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70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췌장암은 여전히 최악의 암으로 꼽히고 있다. 매년 7600여 명의 신규 환자가 나오고 있지만 조기 진단이 어렵고 치료도 매우 까다롭다. 아직도 췌장암이 생기는 원인을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증상도 없다. 환자가 증상을 느낄 정도면 암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췌장암의 징후에 대해 알아보자.

◆ 흡연자는 췌장암 위험 5배

담배 연기는 몸속 구석구석을 돌아 폐암 뿐 아니라 위암, 방광암도 일으킨다. 흡연을 하면 췌장암의 상대 위험도가 5배 정도 증가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가 바로 담배다. 췌장암의 3분의 1가량이 흡연 때문이다. 두경부암, 폐암, 방광암 등 다른 암이 생기면 췌장암도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지금 담배를 끊어도 10년 이상이 지나야 췌장암 위험이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만큼 낮아진다. 그래도 당장 금연부터 해야 한다.

◆ 췌장암 환자의 90%가 복부 통증 경험

국가암정보센터의 암 정보를 보면 췌장암의 가장 중요한 증상은 통증이다. 약 90%에서 나타나지만, 초기의 증상이 애매하다. 소화불량 등 위장병으로 오인해 진료를 받지 않고 넘어가는 사람이 많다. 가슴골 아래 한가운데에 오목하게 들어간 명치 등의 통증이 가장 흔하지만 좌우상하 복부 어느 곳에든 올 수 있다. 췌장은 등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허리 통증을 호소할 수도 있는데, 요통이 왔을 때는 병이 꽤 진행된 경우가 많다. 이미 통증이 나타나면 통증 없는 상태에서 진단받은 환자에 비해 예후(치료 후 경과)가 좋지 않은 편이다.

◆ 황달 생기면… 소변이 진한 갈색이나 붉은색

황달 또한 췌장암의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다. 황달이 생기면 소변이 진한 갈색이나 붉은색으로 변한다. 황달에 걸렸다는 사실을 모른 채 소변 색의 이상을 먼저 호소하는 환자가 많다. 대변의 색도 흰색이나 회색으로 변하고, 피부 가려움증, 피부와 눈의 흰자위 등이 누렇게 된다. 황달이 발생하면 빨리 치료를 받아야 한다. 황달과 함께 열이 나면 막힌 담도에 염증이 발생했다는 신호다. 이때 막힌 부분을 신속히 뚫어 주지 않으면 패혈증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 평소 체중에서 10% 이상 체중 감소

뚜렷한 이유 없이 몇 달에 걸쳐 체중이 감소하는 것은 췌장암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평소 체중을 기준으로 10% 이상 줄어든다. 원인은 암 때문에 췌액 분비가 적어져 흡수 장애와 식욕 부진, 통증으로 인한 음식물 섭취 감소 등 여러 가지다. 위암 등 다른 암도 체중 감소가 주요 증상이다.

◆ 소화 장애

위장 등 다른 소화기 검사에서 별다른 이상이 없는데도 막연하게 소화기 이상 증상이 지속될 때가 있다. 이는 암이 자라면서 십이지장으로 흘러가는 소화액(췌액과 담즙)의 통로를 막아 지방을 소화하는 데 문제가 생겼기 때문일 수 있다. 이 경우 물 위에 뜨는 옅은 색의 기름지고 양이 많은 변을 보게 된다. 암세포가 위장으로 퍼졌을 경우에는 식후에 불쾌한 통증, 구역질, 구토가 생긴다.

◆ 당뇨병을 잘 살펴야 하는 이유

췌장암이 생기면 없던 당뇨가 나타나거나 기존의 당뇨가 악화되기도 한다. 췌장염 증상을 보일 수도 있다. 당뇨는 췌장암의 원인일 수도 있지만 종양 때문에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가족력이 없이 갑자기 당뇨가 생겼다면 췌장암을 의심해볼 수 있다. 그 밖의  췌장암 증상으로 대변의 상태 외에 배변 습관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일부 환자에서는 변비가 나타나기도 한다.

◆ 췌장암 예방에 좋은 생활습관

췌장암을 예방하려면 먼저 담배부터 끊어야 한다.  당뇨를 장기간 앓고 있는 사람과 가족력 없이 갑자기 당뇨진단을 받은 사람은 췌장암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만성 췌장염이 있으면 췌장암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예후를 잘 살펴야 한다. 유전성이  췌장암 원인의 10% 정도를 차지한다. 부모, 형제 등 직계 가족 가운데 50세 이전에 췌장암에 걸린 사람이 있거나, 발병한 나이와 상관없이 췌장암 환자가 둘 이상 있다면 가족성 췌장암이 아닌지 의심해야 한다. 의사와 상의해  정기 검진을 해야 한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50107/%ec%86%8c%eb%b3%80-%ec%83%89%ec%9c%bc%eb%a1%9c-%ec%95%8c-%ec%88%98-%ec%9e%88%eb%8a%94%eb%8d%b0-%ec%b7%8c%ec%9e%a5%ec%95%94%ec%9d%98-%ec%a6%9d%ec%83%81%ec%9d%80/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6320
    read more
  2. 췌장암 소변색깔로 알수 있다

    췌장암은 여전히 최악의 암으로 꼽히고 있다. 매년 7600여 명의 신규 환자가 나오고 있지만 조기 진단이 어렵고 치료도 매우 까다롭다. 아직도 췌장암이 생기는 원인을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증상도 없다. 환자가 증상을 느낄 정도면 암이 ...
    Date2021.08.10 Byflexmun Views700
    Read More
  3. 중년운동 아침이 좋은 이유

    운동 계획을 짤 때는 시간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일주일에 몇 번, 무슨 종목을 하느냐에 못지않게 언제 운동을 하느냐도 중요하기 때문. 나이가 있다면 더욱 그렇다. 50세가 넘은 이들은 밤보다는 아침에 운동하는 게 좋다. 왜일까? 미국의 건강 정보 사...
    Date2021.08.07 Byflexmun Views608
    Read More
  4. 운동전 카페이 도움이 될까 해가 될까?

    지난달 20대 해외 모델이 SNS 플랫폼 틱톡에서 유행 중인 운동 전 단백질 파우더를 물 없이 한입 가득 섭취하는 ‘드라이스쿠핑(Dry Scooping) 챌린지’에 도전했다가 심장마비 진단을 받았다. 그는 이 챌린지를 하고 운동을 시작하자마자 가슴 통...
    Date2021.07.29 Byflexmun Views555
    Read More
  5. 부상 방지를 위한 달리기 자세

    달리기를 할 때 상체를 앞으로 기울이는 각도가 부상 위험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콜라라도대 연구팀에 의하면 달릴 때 몸을 과도하게 앞으로 숙이면 부상에 취약해 진다. 발이 지면에 더욱 세게 착지하게 되면서 엉덩이 무릎 다리 발에 ...
    Date2021.07.27 Byflexmun Views577
    Read More
  6. 허리통증 콩팥이 문제일 수 있다.

    허리가 아프면 콩팥을 의심하기 쉽다. 여러 매체에서 그렇게 경고한 탓이기도 하지만, 심각한 질병부터 의심하는 건강염려증의 발로이기도 하다. 그러나 허리 통증 대부분은 근육 경직 또는 경련 탓이고 더러 척추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한다. 미국 ‘...
    Date2021.07.22 Byflexmun Views745
    Read More
  7. 여성이 6년 더 살지만 5년 더 아프다.

    여성은 남성보다 오래 산다. 하지만 건강하게 장수(건강수명)하는 것이 큰 과제다. 오래 사는 기간을 거의 투병생활로 보낸다면 장수의 의미가 퇴색할 수밖에 없다. 여생을 활기차게 보내야 진정한 장수라고 할 수 있다. 몸조차 제대로 가누지 못하고 치매까...
    Date2021.07.20 Byflexmun Views476
    Read More
  8. 유산소와 근력운동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

    최근 근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걷기 등 유산소운동과 함께 근력운동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많다. 다이어트 뿐 아니라 건강수명(건강하게 장수)을 위해서는 이 두 가지 운동을 함께 하는 게 좋다. 그렇다면 어떤 것을 먼저 해야 할까? 짧은 시간에 효율을 ...
    Date2021.07.18 Byflexmun Views539
    Read More
  9. 균형감각을 좋게 하는 운동법

    나이가 들수록 ‘고유수용성 감각’(proprioception)을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몸의 위치, 자세, 평형, 움직임을 인식하는 감각으로 흔히 ‘운동 감각’으로도 알려져 있다. 공간에서 위치를 감지하고 몸과 팔다리를 자유롭게 ...
    Date2021.07.15 Byflexmun Views619
    Read More
  10. 수면이 부족하다면 더 움직이어야한다.

    수면이 부족한 경우 되도록 몸을 많이 움직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겠다. 호주와 영국의 공동 연구팀에 의하면 높은 수준의 신체 활동을 하는 경우 수면 부족으로 인한 해로운 영향을 상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발한 신체 활동에 양질의 수면이...
    Date2021.07.09 Byflexmun Views526
    Read More
  11. 5분 운동으로 혈압약만 만큼 효과를 보인다.

    날마다 5분간 호흡근육을 강화하는 훈련을 하는 것이 유산소 운동이나 약물 만큼 혈압을 낮추는 등 건강증진 효과가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볼더 콜로라도대 연구팀에 의하면 고저항의 흡기근육훈련(IMST)이 고령층의 심혈관 질환 예방에 중...
    Date2021.07.04 Byflexmun Views54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105 Next
/ 10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