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692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0580240_192183327837503_6835855698228552623_n.jpg

 

12113396_192183331170836_989124975011359835_o.jpg

 

12247758_192183344504168_3794740359529743667_o.jpg

 

 

시합시 실전적용 밴딩과 로딩에대한 모든것(최종)

요즘 시즌이 시작되면서 밴딩과 로딩에 대한 궁금증을 질문하는 이들이 많아 시합시 밴딩과 로딩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져 한다.

나는 믿거나 말거나 업계에서 로딩의 *으로...
그이유는 무대오르기전과 후가 많은 차이가 나며 펌핑시 몸이 확장되는것이 눈에 띄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근손실을 막기위해 밴딩기간은 3일~4일 이상하지 않기를 추천한다.

밴딩기간에는 체내 글리코겐의 완전고갈을 목적으로하고 글리코겐이 고갈된 신체는 더 많은 글리코겐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밴딩시 두가지 밴딩방법을 선택 할 수 있다.
3일동안 완전히 탄수화물을 통제하는 방법과
다이어트시 섭취한 탄수화물의 50%만 줄이는 
방법이 있는데 이것은 신체글리코겐은 신체보호를위해 완전 고갈이 일어나지 않은다는 근거 때문이다.

시합15일~20일전부터 염분이 포함된 식사를하며
염분로딩을 시작한다.

이때부터 엄청난 수분을 섭취하며 수분배출을 준비한다.

6일~7일전에 밴딩을 시작하고 이때 트레이닝은 근손실을 줄이기위해 고강도트레이닝을
40분~1시간으로 제한하고 다리를 제외한 모든부위를 한다.
나머지 많은 시간을 유산소에 집중한다.

밴딩이 끝나고 2일~3일동안 로딩이 들어가게된다.
이때 체급조절에 따라 수분조절을 하며 로딩을 할수도 있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며 로딩을 할 수도 있는데 완벽한 글리코겐의 저장을위해 약간의 염분과 수분은 반드시 필요하다.

로딩시 운동은 3일을 먹으며 휴식하거나 글리코겐이 신체에 안착하는걸 돕기 위해
저강도훈련이나 포징연습으로 글리코겐의 근육저장에 도움을 주게된다.

로딩의 부분은 간글리코겐과 근육글리코겐으로 나눠지기 때문에 반드시 포도당과 과당의 적절한 배합이 중요하다.

글리코겐 로딩량에 대해 알아보며

체중 1kg당 간 글리코겐은 1.5g
체중 1kg당 근육글리코겐은 5.5g을 저장할 수있다.

알아야 할것은 신체는 밴딩후 글리코겐을 
1.5배~2배의 글리코겐을 저장할 수 있다는것이다.

예를 들어
벤딩 후 체중90kg 체내 글리코겐 최대 저장량은 
간글리코겐 1.5×90=135g
근육글리코겐 5.5×90= 495g
총글리코겐 저장량은 630g이고
총글리코겐 섭취량은 630g×2= 1260g정도이다.

총글리코겐 섭취량1260g을 
3일 로딩 기준을 잡으면 하루 420g 

1일째 감자로 계산하면 3kg~3.5kg까지 가능

(첫날은 벤딩에 의한 인슐린스파크에 의해 글리코겐의 저장이 빠르고 높다. 
그래서 나의 경우는 그 첫식사에 단당류와 센세이션WPI를 섭취한다.
물론 쌀밥이나 구운감자와 같은 GI지수가 높은 음식을 먹어야 한다.)

2일째 고구마로 계산 하면 1.5kg 

3일째 고구마1.5kg

**로딩시 단백질섭취
단배질 내용에서 언급되었던 것처럼
로딩때는  웨이트가 진행되지 않기때문에 근육성장의 목적이 아닌 근육유지와 신체유지를 위한양만 필요 하다.
또한 에너지가 축만하므로  체중 1kg당1g정도면 충분할 수 있다.

출처 박기선 선수 페이스북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6
    read more
  2. 허리통증 운동을 해야되나? 말아야되나?

    요통으로 불리는 허리 통증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증상으로 막대한 건강 관리 비용이 들어간다. 요통은 통증의 범위를 넘어서 사회나 가정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조언들로 인해 허리 통증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
    Date2018.08.30 Byflexmun Views639
    Read More
  3. 골다공증 노인이 되면 나타나는 소아과 질환이다.??

    우리 몸의 골격은 십대에 만들어진다. 뼈를 튼튼하게 유지하려면 나이를 먹을수록 노력이 필요하다. 영국의 가디언이 뼈의 건강을 위해 신경 써야 할 7가지 방법을 정리했다. ​​​​​​​ ◆ 십대 시절 = 골격 형성에 가장 중요한 기간이다. 오죽하면 골다공증의 별...
    Date2018.08.28 Byflexmun Views808
    Read More
  4. 홈트(홈트레이닝)족 어깨 충돌증후군에 위험하다.

    집에서 운동하는 홈트족이 늘고 있다. 홈트는 홈 트레이닝(Home Training)의 줄임말로 집에서 동영상을 보면서 운동하는 것을 말한다.​​​​​​​ 시간 제약 없이 집에서 언제든지 할 수 있고, 별도의 비용도 들지 않아 바쁜 현대인들에게 안성맞춤이다. 하지만 잘...
    Date2018.08.24 Byflexmun Views553
    Read More
  5. 골다공증이 있으면 치매 걸릴 확률이 높다.

    골다공증이 있으면 치매 발병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아이큐비아(IQVIA) 연구팀에 따르면 골다공증이 있는 여성은 치매 위험이 30%, 남성은 20%까지 더 커진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20년 동안 1215개 독일 병원에서 진료를...
    Date2018.08.23 Byflexmun Views594
    Read More
  6. 굶는 다이어트 때문에 살이 찔수도 있다.

    식단 조절은 체지방 감소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다. 하지만 바쁜 일상을 보내다 보면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식단 관리가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간편한 '굶는 방식'을 다이어트의 왕도처럼 따를 위험도 높아진다. 하지만...
    Date2018.08.21 Byflexmun Views565
    Read More
  7. 암예방을 위한 최고의 방법은 운동이다

    암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몇 가지 종류의 식품을 섭취하는 것부터 신체 활동을 늘리는 것 등이 있지만 발암 물질은 도처에 잠재해 있다. '미국 내과학회지(JAMA Internal Medicine)'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암을 예방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은 운동이다.​​​​​​​ ...
    Date2018.08.20 Byflexmun Views510
    Read More
  8. 비만이 남성호른몬 수치를 감소시킨다.

    발기부전 환자라면 남성호르몬 수치를 높이기 위해 다이어트와 심폐 체력 운동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남성호르몬으로 알려진 테스토스테론은 정상적인 발기력을 유지하는데에도 매우 중요한 호르몬이다. 많은 발기부전 환자들이 남성호르몬이 저...
    Date2018.08.17 Byflexmun Views551
    Read More
  9. 웃고 서있는것만으로 다이어트가 된다.

    식사량을 줄이고 운동을 더 하고.... 체중을 줄이기 위해 보통 실행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살을 좀 더 빨리 빼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령이 필요하다. '그랜페런츠닷컴'이 체중을 빨리 줄일 수 있는 독특한 방법 5가지를 소개했다.​​​​​​​ 1. 자주 웃어라 자기 ...
    Date2018.08.13 Byflexmun Views576
    Read More
  10. 똑같은 다이어트를 했는데 왜 결과는 다를까?

    같은 방법으로 다이어트 해도 살이 잘 빠지지 않는다면, 장내 미생물 구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 연구진이 26명의 과체중 또는 비만인의 비만 치료 과정에서 장내 미생물과 체중 조절의 연관성을 밝혔다. 식단 조절, 운동, 생활 ...
    Date2018.08.03 Byflexmun Views1805
    Read More
  11. 악력이 약하면 삶에 질이 떨어진다

    주로 노인의 근력평가 지표로 활용되는 손으로 쥐는 힘이 보통 성인의 '삶의 질'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박혜순 교수, 강서영 임상강사 연구팀은 20세 이상의 한국 성인 남녀 4620명(남 2070명, 여 2550명)을 대상...
    Date2018.08.02 Byflexmun Views57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