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26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방을 태우는 운동 어떻게... 
 
효과적으로 지방을 태우기 위해 운동을 하는데 있어 중요한 운동의 강도를 어느 정도로 해야 하는지와 운동의 강도에 따라 탄수화물과 지방이 어떻게 소비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탄수화물과 지방은 몸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둘 중 하나가 에너지원으로 많이 사용되면 다른 하나는 사용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처럼 탄수화물과 지방이 어떻게 소비되는지는 운동의 강도와 탄수화물 섭취량에 의해 결정됩니다.

탄수화물의 사용이 늘어나는 경우는 운동 강도가 높아질수록, 탄수화물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에너지원으로서 탄수화물의 사용이 늘어나게 되어 지방의 소모는 줄어들게 됩니다.
 

에너지 생산 속도에 따른 탄수화물과 지방의 사용량 
 

지방 태우는 운동을 하는데 있어 운동 강도가 높아질수록 탄수화물의 사용이 증가하는 이유는 에너지를 생산해 내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탄수화물은 근육 세포 내로 들어오면 신속하게 전달 되며, 지방에 비해 적은 양이지만 에너지를 빨리 생성해냅니다.

하지만, 지방은 근육 세포 내로 들어오면, 미토콘드리아로 들어가서 베타산화라는 단계를 거치면서 생성된 아세틸이 크랩 사이클을 통해 전자 전달계 과정에 참여해야 에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런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지방은 에너지 생성이 탄수화물에 비해 느린 것입니다.
따라서 강도 높은 운동을 위해 빠르게 에너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지방보다는 탄수화물이 효율성이 높습니다.
 

지방 태우는 운동과 탄소에 따른 에너지원의 선택
 

운동 강도에 따라 선택되는 에너지는 탄소(C)에 의해 결정됩니다.

탄수화물 중 우리 몸 속에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되는 포도당은 탄소(C) 분자 6개,
수소(H)분자 12개, 산소(O)분자 6개로 이루어진, C6-H12-O6 의 분자식을 가지며,
지방 중 가장 많은 팔미트산은 탄소(C) 분자 16개, 수소(H)분자 32개, 산소(O)분자 2개로 이루어C16-H32-O2의 분자식을 가집니다.

여기서 탄소(C)를 더 많이 가질수록 더 많은 에너지(ATP)를 만들어낼 수 있는데, 지방은 g당 9kcal, 탄수화물은 g당 4kcal 로 지방이 탄수화물보다 더 많은 칼로리를 내는 이유가 바로 더 많은 탄소(C)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방 태우는 운동에 저강도 운동이 유리한 이유 
 

지금까지 살펴본 것 처럼 지방은 탄수화물보다 탄소(C)를 더 많이 가지고 있으므로 에너지를 만들어내기 위해 더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하지만 고강도 운동을 하면 심장, 폐, 혈관 등 에서 할 일이 늘어나기 때문에 산소의 수요가 증가합니다.

이렇게 전신의 산소 수요량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빠르게 에너지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지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산소가 적게 필요한 탄수화물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처럼 강도가 높은 운동을 하게 되면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지방에 비해 산소가 상대적으로 적게 필요하며, 에너지를 빨리 만들어낼 수 있는 탄수화물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출처:RED707

***하지만 여기서 알아야 할것이
저강도 유산소운동이 지방을 더 태운다는 말은 지방연소율로 보면 높지만 지방연소 총량은 낮아지고 반대로 고강도 유산소운동의 경우 지방연소율은 낮지만 지방연소 총소비량은 높아진다는 것을 기억 하십시요.

출처 박기석 선수 페이스12247758_192183344504168_3794740359529743667_o.jpg

 

12113396_192183331170836_989124975011359835_o.jpg

 

10580240_192183327837503_6835855698228552623_n.jpg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4
    read more
  2. 건강한 사람들에 습관

    새해 소망을 말할 때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건강이다. 사실 돈도 명예도 건강하지 못하면 아무런 소용이 없는 것이 된다.이 때문에 새해에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지겠다는 목표를 가장 먼저 정한다. '데일리메일'이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 건강한 삶을 위...
    Date2018.01.03 Byflexmun Views395
    Read More
  3. 나이가 들수록 근육을 키워야 하는 이유

    나이가 들면 몸 속 근육 양이 감소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우리 몸의 근육 양은 30대에 정점을 찍은 후 40대부터 매년 1~2%씩 감소한다. 80대에 도달했을 때쯤 제대로 사용할 수 있는 근육이 절반 밖에 남지 않는다. 문제는 근육 양이 부족하면, 당뇨병과 혈관...
    Date2017.12.26 Byflexmun Views517
    Read More
  4. 중년여성에 복부비반 원인과 습관 그리고 해결방법

    누구나 비만해질 수 있지만, 특히 중년 여성들에게 비만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다. 질병관리본부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여성의 비만 유병률은 40대까지 10%대로 낮지만 50대에 접어들면서 가파르게 상승해 60대 이후부터는 남성보다 비만 유병률이 ...
    Date2017.12.20 Byflexmun Views675
    Read More
  5. 비온다고 관절이 아픈것 속설일뿐이다. 저기압 관절염 연관성이 없다.?

    비 온다고 관절이 아프다는 세간의 속설은 사실이 아니다 많은 사람이 비가 오는 날에는 관절이 쑤시고 아프다고 하소연한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통념일 뿐 사실은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 의과 대학 연구팀은 150여만 명의 미국 ...
    Date2017.12.18 Byflexmun Views526
    Read More
  6. 관절을 건강하게 할려면 심부근육을 강화해라

    식스팩·애플힙 등은 근육이 탄력 있게 만들어진 배와 엉덩이를 이르는 말이다. 이처럼 눈에 보이는 근육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는 경우가 많은데, 보이지 않는 몸속 근육을 키우는 것도 중요하다. 몸속 근육을 '심부(深部)근육'이라 하는데, 뼈와 가깝게 붙어...
    Date2017.12.14 Byflexmun Views550
    Read More
  7. 운동안하면 간도 살찐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운동량이 적은 사람은 운동량이 많은 사람에 비해 비알코올 지방간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곽민선 교수와 스탠포드 대학교 김동희 교수 연구팀은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에서 건강 검진을 받은 사람 가운데 지방간이 ...
    Date2017.12.11 Byflexmun Views465
    Read More
  8. 여성이 더 유산소 운동에 적합하다.

    신체 특성상 여성이 남성보다 유산소 운동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 신체의 산소 처리 능력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빨리 산소를 섭취하는 능력은 운동의 측정 기준이며 근육 피로를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성이 있다. 캐나다 워털루...
    Date2017.12.06 Byflexmun Views628
    Read More
  9. 운동부족이라 생각만해도 사망률이 올라간다.

    신체활동 부족은 글로벌 사망률을 높이는 원인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4번째 주요 사망 위험요인으로 자리 잡았다. 매년 전 세계 3200만 명의 사람들이 신체활동 부족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매일 부지런히 움직여야할 이유가 여기에 ...
    Date2017.12.01 Byflexmun Views534
    Read More
  10. 겨울이 다이어트 최적에 기간이다.

    어릴 적엔 나잇살이 쪘다는 어른들의 말이 핑계인 줄로만 알았다. 조금만 덜 먹고, 조금만 더 움직이면 빠지는 게 살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약간만 관리에 소홀해도 삐죽 튀어나오는 옆구리가 만져질 때마다 어른들이 말한 나잇살을 실감하게...
    Date2017.11.27 Byflexmun Views510
    Read More
  11. 골다공증을 위한 운동

    통계에 의하면 50세 이상 여성의 30~40%, 50세 이상 남성 10% 내외에서 골다공증이 나타난다. 특히 70대 여성의 3분의 2에게서 골다공증이 흔히 발생한다. 이를 적절히 치료해 골절로 이어지지 않게 주의해야 하는 것은 물론 지금까지 간과되어 온 예방에도 신...
    Date2017.11.24 Byflexmun Views49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