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45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올바른 걷기 자세는 다음과 같다. △시선은 15~20m 정도 전방을 주시한다 △상체는 곧게 펴고 턱을 가슴 쪽으로 가볍게 잡아당긴다.

△양손은 주먹을 가볍게 쥐고 팔은 자연스럽게 구부리며 앞으로 15도, 뒤로 20도 정도 흔든다 △양발은 11자가 기본이며, 보폭은 자신의 키에서 100cm를 뺀 값을 보폭으로 선택한다 △걸을 때 발뒤꿈치 중앙 부분이 땅에 먼저 닿고 발바닥 전체로 디뎠다가 앞꿈치로 체중을 이동시켜준다.

이런 올바른 자세로 걷기를 하려면 몸동작은 복잡하고 복합적인 프로세스를 필요로 한다. 발만 건강하다고 해서 걸을 수 있는 게 아니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많은 부위가 걷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걷는 자세에는 건강 상태를 가늠해볼 수 있는 단서들이 담겨있다. 걷는 자세는 물론 보폭과 속도 등을 통해서도 건강 상태를 유추해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웹 엠디’ 등의 자료를 토대로 걸음걸이로 보는 건강 상태에 대해 알아본다.

1. 느린 속도

예전보다 걷는 속도가 느려졌다는 건 건강이 나빠졌다는 의미일 수 있다. 신체건강은 물론 정신건강이 나빠졌을 때도 속도가 느려진다. 알츠하이머병을 예측하는 하나의 특징이 될 수 있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2. 기우뚱거리기

절뚝거리며 다리를 전다면 부상이 원인일 수 있다. 만약 특별히 다친 곳이 없다면 골관절염과 같은 질환이 기우뚱 걷는 이유일 수 있다. 평소 한쪽 다리를 다른 한쪽 다리보다 많이 사용한다거나 한쪽 다리 힘만 자주 풀린다면 관절염이 있는 건 아닌지 의심해봐야 한다.

3. 왼쪽으로 치우치기

걱정거리가 많거나 심리적 불안지수가 높은 사람은 걸음을 걸을 때 왼쪽 방향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눈가리개를 한 상태로 걷기 실험을 한 연구 결과다. 이는 뇌의 오른쪽 부위가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처리하는데 많이 쓰이면서 상대적으로 걷기에 소홀해지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분석된다.

4. 비틀대기

이는 흔히 술 취한 사람에게서 볼 수 있는 걸음걸이다. 그런데 알코올 중독 상태에 이르면 술을 마시지 않았을 때도 비틀댈 수 있다.

근력 저하나 방향 감각 상실과 같은 상태에 이르러 술을 안 마셨을 때도 발을 헛디디거나 휘청거리게 되는 것이다. 이런 사람들은 술을 줄여야 서서히 정상적인 걸음을 되찾을 수 있다.

5. 앞뒤로 흔들리기

걸을 때 몸이 앞뒤로 흔들린다면 이땐 알코올 중독이 원인이 아닐 수 있다. 뇌에 이상이 생겼다는 의미일 수 있으니 병원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겠다.

특히 스포츠 선수들이 주의해야 할 부분이다. 선수들끼리 신체 접촉이 많은 ‘접촉 스포츠’를 하는 운동선수에게 이런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6. 질질 끌기

걷는 속도가 느리고 발을 질질 끌며 걷는다면, 그리고 나이가 60세 이상이라면…. 뇌가 다리 근육에 ‘움직이라’는 메시지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구부정한 자세에 팔 움직임이 거의 없고 발을 질질 끌며 천천히 걷는 것을 ‘파킨슨병 걸음’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그 만큼 파킨슨병이 있는 사람에게 흔하다.

7. 발끝으로 살금살금 걷기

아직 걷기에 서툰 어린 아이들은 발끝으로 걸을 수 있다. 꼿꼿하게 걷는 자세를 배우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상적으로 걸어야 할 나이에도 이처럼 발끝으로 걷는다면 건강상 문제를 의심해볼 수 있다.

뒤꿈치가 바닥에 닿기 불편할 정도로 아킬레스건이 짧을 수도 있고, 뇌성마비나 근육위축증 등으로 근육을 제대로 쓰기 어렵기 때문일 수도 있다. 자폐장애가 있는 아동에게서도 볼 수 있는 증상 중 하나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35931/%ea%b1%b8%ec%9d%8c%ea%b1%b8%ec%9d%b4%eb%a1%9c-%eb%b3%b4%eb%8a%94-%ea%b1%b4%ea%b0%95-%ec%83%81%ed%83%9c-7/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잠들기 전 재즈들으면 숙면에 도움이 된다.

    나이를 먹으면 푹 자기 어렵다. 누워도 잠이 오지 않고, 겨우 잠들어도 쉽게 깬다. 걱정이 많고, 몸이 아픈 탓이다. 이럴 때 잠자리에서 클래식, 재즈, 뉴에이지 등 잔잔한 음악을 들으면 숙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만 국립 양밍자오퉁 대학교 ...
    Date2021.04.22 Byflexmun Views542
    Read More
  3. 허리에 좋은 신발과 나쁜신발이 있다.

    신발은 우리 몸의 하중을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디자인보다 편안함이 우선이다. 아무리 보기 좋아도 발이 꽉 끼거나, 너무 헐렁하거나 등 어떤 식으로든 불편함이 있다면 피해야 한다. 신발은 발뿐 아니라 허리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Date2021.04.21 Byflexmun Views999
    Read More
  4. 명상이 사람을 이기적으로 만든다.

    불안과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기 위해 눈을 감고 마음을 챙기는 명상이 오히려 사람을 이기적으로 만들 수 있다? 명상의 역효과가 실험을 통해 밝혀져 주목받고 있다. 이른바 ‘마인드풀니스(mindfulness), 마음챙김’은 현재 순간을 있는 그대로 자...
    Date2021.04.20 Byflexmun Views460
    Read More
  5. 자연의 소리가 건강에 좋다.

    새소리, 바람소리, 물소리… 자연의 소리를 들으면 마음이 차분하고 평온해 진다. 자연을 직접 접하기 힘들다면 이런 소리를 담은 녹음을 들어도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통증을 줄여줄 수 있다는 연구 분석이 나왔다. 캐나다 오타와의 칼튼대 연구팀은 자...
    Date2021.04.12 Byflexmun Views460
    Read More
  6. 열심히 했는데 근육이 생기는 경우

    걷기나 달리기 등 유산소운동은 야외에서 하는 게 효과가 큰 반면, 근력운동은 집에서 간단한 도구나 자신의 체중을 이용해서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하지만 전문가의 도움 없이 혼자 운동을 하다보면 효과가 전혀 안 나타날 수도 있다. 운동은 의지와 인내력...
    Date2021.04.10 Byflexmun Views458
    Read More
  7. 운동스트레스가 비만을 예방한다.

    스트레스는 나쁜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적당한 스트레스는 오히려 이롭게 작용한다. 비만 예방에도 스트레스가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적당한 스트레스는 두뇌 기능을 향상시켜 집중력과 업무 효율을 높인다. 이처럼 가벼운 스트레스나 ...
    Date2021.03.31 Byflexmun Views417
    Read More
  8. 고강도 운동 매일 하면 위험하다.

    고강도 운동을 매일 하면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스포츠 보건과학 대학 등 연구진은 건강한 남녀 성인 11명을 모집했다. 평소 운동을 하지만, 선수들은 아니었다. 연구진은 참가자에게 실내 자전거를 타고 ‘고강도 인터벌 ...
    Date2021.03.30 Byflexmun Views697
    Read More
  9. 스트레칭 효과

    헬스클럽에서 달리기, 실내자전거타기 등 유산소운동과 기구를 사용한 근력운동만 하는 이가 적지 않다. 스트레칭은 육상 선수나 체조 선수가 경기 전 몸을 풀 듯, 특별한 운동 전 간단히 실시하는 것으로 여기는 사람도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스...
    Date2021.03.25 Byflexmun Views684
    Read More
  10. 여성 심혈관 건강을 위해서는 근력운동을 해라

    심혈관 건강을 위해서 여성들은 살을 빼는 것보다 근육을 유지하고 늘리는 방향으로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UCLA 연구팀의 연구에 의하면 남녀 모두 높은 근육량은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
    Date2021.03.23 Byflexmun Views374
    Read More
  11. 걸음걸이를 보면 건강상태를 알수 있다.

    올바른 걷기 자세는 다음과 같다. △시선은 15~20m 정도 전방을 주시한다 △상체는 곧게 펴고 턱을 가슴 쪽으로 가볍게 잡아당긴다. △양손은 주먹을 가볍게 쥐고 팔은 자연스럽게 구부리며 앞으로 15도, 뒤로 20도 정도 흔든다 △양발은 11자가 기본이며, 보폭은...
    Date2021.03.20 Byflexmun Views45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