설탕도 많이 들어 있다. 지방이 안 들어간 드레싱은 맛이 떨어져 설탕을 더 넣는 경향이 있다.

4. 병에 든 토마토소스 = 병에 든 토마토소스는 편리하지만 토마토의 신맛을 줄이고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설탕이 첨가된다.

5. 과일 주스 = 과일 주스가 모두 똑같이 만들어지는 건 아니다. 100% 순수 오렌지 주스가 있는가 하면 주스라고 표기됐지만 설탕과 다른 성분이 많이 들어간 것도 있다. 제품 라벨을 확인하고 가급적 ‘100% 주스’, ‘무설탕’이라고 표시된 주스를 사라. 사과나 포도 같은 과일을 직접 먹는 것이 제2형 당뇨병 위험을 낮추는 데 유리하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28761/%eb%b9%84%eb%b0%80-%ec%84%a4%ed%83%95-%ed%8f%ad%ed%83%84-%ec%8b%9d%ed%92%88-%eb%8b%a4%ec%84%af-%ea%b0%80%ec%a7%80/

 


  1. 콩요리를 많이 먹으면 폐가 건강해진다.

    산업이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 가장 시달리는 신체기관 중 하나가 바로 폐다. 호흡을 담당하는 기관인 폐에 각종 공해물질로 오염된 공기와 미세먼지에 더해 코로나바이러스까지 심각한 위협이 가해지고 있다. 이런 외부 환경의 공격에 폐 안쪽에 있는 허파꽈...
    Date2020.12.28 Byflexmun Views440
    Read More
  2. 겨울 실내 온도 비만과 관련있다.

    추운 겨울철에는 실내를 따뜻하게 해야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보일러를 과하게 가동시켜 온도를 너무 높이는 것도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와 관련해 겨울철 실내 온도를 너무 높이면 난방비도 많이 들거니와 체중이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
    Date2020.12.27 Byflexmun Views400
    Read More
  3. 물을 먹으면 좋은 경우 7

    물을 충분히 마셔야 건강에 좋다는 상식은 누구나 알고 있다. 물은 소화기관을 비롯, 심장 폐 그리고 뇌의 기능에 필수적이기때문이다. 하루 권장 물 섭취량은 몸무게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하루에 1.5~2리터를 조금씩 나눠 마시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Date2020.12.23 Byflexmun Views349
    Read More
  4. 임신 수유기 산모의 영양 아이 비만에 영향을 준다.

    임신과 수유 시기 모체의 영양 결핍 또는 과잉이 자식의 성인기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전이 규명됐다. 모체의 부적절한 영양이 자식의 생애 초기 대사환경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인이 됐을 때도 비만과 대사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 서...
    Date2020.12.21 Byflexmun Views276
    Read More
  5. 만성피로 탈출법

    잠자리에서 일어나자마자 피곤함을 느낀다. 종일 머리가 무겁고, 손 하나 까딱하기 싫다. 사람을 무력하게 만드는 만성피로. 어떻게 해야 벗어날 수 있을까. ‘더가디언닷컴’이 소개한 만성피로 탈출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1. 원인을 파악하라 정...
    Date2020.12.20 Byflexmun Views334
    Read More
  6. 비타민 결핍 증상

    혀 궤양이나 두통이 자주 일어나면 심각한 질환의 징후일 수 있다. 하지만 비타민 등 각종 영양소가 부족했을 때에도 이런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데일리메일’이 소개한 비타민 결핍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과 이를 해결하는데 도...
    Date2020.12.17 Byflexmun Views323
    Read More
  7. 커피 건강에 이롭게 먹자

    커피 섭취는 장단점이 있다. 간암 예방 등 건강효과가 입증된 면이 있지만 위염, 위궤양 등 위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물론 카페인 과다 섭취로 인한 불면증 등도 있다. 커피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커피에 풍부한 항산화 성분 덕분이다. 커피에 ...
    Date2020.12.16 Byflexmun Views314
    Read More
  8. 숙면을 위한 음식과 아닌음식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모두가 유례없는 스트레스를 받았던 한 해. 따라서 불면으로 고생하는 사람도 크게 늘었다. 숙면을 취하는 데 중요한 건 운동, 규칙적인 취침 습관, 스크린 타임 축소. 그리고 건강한 식단이다. 미국 ‘뉴욕 타임스’에 다르...
    Date2020.12.13 Byflexmun Views335
    Read More
  9. 식이 섬유만 잘먹어도 주당 500g은 빠진다.

    체중 감량 목표치를 크게 잡으면 버거워 포기하기 쉽다. 다이어트 비수기인 만큼 조급해하지 말고 목표치를 실천 가능한 수준으로 잡도록 한다. 그러면 다이어트를 실천하기 수월해지고, 자신과의 약속을 지키는 빈도가 늘어나면서 자신감이 붙는다. 스스로를...
    Date2020.12.10 Byflexmun Views288
    Read More
  10. 생각지 못한 설탕폭탄 식품 5가지

    당뇨인 1000만 명 시대. 무심코 먹는 식품이 설탕투성이라면? 단맛도 안 나는데 의외로 당분이 범벅인 식품이 많다. 지나친 당류 섭취는 첨가당(added sugar)이 진짜 문제다. 과일의 과당이나 유제품의 유당처럼 식품 자체에 들어 있는 천연당은 신체에 필요...
    Date2020.12.09 Byflexmun Views29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121 Next
/ 12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