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3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나이 들면서 차오르는 ‘나잇살’로 고민인 사람들이 많지만, 정상 체중이었다가 천천히 살이 쪄간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겠다. 성인기에 체질량지수가 정상이었던 사람이 나이가 들면서 과체중이 될 경우 가장 오래 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사회학 부교수 후이 정 연구팀은 프레이밍햄 심장연구(Framingham Heart Study)에 참여한 4576명과 그들의 자녀 3753명을 대상으로 세대간의 체질량 지수와 사망률간의 관련성을 역학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역학연구를 다루는 국제 학술지 ‘역학회보(Annals of Epidemiology)’에 발표했다.

 

프레이밍햄 심장연구는 미국 매사추세츠주 프레이밍햄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70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코호트 연구다.

 

연구진은 이 코호트 연구 대상자들을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로 나누고, 그 동안의 건강기록을 살폈다. 이때 부모 세대는 1948년부터 2010년까지, 자녀 세대는 1971년부터 2014년까지의 건강 기록을 검토했다. 두 세대 통틀어 31세부터 80세까지의 건강 기록에서 주로 체질량지수(BMI)에 초점을 맞췄다.

 

건강기록 검토가 끝날 즈음에는 초기 프레이밍햄 심장연구에 참여한 성인 대부분이 사망한 상태였다. 이에 따라 노화가 되면서 이들의 체질량지수가 어떻게 변했는지 파악하고, 비만이 인간 수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보다 정확히 추정할 수 있었다.

 

정상체중이었다가 나이 들어 통통해진 사람, 가장 오래 살아

 

최종 분석 결과, 체질량지수 변화 패턴을 읽을 수 있었는데 부모 세대에서 7가지, 자녀 세대는 6가지의 변화 패턴을 보였다. 부모 세대와 달리 자녀 세대에서는 살면서 계속 체중이 감소하는 패턴이 보이지 않았다. 두 세대에 걸쳐 체중 증가 추세는 상당히 유사했지만, 자녀 세대의 경우 좀 더 어린 나이에 비만이 되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진은 이어 흡연 습관, 성별, 질병 정보, 결혼 여부, 교육 수준 등으로 인한 변수를 고려한 후 각 체질량지수 변화 패턴이 사망률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조사했다.

 

 

 

두 세대에서 결과는 기본적으로 동일했다. 가장 오래 산 비율이 높은 그룹은 성인이 되었을 때 체질량지수가 정상 범위에 있다가 나중에 과체중 범위로 옮겨간 경우들이었다. 나이 들면서 천천히 몸에 살이 찐 사람들이 가장 오래 산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 다음은 평생 정상 체중을 유지한 경우, 안정적으로 과체중을 유지한 경우, 정상 범위 내에서 체질량지수가 낮은 편에 속하는 경우 순서였다. 부모 세대의 경우, 과체중이었다가 점점 체중이 감소하는 경우가 그 뒤를 이었다.

 

뚱뚱한 사람, 계속 뚱뚱하면 사망률 가장 높아

 

가장 사망률이 높은 그룹은 성인기가 되었을 때 비만이었던 사람이 계속해서 체중이 증가하는 경우였다. 이러한 경향은 자녀 세대에서 더 많이 발견됐다. 게다가 자녀 세대에서는 부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른 나이에 체질량지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그 수도 증가했다.

 

비만과 관련한 사망 위험은 세대에 걸쳐 감소했지만, 비만으로 인해 사망한 비율이 부모 세대 5.4%에서 자녀 세대 6.4%로 증가한 것이다.

 

연구진은 “의학기술을 발달로 과거에 비해 비만으로 인한 건강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건강하게 오래 사는 데 있어서 비만은 여전히 문제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32899/%eb%82%98%ec%9d%b4-%eb%93%a4%ec%96%b4-%ec%82%b4%ec%b0%8c%eb%8a%94-%ec%82%ac%eb%9e%8c-%ea%b0%80%ec%9e%a5-%ec%98%a4%eb%9e%98%ec%82%b0%eb%8b%a4-%ec%97%b0%ea%b5%ac/


  1. 햇볕도 충분히 쬐는데 왜 비타민 D가 부족할까

    우리 몸이 비타민D를 충분히 흡수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그래야 칼슘도 흡수할 수 있고 감염과 싸울 수 있으며 신경계과 근육이 제 역할을 하도록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타민D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게 되면 골절이나 골다공증, 근력저하 등 여러가...
    Date2021.02.13 Byflexmun Views334
    Read More
  2. 당뇨를 의심해봐야하는 증상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이다.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된다. 당뇨병은 ...
    Date2021.02.08 Byflexmun Views305
    Read More
  3. 나잇살 천천히 찌면 장수한다.

    나이 들면서 차오르는 ‘나잇살’로 고민인 사람들이 많지만, 정상 체중이었다가 천천히 살이 쪄간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겠다. 성인기에 체질량지수가 정상이었던 사람이 나이가 들면서 과체중이 될 경우 가장 오래 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Date2021.02.06 Byflexmun Views311
    Read More
  4. 음주후 얼굴이 빨개지면 위험하다

    술을 마신 후 얼굴이 붉어지는 여성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음주하지 않는 여성보다 두 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음주 뒤 얼굴이 멀쩡한 여성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비음주 여성보다 약간 높은 정도이거나 차이가 없었다. 충남대병원 가정...
    Date2021.02.04 Byflexmun Views546
    Read More
  5. 사카린 아스파탐등 인공감미료 당뇨와 상관없다.

    단 걸 탐하면 살이 찔 뿐더러 당뇨병에 걸리기 쉽다. 설탕 대신 인공 감미료를 먹으면 어떨까? 건강한 성인이라면 인공 감미료를 섭취한다고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아지지는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카린, 아스파탐 등 화학 합성으로 만든 인공 감미...
    Date2021.01.30 Byflexmun Views449
    Read More
  6. 전세계 숙취해소 음식

    스파게티, 콩나물국밥, 블러디 시저의 공통점은? 민족마다 식성이 다르듯, 전 세계 숙취해소 음식도 천차만별이다. 과음으로 거북한 속을 달래주기 위해 뜨끈한 국물을 선호하는 우리와 달리 스파게티, 칵테일로 속을 달래는 세계인들도 있다. 내셔널 지오그...
    Date2021.01.28 Byflexmun Views319
    Read More
  7. 오메가3 코로나 사망위험 낮춘다.

    오메가3 지방산이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감염 환자 중 오메가3 지방산의 혈중 수치가 높은 사람이 그 수치가 낮은 사람보다 코로나로 사망할 위험이 크게 4배까지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오메가3 지방산...
    Date2021.01.27 Byflexmun Views408
    Read More
  8. 부작용을 조심해야하는 건강보충제

    영양 보충제 또은 건강기능식품을 고를 때는 신중해야 한다. 몸에 좋다고 해서 먹은 약이 반대로 건강을 해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뼈가 튼튼해진다는 설명에 먹기 시작했는데 신장에 무리가 가는 식으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것. 지병이 있거...
    Date2021.01.26 Byflexmun Views395
    Read More
  9. 뚱뚱해도 건강할수 있다.? 건강할수 없다.?

    “뚱뚱해도 건강할 수 있다(fat but fit)”는 이론은 매혹적이다. 비만이더라도 혈압, 혈당 등의 요소가 정상 범주 안에 있으면 건강하다고 전제하기 때문에, 굳이 체중 감량을 위해 애쓰지 않아도 된다. 언뜻 그럴싸하지만 이마저도 건강에 좋지 ...
    Date2021.01.25 Byflexmun Views354
    Read More
  10. 신경손상된 마비 치료가능성이 열였다.

    독일 연구팀이 척수 손상으로 마비된 쥐를 다시 걸을 수 있게 만들었다. 연구팀은 주사 요법을 통해 지금까지 포유류에서 회복 불가능한 부분으로 알려진 손상 섬유를 재건했다. 사람도 척수 손상을 입는다. 교통사고나 스포츠로 발생한 부상 등으로 생긴 외...
    Date2021.01.23 Byflexmun Views33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