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36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폭염이 이어지면서 시원한 과일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채소와 과일은 몸에 좋은 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다. 고혈압, 혈관 질환, 대장암 예방 등을 위해 육류를 절제하고 채소와 과일을 자주 먹으라는 말을 귀가 따갑게 듣고 있다. 몸속 세포의 손상과 노화를 늦추는 항산화 효과 때문이다. 하지만 이렇게 몸에 좋은 음식이 ‘독’이 되는 경우가 있다. 왜 그럴까?

◆ 참외, 토마토, 상추.. 과일-채소를 조심해야 하는 사람들

과일과 채소는 칼륨이 풍부해 몸속 나트륨을 배출해 혈압 조절에 좋다. 하지만 신장(콩팥) 기능이 떨어진 사람이 과다 섭취하면 위험할 수 있다. 만성 신장질환 환자는 ‘고칼륨혈증’에 빠져 근육이 마비되고 손발이 저릴 수 있다. 혈압이 떨어지고 부정맥이 생기는 등 심장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칼륨은 참외, 바나나, 토마토, 오렌지 등과 근대, 시금치, 당근, 상추 등 녹황색 채소에 많이 들어 있다.

질병관리청 의학정보를 보면 만성 신부전 환자는 염분을 적게 섭취하고 단백질과 칼륨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 식사법은 의사, 임상영영사와 꼭 상의해야 한다. 칼륨이 많은 채소는 데쳐서 먹어야 한다. 채소를 잘게 썰어 따뜻한 물에 2시간 이상 담근 후 새 물에 헹구기를 몇 번 반복한다. 이어 삶아서 물은 버리고 남은 채소만 먹는다. 물에 장시간 담그거나 데치면 칼륨이 빠져 나가 칼륨량을 줄일 수 있다.

◆ 어, 뜻밖이네.. 당근, 고구마, 호박, 시금치가 해로운 경우

고구마, 당근, 호박, 시금치 등 녹황색 채소와 과일은 베타카로틴(β-Carotene) 성분이 많아 폐 기능 증진 및 항암 효과가 있다. 하지만 국가암정보센터 암 정보를 보면  폐암 예방 목적으로 베타카로틴을 ‘필요이상’ 섭취하는 것은 조심해야 한다. 건강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흡연자는 베타카로틴이 많은 음식들이 오히려 폐암 발생을 높일 수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가장 확실한 폐암 예방법은 현재까지는 금연뿐이다. 일반 식사를 하면서 토마토, 양배추, 브로콜리 등 다른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먹어 영양의 균형을 유지하고 몸의 저항력을 기르는 것이 최선이다.

◆ “아깝다고 망설이지 마세요”  호두, 아몬드, 땅콩을 버려야 하는 경우

요즘처럼 덥고 습한 날씨에도 견과류를 사무실이나 거실 등 상온에 보관하는 사람이 있다. 심심풀이 간식으로 먹기 위해서다. 하지만 여름에는 위험하다. 견과류 속 지방은 온도와 습도에 매우 민감해 쉽게 산화되어 아플라톡신 같은 독소가 생기기 쉽다. 아플라톡신은 발암물질로 간암 위험을 높일 수 있다. 가열해도 없어지지 않는다. 견과류는 쓴맛이 나는 등 맛이 조금이라도 이상하면 버리는 게 안전하다. 밀봉해서 냉장이나 냉동 보관해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정기적으로 견과류 제품을 검사해 아플라톡신 기준치를 초과한 것은 판매 중단 및 회수 조치하고 있다.

◆ 감자가 ‘독’이 되는 경우

국립농업과학원 식품정보를 보면 감자에는 독성 화합물(글리코알칼로이드)이 들어 있다. 솔라닌, 차코닌 성분이 주로 관여한다. 감자의 싹이 돋는 부분에 솔라닌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싹이 나거나 빛이 푸르게 변한 감자는 먹지 않는 게 좋다. 감자에 싹이 올라 있으면 씨눈을 깊이 도려내고 사용해야 한다. 꺼림칙하다면 아예 버리는 게 안전하다.

◆ 곰팡이 핀 음식.. “과감하게 버리세요”

요즘 같은 날씨에는 음식을 상온에 두면 곰팡이가 쉽게 생길 수 있다. 아깝다고 곰팡이 부분만 떼어내고 먹어도 될까? 음식 일부에 곰팡이가 생겼더라도 보이지 않는 다른 곳에도 침투했을 가능성이 있다. 귤 한쪽에 생긴 녹색 곰팡이, 푸른곰팡이는 귤 깊숙이 침투했을 수 있다. 아깝더라도 통째로 버리는 게 안전하다. 곰팡이가 생길 정도면 식중독 균 등 다른 균이 퍼져 있을 위험성도 있다. 여름에는 한꺼번에 많은 양의 음식을 사지 말고 적정량만 구입하는 게 좋다. 냉장고만 믿고 오래 보관했다가 탈이 날 수도 있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47483/%eb%aa%b8%ec%97%90-%ec%a2%8b%ec%9d%80-%ec%9d%8c%ec%8b%9d%ec%9d%b4-%eb%8f%85%ec%9d%b4-%eb%90%98%eb%8a%94-%ea%b2%bd%ec%9a%b0/


  1. 장염 걸렸을때 좋은 음식들

    폭염 아래 장염의 계절이다. 대부분의 여름철 장염은 식중독균 등 세균성으로 인해 발생된다. 비위생적인 상태에서 음식을 조리하거나, 더운 날씨 때문에 음식이 상하기 쉽다. 이 상태에서 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대장균 등의 주요 식중독 균들이 생기고, ...
    Date2021.08.21 Byflexmun Views378
    Read More
  2. 간헐적 단식 또다른 효능

    간헐적 단식을 하면 체중 감량뿐만 아니라, 감염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는 동물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대 의대 연구진은 생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살모넬라 박테리아를 입으로 투여했다. 한 그룹은 이틀간 굶긴 상태였고, 나머지는 정...
    Date2021.08.09 Byflexmun Views396
    Read More
  3. 단백질 섭취가 부족하면 생기는 일

    단백질은 여러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이다. 단백질은 세포를 구성하고 생체 내 물질대사의 촉매 작용을 해 생명 현상을 유지하는 물질이다. 탄수화물, 지방과 함께 사람의 3대 영양소로 꼽힌다. 살을 뺄 목적으로 칼로리를 줄이는 데만 신...
    Date2021.08.05 Byflexmun Views399
    Read More
  4. 알고있던 맥주안주 최악이다.

    요즘 올림픽 경기를 보며 시원한 맥주를 찾는 이가 늘어났다. 한여름 밤 치맥은 더위와 출출함, 스트레스를 한 방에 날리지만, 건강에는 독이 될 수 있다. 입맛에는 찰떡이지만, 알고 보면 상극인 맥주 안주 조합이 있다. ◆ 국민 안주 치맥 ‘치맥&rsquo...
    Date2021.07.31 Byflexmun Views343
    Read More
  5. 아침에 먹는 단백질이 근육에 더 도움이 된다.

    아침에 섭취하는 단백질이 저녁 때 보다 근육 성장을 더 촉진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와세다대학교 연구팀은 인간과 쥐를 대상으로 아침 일찍 단백질을 섭취했을 때의 효과에 대해 연구를 했다. 우선 쥐 실험에서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아침이나 ...
    Date2021.07.27 Byflexmun Views382
    Read More
  6. 블루베리 효능

    최근 블루베리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블루베리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진달래과에 속하는 관목성 식물이다. 세계 각국에서 ‘건강식품’으로 각광받으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재배 면적이 크게 늘고 있다. 저장성이 다른 과실에 비해 떨어지지...
    Date2021.07.26 Byflexmun Views378
    Read More
  7. 몸에 좋은 음식도 해로운 때가 있다.

    폭염이 이어지면서 시원한 과일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채소와 과일은 몸에 좋은 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다. 고혈압, 혈관 질환, 대장암 예방 등을 위해 육류를 절제하고 채소와 과일을 자주 먹으라는 말을 귀가 따갑게 듣고 있다. 몸속 세포의 손상과 노화를 ...
    Date2021.07.25 Byflexmun Views366
    Read More
  8. 중년이 양배추를 먹으면 좋은 이유

    양배추는 위 점막에만 좋은 게 아니다. 혈전 생성을 억제해 중년-노년이 많이 걸리는 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양배추는 품종이 다양하다. 소비량이 가장 많은 푸른양배추는 샐러드와 볶음요리, 적양배추는 샐러드나 즙, 방울다다기양배추는 방울토마토...
    Date2021.07.21 Byflexmun Views383
    Read More
  9. 모유수유가 비알콜성 지방감 위험을 감소시킨다.

    모유수유와 비알코올성 지방간 동반 위험의 상관관계가 밝혀졌다. 단 한 달만 모유수유를 해도 비알코올성 지방간 동반 위험이 낮아질 뿐 아니라 모유수유 기간이 길수록 발병 위험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곽금연, 신동현 ...
    Date2021.07.19 Byflexmun Views320
    Read More
  10. 하루에 술한잔은 정말 건강에 좋을까?

    하루 한 잔 이하의 가벼운 음주도 암 사망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성은주, 고현영 교수와 코호트연구센터 류승호, 장유수 교수 연구팀이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들을 추적·조사한 결과다. 연구팀은 2011~2015...
    Date2021.07.14 Byflexmun Views29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