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임신과 수유 시기 모체의 영양 결핍 또는 과잉이 자식의 성인기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전이 규명됐다.

모체의 부적절한 영양이 자식의 생애 초기 대사환경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인이 됐을 때도 비만과 대사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김민선 교수팀과 카이스트 손종우 교수팀이 이 같은 연구 내용을 발표했다.

발달시기 뇌 시상하부(식욕조절기관) 신경세포에 존재하는 일차 섬모는 식욕을 조절하는 신경회로 생성에 매우 중요하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모체로부터 공급받는 영양이 과잉 또는 결핍되면 섬모 형성이 억제돼, 성인기에 비만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일차 섬모는 세포 표면에 머리카락처럼 솟아 있는 구조물로, 대사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들에서 섬모 장애 질환과 비만 발생의 연관성이 제시돼 왔으나, 구체적인 기전을 규명해낸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이 발달기 쥐의 뇌 시상하부 신경세포에서 일차 섬모가 만들어지는 것을 억제하자, 식욕조절회로 생성이 저하됐고 성인기에 이르러서는 과식증과 심한 비만증이 나타났다.

또한 임신과 수유 중인 어미 쥐에게 고지방식과 저단백식 등 영양이 불균형한 식단을 먹이자, 자손 쥐의 뇌 시상하부 신경세포에서 섬모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선행 연구에서 비만 쥐의 뇌 시상하부 신경세포의 섬모 길이가 짧으며, 이로 인해 에너지 과잉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고 살이 찐다는 점을 처음 규명한 바 있다.

이번 연구는 이에 더해 해당 섬모가 식욕조절회로 형성에 전적으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 섬모의 대사 조절 작용을 구체화시켰다.

김민선 교수는 “자식이 생애 초기 노출되는 대사환경은 모체가 임신과 수유 중 섭취하는 영양에 따라 달라지며 이 대사환경에 맞춰 몸의 대사 상태가 프로그래밍된다”며 “모체의 영양 불균형이 자손의 성인기에 대사질환을 유발하는 등 자손의 생애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이 밝혀졌다. 임신과 수유 기간 동안 균형 잡힌 식사를 유지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과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으며, 국제과학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최근호에 게재됐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29418/%ec%9e%84%ec%8b%a0%c2%b7%ec%88%98%ec%9c%a0-%eb%95%8c-%eb%82%98%ec%81%9c-%ec%98%81%ec%96%91-%ec%9e%90%eb%85%80-%eb%b9%84%eb%a7%8c-%ec%9c%a0%eb%8f%84-%ec%97%b0%ea%b5%ac/

 


  1. 음식냄새 덜 맡으면 살빠진다.

    맛있는 음식 냄새를 맡으면 침이 고이고, 입맛이 돋는다. 그렇다면 냄새를 차단함으로써 식욕을 통제하고 나아가 살을 빼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이스라엘의 텔아비브 대학교, 웨스턴 갈릴리 대학교 등 연구진이 65명의 비만한 성인을 두 그룹으로 나눠 그...
    Date2020.12.29 Byflexmun Views316
    Read More
  2. 콩요리를 많이 먹으면 폐가 건강해진다.

    산업이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 가장 시달리는 신체기관 중 하나가 바로 폐다. 호흡을 담당하는 기관인 폐에 각종 공해물질로 오염된 공기와 미세먼지에 더해 코로나바이러스까지 심각한 위협이 가해지고 있다. 이런 외부 환경의 공격에 폐 안쪽에 있는 허파꽈...
    Date2020.12.28 Byflexmun Views405
    Read More
  3. 겨울 실내 온도 비만과 관련있다.

    추운 겨울철에는 실내를 따뜻하게 해야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보일러를 과하게 가동시켜 온도를 너무 높이는 것도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와 관련해 겨울철 실내 온도를 너무 높이면 난방비도 많이 들거니와 체중이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
    Date2020.12.27 Byflexmun Views370
    Read More
  4. 물을 먹으면 좋은 경우 7

    물을 충분히 마셔야 건강에 좋다는 상식은 누구나 알고 있다. 물은 소화기관을 비롯, 심장 폐 그리고 뇌의 기능에 필수적이기때문이다. 하루 권장 물 섭취량은 몸무게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하루에 1.5~2리터를 조금씩 나눠 마시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Date2020.12.23 Byflexmun Views327
    Read More
  5. 임신 수유기 산모의 영양 아이 비만에 영향을 준다.

    임신과 수유 시기 모체의 영양 결핍 또는 과잉이 자식의 성인기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전이 규명됐다. 모체의 부적절한 영양이 자식의 생애 초기 대사환경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인이 됐을 때도 비만과 대사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 서...
    Date2020.12.21 Byflexmun Views258
    Read More
  6. 만성피로 탈출법

    잠자리에서 일어나자마자 피곤함을 느낀다. 종일 머리가 무겁고, 손 하나 까딱하기 싫다. 사람을 무력하게 만드는 만성피로. 어떻게 해야 벗어날 수 있을까. ‘더가디언닷컴’이 소개한 만성피로 탈출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1. 원인을 파악하라 정...
    Date2020.12.20 Byflexmun Views309
    Read More
  7. 비타민 결핍 증상

    혀 궤양이나 두통이 자주 일어나면 심각한 질환의 징후일 수 있다. 하지만 비타민 등 각종 영양소가 부족했을 때에도 이런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데일리메일’이 소개한 비타민 결핍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과 이를 해결하는데 도...
    Date2020.12.17 Byflexmun Views302
    Read More
  8. 커피 건강에 이롭게 먹자

    커피 섭취는 장단점이 있다. 간암 예방 등 건강효과가 입증된 면이 있지만 위염, 위궤양 등 위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물론 카페인 과다 섭취로 인한 불면증 등도 있다. 커피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커피에 풍부한 항산화 성분 덕분이다. 커피에 ...
    Date2020.12.16 Byflexmun Views285
    Read More
  9. 숙면을 위한 음식과 아닌음식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모두가 유례없는 스트레스를 받았던 한 해. 따라서 불면으로 고생하는 사람도 크게 늘었다. 숙면을 취하는 데 중요한 건 운동, 규칙적인 취침 습관, 스크린 타임 축소. 그리고 건강한 식단이다. 미국 ‘뉴욕 타임스’에 다르...
    Date2020.12.13 Byflexmun Views304
    Read More
  10. 식이 섬유만 잘먹어도 주당 500g은 빠진다.

    체중 감량 목표치를 크게 잡으면 버거워 포기하기 쉽다. 다이어트 비수기인 만큼 조급해하지 말고 목표치를 실천 가능한 수준으로 잡도록 한다. 그러면 다이어트를 실천하기 수월해지고, 자신과의 약속을 지키는 빈도가 늘어나면서 자신감이 붙는다. 스스로를...
    Date2020.12.10 Byflexmun Views2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