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28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영국에서는 해마다 1월 설탕에 대한 인식과 경각심을 높이기 위한 활동주간이 개막한다. 올해는 18~24일로 정했으나 코로나로 캠페인이 미뤄졌다.

적을 알아야 적을 이길 수 있다. 설탕에 대한 이해 없이 막연하게 설탕만 안먹는다고 비만 등 문제가 저절로 사라질 리 없다. 때마침 ‘메디컬뉴스투데이’가 설탕 인식 주간을 맞아 설탕을 둘러싼 속설과 오해를 다뤘다.

설탕을 옹호하려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알고 대비하자는 취지다. 예를 들어 오늘날 소비되는 설탕의 대부분은 우리가 아는 설탕의 형태가 아니라 가공 식품에 ‘숨겨져’ 있다. 예를 들어, 케첩 1큰술에는 4g, 탄산음료 한 캔에는 40g의 당이 들어 있다.

설탕은 중독성이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설탕이 중독성 물질이라고 믿는다. 카디프대 심리학과 도미닉 드와이어 교수는 “일부 사람에게는 중독과 비슷한 행동이 분명 존재하지만 소수의 비만인에게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건강 전문가들이 중독성 물질로 분류하지 않는 이유다. 그래도 설탕은 중독성과 비슷한 잠재력을 갖고 있으며 음식의 과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설탕은 어린이의 과잉행동을 부른다?

설탕과 관련된 가장 흔한 속설이지만 과학적 증거는 현재 없다. 기존 연구와 실험 등에 대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설탕이 아이들의 행동이나 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설탕은 당뇨병을 유발한다?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으나 내용을 보면 복잡하다. 과체중과 비만은 제2형 당뇨병의 위험 요소이며, 높은 수준의 설탕을 섭취하는 것은 과체중이나 비만의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다이어트를 할 때는 과일을 피한다?

달콤한 과일은 ‘체중감량에 금물’이라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 과일은 비타민과 미네랄, 섬유질 등 건강에 유익한 화합물을 포함해 건강에 이롭다는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과일을 철저히 배제하는 것은 잘못된 선택일 수도 있다.

식단에서 설탕을 배제해야만한다?

설탕 섭취를 줄이는 것은 타당하지만 식단에서 완전히 제거할 경우 보상심리때문에 역효과를 부를 가능성이 있다. 단, 탄산음료와 같은 달콤한 음료는 신장 손상, 세포 노화, 비만, 제2형 당뇨병 등 여러 측면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런 음료를 멀리하는 것은 나쁜 선택이 아니다.

속설의 진위가 어떻든 설탕의 과도한 섭취는 건강에 좋지 않다. 인생의 많은 일이 그렇듯 중용이 핵심.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당 섭취량을 전체 에너지 섭취량의 10% 미만으로 유지하면 과체중, 비만, 충치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확실한 증거가 있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31704/%ec%84%a4%ed%83%95%ec%97%90-%ea%b4%80%ed%95%9c-%ec%86%8d%ec%84%a4%ea%b3%bc-%ec%98%a4%ed%95%b4/

 


  1. 튀김의 유혹에서 벗어나야하는 이유

    튀김 섭취가 조금만 늘어도 심혈관 질환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선전대학교 등 연구진은 이미 발표된 19개 연구에서 56만 명, 6개 연구에서 75만 명의 데이터를 추출했다. 튀김을 가장 적게 먹은 그룹과 비교할 때 가장 많이 먹은 ...
    Date2021.01.21 Byflexmun Views260
    Read More
  2. 설탕에 대한 오해와 진실

    영국에서는 해마다 1월 설탕에 대한 인식과 경각심을 높이기 위한 활동주간이 개막한다. 올해는 18~24일로 정했으나 코로나로 캠페인이 미뤄졌다. 적을 알아야 적을 이길 수 있다. 설탕에 대한 이해 없이 막연하게 설탕만 안먹는다고 비만 등 문제가 저절로 ...
    Date2021.01.20 Byflexmun Views287
    Read More
  3. 인공감미료 설탕보다 몸에 덜 해로울까?

    ‘다이어트’, ‘무설탕’ 등의 수식어를 앞세운 음료들이 있다. 설탕 대신 인공감미료를 넣은 제품들이다. 설탕을 넣은 제품보다 건강에 이로울까? 적어도 덜 해로울까? 최신 연구에 따르면 그저 마시는 사람의 ‘희망 사항’...
    Date2021.01.18 Byflexmun Views345
    Read More
  4. 거식증 장내 환경이 다르다.

    거식증은 섭식장애 중 하나로 장기간 심각할 정도로 음식을 거절함으로써 나타나는 질병이다. 아직까지 치료법이 밝혀지지 않았고 오랫동안 심리학적인 문제로 여겨져 온 가운데, 최근 연구에서 장내 미생물이 거식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결...
    Date2021.01.14 Byflexmun Views307
    Read More
  5. 단백질 보충제에 대한 올바른이해

    예전에는 보디빌더를 위한 틈새상품이었던 단백질 보충제, 지금은 일반인들이 즐겨 찾는다. 근육량을 늘려 멋진 몸을 만들기 위해서, 다이어트를 위해서,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기 위해서 등등. 그 이유는 제각각이다. 보충제의 종류도 다양하다. 단백질 파우...
    Date2021.01.13 Byflexmun Views371
    Read More
  6. 통풍을 예방할수 있을까?

    통풍은 요산이라는 물질이 과다하게 쌓여 생기는 병이다. 몸 밖으로 나가는 대신 관절에 침착한 요산은 결정으로 화해 염증을 유발하는데, 그로 인한 통증이 무지막지하다. 오죽하면 지나가는 사람이 일으킨 바람만 맞아도 아프다고 하여 통풍이라는 이름이 ...
    Date2021.01.11 Byflexmun Views378
    Read More
  7. 잠못들게 하는 음식

    카페인이 든 음료를 오후 늦게 혹은 밤에 마시면 잠을 방해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저녁식사 후 무심코 먹는 간식 중에서도 잠을 잘 오지 않게 하는 것들이 있다. 이와 관련해 ‘헬스닷컴’이 숙면을 막는 뜻밖의 식품 5가지를 소개했...
    Date2021.01.10 Byflexmun Views319
    Read More
  8. 공복에 좋은음식

    아침은 전날 먹은 음식물이 모두 소화되어 뱃속이 비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삼시세끼 중에 공복 상태가 가장 길다. 공복인 경우 위 건강에 특히 신경 써야 한다. 음식을 잘못 선택하면 빈속에 위산분비를 증가시켜 염증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미 위...
    Date2021.01.07 Byflexmun Views476
    Read More
  9. 많이 안먹어도 살찔수 있다.

    많이 먹고 잘 움직이지 않으면 살찌는 게 당연하다. 하지만 그렇지도 않은데 체중계 눈금이 계속 올라간다면…. 살이 찌는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아멘클리닉스닷컴’ 등의 자료를 토대로 체중을 증가시키는 숨어 있는 요...
    Date2021.01.06 Byflexmun Views385
    Read More
  10. 다이어트에 도움이 안되는 상식들

    다이어트 관련 정보들이 넘쳐흐르는 세상이다. 그러다보니 어떤 것이 올바른 정보이고, 어떤 것이 과장되거나그릇된 속설인지 판단하기도 쉽지 않다. 자칫 잘못된 선택으로 몸은 몸대로 고생하고, 체중감량은 커녕 건강을 해쳐선 안될 일이다. 그렇다면 사람...
    Date2021.01.04 Byflexmun Views4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