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45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다이어트 관련 정보들이 넘쳐흐르는 세상이다. 그러다보니 어떤 것이 올바른 정보이고, 어떤 것이 과장되거나그릇된 속설인지 판단하기도 쉽지 않다. 자칫 잘못된 선택으로 몸은 몸대로 고생하고, 체중감량은 커녕 건강을 해쳐선 안될 일이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철썩 같이 믿고 있는, 다이어트에 관련된 가장 흔한 오해는 어떤 것이 있을까. ‘메디컬뉴스투데이’에서 체중감량에 대한 상식의 허실을 짚어보고, ‘잘못 알려진 의학적 신화 11’를 소개했다.

1. 아침을 굶으면 체중감량 효과? = 아침식사와 다이어트 관계에 대한 전문가들 의견은 지금도 엇갈린다. 그러나 2020년 비만 연구 저널에 참고할만한 논문이 실렸다. 같은 주제로 이전에 발표된 2045건의 연구를 분석 종합한 이 논문에서의 결론은 이렇다. 아침식사를 거르는 것은 과체중과 관련이 있다. 또한 과체중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2. ‘지방을 태우는’ 음식? = 어떤 사람들은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체내지방을 잘 연소시키는 음식이 따로 있다고 주장한다. 파인애플 생강 양파 아보카도 아스파라가스 셀러리 녹차 마늘 브로콜리 등이 여기 속한다. 건강한 식재료인 것은 사실이지만 특별히 체중감량에 효과적이라는 과학적 근거는 거의 없단다.

3. 체중감량 보조제로 살 뺀다? = 미국 식품의약안전국에서 다이어트 효과를 앞세운 시판 제품을 조사한 결과 안전하지 않은 성분이 포함된 보조제가 대량으로 발견됐다. 아예 효과없거나 위험하거나, 혹은 둘 다일 가능성이 있는 만큼 세심한 주의가 필요.

4. 지방함량 줄인 음식은 오케이? = 지방은 줄였는지 몰라도 때때로 설탕 소금 등을 첨가 보충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지방함유량 줄였다”는게 반드시 ‘저지방’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5. 간식은 해롭다? = 식사시간 이외에 먹는 음식을 무조건 죄악시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간식은 어떤 종류를 먹는 지에 따라 다면성을 갖고 있다. 식사 빈도와 다이어트의 관계를 조사한 논문에 따르면 “하루에 세 끼와 두 번 스낵을 먹는 패턴이 체중 감량 유지에 중요할 수 있다”고 한다.

6. 달콤한 간식은 엄금? = 앞서 언급한 ‘신화’와 관계가 있다. 설탕이 듬뿍 들어있는 고지방 음식의 제한은 필요하다. 그렇다고 완전무결한 배제는 되레 역효과를 낼 수 있다. 영국 심장 재단에서는 자신이 즐기는 모든 음식을 포기하는 것은 다이어트 지속에 무리수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7. 좋은 당분과 나쁜 설탕? = 설탕과 달리 메이플 시럽이나 꿀처럼 최소한으로 가공된 것은 실컷 먹어도 건강에 좋다는 믿는 사람이 있다. 어떤 것이든 당분 함량이 높은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 것은 다이어트에 위배된다.

8. 설탕을 몰아낸다? = 모든 것이 그렇듯이 절제가 관건이다.

9. 인공감미료는 유익해? = 인공감미료의 정기적 섭취가 체질량 지수 증가 혹은 심혈관계 위험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기존 연구 37건을 메타분석한 2017년의 논문에 실린 내용이다.

10. 특정 부위만 겨냥해 다이어트? = 뱃살 등 특정 신체부위를 목표로 한 다이어트는 어불성설. 체중감량에 곁들여 특정 부위에 집중된 운동을 했을 때 그런 다이어트가 가능하다는 ‘인상’을 받을 수도 있다.

11. 유행 다이어트에 의지한다? = 패션트렌드처럼 다이어트에도 분명 유행이 있다. 한데 반짝 유행 다이어트는 장기적으로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누구가 알고 있듯이 칼로리 섭취는 줄이고 운동량을 늘리는 방법 말고는 의심의 여지가 충분하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30505/%eb%8b%a4%ec%9d%b4%ec%96%b4%ed%8a%b8-%eb%8f%84%ec%9b%80%ec%95%88%eb%90%98%eb%8a%94-%ec%8b%a0%ed%99%94-11/

 


  1. 전세계 숙취해소 음식

    스파게티, 콩나물국밥, 블러디 시저의 공통점은? 민족마다 식성이 다르듯, 전 세계 숙취해소 음식도 천차만별이다. 과음으로 거북한 속을 달래주기 위해 뜨끈한 국물을 선호하는 우리와 달리 스파게티, 칵테일로 속을 달래는 세계인들도 있다. 내셔널 지오그...
    Date2021.01.28 Byflexmun Views358
    Read More
  2. 오메가3 코로나 사망위험 낮춘다.

    오메가3 지방산이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감염 환자 중 오메가3 지방산의 혈중 수치가 높은 사람이 그 수치가 낮은 사람보다 코로나로 사망할 위험이 크게 4배까지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오메가3 지방산...
    Date2021.01.27 Byflexmun Views443
    Read More
  3. 부작용을 조심해야하는 건강보충제

    영양 보충제 또은 건강기능식품을 고를 때는 신중해야 한다. 몸에 좋다고 해서 먹은 약이 반대로 건강을 해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뼈가 튼튼해진다는 설명에 먹기 시작했는데 신장에 무리가 가는 식으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것. 지병이 있거...
    Date2021.01.26 Byflexmun Views423
    Read More
  4. 뚱뚱해도 건강할수 있다.? 건강할수 없다.?

    “뚱뚱해도 건강할 수 있다(fat but fit)”는 이론은 매혹적이다. 비만이더라도 혈압, 혈당 등의 요소가 정상 범주 안에 있으면 건강하다고 전제하기 때문에, 굳이 체중 감량을 위해 애쓰지 않아도 된다. 언뜻 그럴싸하지만 이마저도 건강에 좋지 ...
    Date2021.01.25 Byflexmun Views389
    Read More
  5. 신경손상된 마비 치료가능성이 열였다.

    독일 연구팀이 척수 손상으로 마비된 쥐를 다시 걸을 수 있게 만들었다. 연구팀은 주사 요법을 통해 지금까지 포유류에서 회복 불가능한 부분으로 알려진 손상 섬유를 재건했다. 사람도 척수 손상을 입는다. 교통사고나 스포츠로 발생한 부상 등으로 생긴 외...
    Date2021.01.23 Byflexmun Views369
    Read More
  6. 튀김의 유혹에서 벗어나야하는 이유

    튀김 섭취가 조금만 늘어도 심혈관 질환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선전대학교 등 연구진은 이미 발표된 19개 연구에서 56만 명, 6개 연구에서 75만 명의 데이터를 추출했다. 튀김을 가장 적게 먹은 그룹과 비교할 때 가장 많이 먹은 ...
    Date2021.01.21 Byflexmun Views296
    Read More
  7. 설탕에 대한 오해와 진실

    영국에서는 해마다 1월 설탕에 대한 인식과 경각심을 높이기 위한 활동주간이 개막한다. 올해는 18~24일로 정했으나 코로나로 캠페인이 미뤄졌다. 적을 알아야 적을 이길 수 있다. 설탕에 대한 이해 없이 막연하게 설탕만 안먹는다고 비만 등 문제가 저절로 ...
    Date2021.01.20 Byflexmun Views320
    Read More
  8. 인공감미료 설탕보다 몸에 덜 해로울까?

    ‘다이어트’, ‘무설탕’ 등의 수식어를 앞세운 음료들이 있다. 설탕 대신 인공감미료를 넣은 제품들이다. 설탕을 넣은 제품보다 건강에 이로울까? 적어도 덜 해로울까? 최신 연구에 따르면 그저 마시는 사람의 ‘희망 사항’...
    Date2021.01.18 Byflexmun Views372
    Read More
  9. 거식증 장내 환경이 다르다.

    거식증은 섭식장애 중 하나로 장기간 심각할 정도로 음식을 거절함으로써 나타나는 질병이다. 아직까지 치료법이 밝혀지지 않았고 오랫동안 심리학적인 문제로 여겨져 온 가운데, 최근 연구에서 장내 미생물이 거식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결...
    Date2021.01.14 Byflexmun Views338
    Read More
  10. 단백질 보충제에 대한 올바른이해

    예전에는 보디빌더를 위한 틈새상품이었던 단백질 보충제, 지금은 일반인들이 즐겨 찾는다. 근육량을 늘려 멋진 몸을 만들기 위해서, 다이어트를 위해서,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기 위해서 등등. 그 이유는 제각각이다. 보충제의 종류도 다양하다. 단백질 파우...
    Date2021.01.13 Byflexmun Views41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121 Next
/ 121
위로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