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49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최근 근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걷기 등 유산소운동과 함께 근력운동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많다. 다이어트 뿐 아니라 건강수명(건강하게 장수)을 위해서는 이 두 가지 운동을 함께 하는 게 좋다. 그렇다면 어떤 것을 먼저 해야 할까? 짧은 시간에 효율을 최대로 끌어 올리는 방법은 없을까?

◆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 병행.. 몸 상태부터 살펴야

걷기를 열심히 하는 데도 살이 빠지지 않아 고민하는 사람이 있다. 이럴 때 근력운동을 병행해 보자. 두 운동을 같이 하면 체지방 분해와 체중감량에 효과적이다. 물론 음식 조절도 필수다. 하지만 운동 초보자가 30분~1시간 정도 유산소운동을 먼저 한 후 웨이트 등 근력운동(무산소운동)을 할 경우 체력 소모가 심할 수 있다. 제대로 힘을 내기 어려운데다 부상 우려까지 있다. 무거운 역기들기 등 본격적인 웨이트트레이닝 보다는 비탈길 오르기, 아령 등 가벼운 근력운동부터 시작하는 게 좋다.

◆ 살빼기 효과.. 근력 운동 먼저, 다음에 유산소운동

체중 감량이 목적이라면 근력운동을 먼저 한 후 걷기 등 유산소운동을 하는 것이 효율면에서 좋다. 우리 몸이 먼저 사용하는 에너지는 탄수화물인데, 근력운동 시 에너지로 사용된다. 따라서 근력운동을 통해 탄수화물을 최대한 활용한 뒤 유산소운동으로 지방을 태우는 것이 효과적이다. 웨이트 운동을 한다면 5분 정도 가볍게 걸은 뒤 시작하는 것이 좋다. 근육운동 후 유산소운동을 하면 심박동수(심장이 세차게 뛰는 횟수)가 더 빨라져 칼로리 소모 효과도 높아진다. 근력운동을 할 때 쌓인 젖산은 유산소운동을 통해 산소와 결합해 운동에너지로 다시 사용될 수 있다.

◆ 중년의 경우 ‘안전’이 최우선.. 무리한 근력운동 피해야

중년에 접어들면 혈압, 혈관, 관절 질환 위험이 높아진다. 나도 모르게 혈관 관련 질병을 앓고 있을 수도 있다. 역기 등 갑자기 힘을 쓰는 운동을 하면 혈압이 급상승할 수 있다. 쓰러질 위험도 있다. 무릎, 허리 등 관절도 조심해야 한다. 계단 오르기 운동도 무릎 보호를 위해 내려올 때는 승강기 등을 이용하는 게 좋다. 등산도 내려올 때 조심해야 한다. 중년 이상의 운동은 ‘안전’이 최우선이다. 운동효율은 그 다음의 문제다.

◆ “집 주위를 ‘헬스클럽’으로 만드세요”

코로나19 4차대유행으로 헬스클럽 이용을 주저하는 사람들이 많다. 중년 이상의 운동은 ‘많이 움직이는 것’이 핵심이다. 헬스했다고 귀가 후 잘 때까지 앉아만 있으면 효과가 뚝 떨어진다. 집에서 아령, 스쿼트, 푸시업 등을 한 후 집 주위를 빠르게 걷자. 무산소-유산소운동 병행 효과가 잘 나타날 수 있다. 걷기는 1~2분 정도 빠르게 걷고 2~3분 느리게 걷는 ‘인터벌 걷기’가 효율이 좋다. 개인에 따라 반복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 채소, 과일, 단백질.. “음식이 중요해요”

운동 없이 갑자기 식사량을 과도하게 줄이는 다이어트는 ‘요요현상’을 불러올 뿐이다. 음식 조절과 운동을 병행하는 게 필수다. 몸의 염증과 노화를 늦춰주는 항산화 효소가 많은 채소, 과일과 함께 달걀, 육류, 콩 등에 많은 단백질을 섭취해야 근육을 보강할 수 있다. 오후 출출할 때 견과류 등을 먹으면 저녁 과식을 막을 수 있다. 저녁 운동을 너무 늦게 하면 숙면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저녁을 일찍 먹고 운동도 가급적 일찍 끝내는 게 좋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46172/%ea%b1%b7%ea%b8%b0-%ea%b7%bc%eb%a0%a5%ec%9a%b4%eb%8f%99-%ea%b0%99%ec%9d%b4-%ed%95%a0-%eb%95%8c-%ed%9a%a8%ec%9c%a8-%ec%b5%9c%eb%8c%80%eb%a1%9c-%ec%98%ac%eb%a6%ac%eb%8a%94-%eb%b2%95%ec%9d%80/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부상 방지를 위한 달리기 자세

    달리기를 할 때 상체를 앞으로 기울이는 각도가 부상 위험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콜라라도대 연구팀에 의하면 달릴 때 몸을 과도하게 앞으로 숙이면 부상에 취약해 진다. 발이 지면에 더욱 세게 착지하게 되면서 엉덩이 무릎 다리 발에 ...
    Date2021.07.27 Byflexmun Views510
    Read More
  3. 허리통증 콩팥이 문제일 수 있다.

    허리가 아프면 콩팥을 의심하기 쉽다. 여러 매체에서 그렇게 경고한 탓이기도 하지만, 심각한 질병부터 의심하는 건강염려증의 발로이기도 하다. 그러나 허리 통증 대부분은 근육 경직 또는 경련 탓이고 더러 척추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한다. 미국 ‘...
    Date2021.07.22 Byflexmun Views670
    Read More
  4. 여성이 6년 더 살지만 5년 더 아프다.

    여성은 남성보다 오래 산다. 하지만 건강하게 장수(건강수명)하는 것이 큰 과제다. 오래 사는 기간을 거의 투병생활로 보낸다면 장수의 의미가 퇴색할 수밖에 없다. 여생을 활기차게 보내야 진정한 장수라고 할 수 있다. 몸조차 제대로 가누지 못하고 치매까...
    Date2021.07.20 Byflexmun Views421
    Read More
  5. 유산소와 근력운동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

    최근 근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걷기 등 유산소운동과 함께 근력운동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많다. 다이어트 뿐 아니라 건강수명(건강하게 장수)을 위해서는 이 두 가지 운동을 함께 하는 게 좋다. 그렇다면 어떤 것을 먼저 해야 할까? 짧은 시간에 효율을 ...
    Date2021.07.18 Byflexmun Views496
    Read More
  6. 균형감각을 좋게 하는 운동법

    나이가 들수록 ‘고유수용성 감각’(proprioception)을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몸의 위치, 자세, 평형, 움직임을 인식하는 감각으로 흔히 ‘운동 감각’으로도 알려져 있다. 공간에서 위치를 감지하고 몸과 팔다리를 자유롭게 ...
    Date2021.07.15 Byflexmun Views547
    Read More
  7. 수면이 부족하다면 더 움직이어야한다.

    수면이 부족한 경우 되도록 몸을 많이 움직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겠다. 호주와 영국의 공동 연구팀에 의하면 높은 수준의 신체 활동을 하는 경우 수면 부족으로 인한 해로운 영향을 상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발한 신체 활동에 양질의 수면이...
    Date2021.07.09 Byflexmun Views466
    Read More
  8. 5분 운동으로 혈압약만 만큼 효과를 보인다.

    날마다 5분간 호흡근육을 강화하는 훈련을 하는 것이 유산소 운동이나 약물 만큼 혈압을 낮추는 등 건강증진 효과가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볼더 콜로라도대 연구팀에 의하면 고저항의 흡기근육훈련(IMST)이 고령층의 심혈관 질환 예방에 중...
    Date2021.07.04 Byflexmun Views492
    Read More
  9. 책상에 건강하게 오래 앉아 있는 방법

    사무직 업무를 보는 사람들은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생활을 하기 어렵다. 오히려 체지방은 늘고 근력은 소실되는 마이너스의 결과를 얻기 쉽다. 하지만 업무를 위해선 선택의 여지가 없다. 장시간 앉아있는 라이프스타일을 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 이는 비만, ...
    Date2021.06.23 Byflexmun Views533
    Read More
  10. 만보걷기 정말 마법같은 효과 있을까?

    하루 만 걸음 걷기를 목표로 운동하는 사람들이 있다. 걷기 운동을 하려면 적어도 만 걸음은 채워야 하는 걸까? 만 걸음 걷기는 사람에 따라 채우기 쉬울 수도 있고 어려울 수도 있다. 배달 관련 직업군이나 운동 관련 직업군에 속하는 사람이라면 일상에서 ...
    Date2021.06.20 Byflexmun Views435
    Read More
  11. 지방에 대한 오해 3가지

    복부비만은 배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돼 아랫배가 불룩 튀어나온 상태를 말한다. 이런 복부비만은 보기에도 안 좋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꼽힌다. 복부비만은 허리둘레 기준으로 남성 90㎝(35.4인치), 여자 85㎝(33.5인치) 이상인 ...
    Date2021.06.17 Byflexmun Views40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