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2020.12.20 17:14

만성피로 탈출법

조회 수 30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잠자리에서 일어나자마자 피곤함을 느낀다. 종일 머리가 무겁고, 손 하나 까딱하기 싫다. 사람을 무력하게 만드는 만성피로. 어떻게 해야 벗어날 수 있을까. ‘더가디언닷컴’이 소개한 만성피로 탈출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1. 원인을 파악하라

정확한 상태를 아는 것이 우선이다. 전문가들은 “졸린 사람은 하품을 참기 힘들고, 어디든 앉으면 고개를 떨구며 잠들게 된다”며 “반면 피곤한 사람은 짜증이 나고, 기운이 없고, 집중력이 떨어진다”고 말한다. 만약 피곤한 것이라면 원인이 스트레스인지, 빈혈인지, 아니면 호르몬 불균형인지 살펴야 한다.

2. 30분 더 자라

TV를 더 보자고 잠 잘 시간을 미루는 건 좋지 않다. 30분 늦게 자면 다음날 내내, 즉 깨어 있는 내내 피곤할 것이다.

이는 30분만 일찍 자도 다음날을 생생하게 보낼 수 있다는 뜻이 된다. 전문가들은 “매일 30분 더 자는 게 커다란 변화를 만든다”면서 “한 달 동안 꾸준하게 실천한다면 바로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3. 숙면 규칙을 지켜라

밤에 푹 잘 자면 낮에 피곤할 확률이 낮아진다. 숙면을 위해 필요한 규칙들을 지켜야 한다. 우선 술과 담배, 카페인은 멀리 해야 한다.

한밤중에 푸짐한 야식을 먹는 버릇도 버려야 한다. 대신 따뜻한 우유나 캐모마일차를 마시면서 독서를 하는 게 좋다. 텔레비전이나 휴대폰 등 디지털 기기에서 나오는 블루 라이트는 숙면을 방해한다.

4. 침실에서 휴대폰 사용을 억제하라

자다가 깰 수는 있다. 자다 일어나 주변을 둘러보고, 안심하며 다시 잠들면 괜찮다. 그러나 다시 눕는 대신 휴대폰을 집는다면 수면을 방해할 수 있다.

침실에는 휴대폰을 들이지 말아야 한다. 알람으로 이용한다거나 비상사태에 대비해야 한다거나 하는 이유가 있다면, 자다 깬 정신으로는 집어 들기 어렵게 좀 멀리 두는 게 좋다.

5. 단백질을 섭취하라

단백질 섭취에 신경을 써야 한다. 전문가들은 “단백질을 충분히 먹으면 혈당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오후에 당과 함께 기운이 뚝 떨어지는 상황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생선, 고기, 달걀, 견과류와 씨앗류를 챙겨 먹으면 된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29440/%ed%95%9c-%ea%b2%83%eb%8f%84-%ec%97%86%eb%8a%94%eb%8d%b0-%ed%94%bc%ea%b3%a4%eb%a7%8c%ec%84%b1%ed%94%bc%eb%a1%9c-%ed%83%88%ec%b6%9c%eb%b2%95-5/

 

 


  1. 음식냄새 덜 맡으면 살빠진다.

    맛있는 음식 냄새를 맡으면 침이 고이고, 입맛이 돋는다. 그렇다면 냄새를 차단함으로써 식욕을 통제하고 나아가 살을 빼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이스라엘의 텔아비브 대학교, 웨스턴 갈릴리 대학교 등 연구진이 65명의 비만한 성인을 두 그룹으로 나눠 그...
    Date2020.12.29 Byflexmun Views316
    Read More
  2. 콩요리를 많이 먹으면 폐가 건강해진다.

    산업이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 가장 시달리는 신체기관 중 하나가 바로 폐다. 호흡을 담당하는 기관인 폐에 각종 공해물질로 오염된 공기와 미세먼지에 더해 코로나바이러스까지 심각한 위협이 가해지고 있다. 이런 외부 환경의 공격에 폐 안쪽에 있는 허파꽈...
    Date2020.12.28 Byflexmun Views405
    Read More
  3. 겨울 실내 온도 비만과 관련있다.

    추운 겨울철에는 실내를 따뜻하게 해야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보일러를 과하게 가동시켜 온도를 너무 높이는 것도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와 관련해 겨울철 실내 온도를 너무 높이면 난방비도 많이 들거니와 체중이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
    Date2020.12.27 Byflexmun Views370
    Read More
  4. 물을 먹으면 좋은 경우 7

    물을 충분히 마셔야 건강에 좋다는 상식은 누구나 알고 있다. 물은 소화기관을 비롯, 심장 폐 그리고 뇌의 기능에 필수적이기때문이다. 하루 권장 물 섭취량은 몸무게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하루에 1.5~2리터를 조금씩 나눠 마시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Date2020.12.23 Byflexmun Views327
    Read More
  5. 임신 수유기 산모의 영양 아이 비만에 영향을 준다.

    임신과 수유 시기 모체의 영양 결핍 또는 과잉이 자식의 성인기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전이 규명됐다. 모체의 부적절한 영양이 자식의 생애 초기 대사환경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인이 됐을 때도 비만과 대사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 서...
    Date2020.12.21 Byflexmun Views258
    Read More
  6. 만성피로 탈출법

    잠자리에서 일어나자마자 피곤함을 느낀다. 종일 머리가 무겁고, 손 하나 까딱하기 싫다. 사람을 무력하게 만드는 만성피로. 어떻게 해야 벗어날 수 있을까. ‘더가디언닷컴’이 소개한 만성피로 탈출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1. 원인을 파악하라 정...
    Date2020.12.20 Byflexmun Views309
    Read More
  7. 비타민 결핍 증상

    혀 궤양이나 두통이 자주 일어나면 심각한 질환의 징후일 수 있다. 하지만 비타민 등 각종 영양소가 부족했을 때에도 이런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데일리메일’이 소개한 비타민 결핍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과 이를 해결하는데 도...
    Date2020.12.17 Byflexmun Views302
    Read More
  8. 커피 건강에 이롭게 먹자

    커피 섭취는 장단점이 있다. 간암 예방 등 건강효과가 입증된 면이 있지만 위염, 위궤양 등 위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물론 카페인 과다 섭취로 인한 불면증 등도 있다. 커피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커피에 풍부한 항산화 성분 덕분이다. 커피에 ...
    Date2020.12.16 Byflexmun Views285
    Read More
  9. 숙면을 위한 음식과 아닌음식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모두가 유례없는 스트레스를 받았던 한 해. 따라서 불면으로 고생하는 사람도 크게 늘었다. 숙면을 취하는 데 중요한 건 운동, 규칙적인 취침 습관, 스크린 타임 축소. 그리고 건강한 식단이다. 미국 ‘뉴욕 타임스’에 다르...
    Date2020.12.13 Byflexmun Views304
    Read More
  10. 식이 섬유만 잘먹어도 주당 500g은 빠진다.

    체중 감량 목표치를 크게 잡으면 버거워 포기하기 쉽다. 다이어트 비수기인 만큼 조급해하지 말고 목표치를 실천 가능한 수준으로 잡도록 한다. 그러면 다이어트를 실천하기 수월해지고, 자신과의 약속을 지키는 빈도가 늘어나면서 자신감이 붙는다. 스스로를...
    Date2020.12.10 Byflexmun Views2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