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217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t바로우-준비동작-올바른동작.gif

 

T-바 로우(T-Bar Row)는 벤트오버 바벨로우와 함께 로우 분류의 운동에서 대표적인 운동이다. 비교적 무거운 중량을 사용해서 등 전체에 강도 높은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보디빌더들이 이 운동을 등 운동 루틴에서 빼놓지 않는다. 

 

T-바 로우도 벤트오버 바벨로우처럼 광배근을 중심으로 두고 있지만, 바벨로우보다 조금 좁은 그립을 사용하면서 바깥쪽 발달보다는 등 안쪽(척추 뼈에 가까운) 근육의 발달에 초점을 두고 있다. 특히 중/하부 승모근 발달에 가장 효과적인 운동으로 응용 방법에 따라 등의 다양하게 훈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new-tbar-web1.jpg

T-바 로우의 경우, 대부분 헬스장에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에 바벨을 이용하여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거기다 바벨 거치대도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파트너가 발로 밟거나 무거운 것을 중량 반대편에 올려놓고 하게 되는데 반대편이 들리는 등으로 부상,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거나 시설물을 파손시키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는 운동이다.

 

T-바 로우 자체도 기본적으로 벤트오버 자세에 기반한 운동이다. 승모근을 중심으로 등 상부를 운동할 때, 상체를 세워서 하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 바벨로우처럼 광배근을 중심으로 운동하기 때문에 상체를 벤트오버 자세로 유지해야 한다.  몬스터짐 스포츠 사이언스팀에서는 제시하는 T-바 로우 A TO Z를 통해 T-바 로우 운동에 대해서 자세하게 배워보도록 하자.

 

(모든 사진은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andmine-for-gyms-1.jpg

헬스장에서 T-바 로우를 하려면 작게는 2가지 준비물, 많게는 4가지 준비물이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올림픽바이며 두번째로 중요한 것은 거치대(좌측 1번)이다. 거치대가 가격이 조금 나가는 관계로 구비되어 있는 센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다음으로 필요한 것은 구멍 뚫린 원판(좌측 2번) 또는 원판+손잡이(맨우측)/수건이다.

 

손잡이가 없을 경우 수건을 이용해서 바벨에 수건을 걸고 운동해야 하기 때문에 동작이 어렵기도 하고 불안하기까지 하다. 손잡이가 없는 원판을 사용할 경우(좌측 3번째), 손잡이를 바벨에 걸쳐서 동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중량과중력이 작용하는 지점과 운동하는 사람의 당기는 힘 작용부위가 달라서 효율성이 떨어지며 지룃대 작용에 의해 중량 반대편이 들릴 위험성이 크다.

 

사본 -t바로우-준비자세.jpg

손잡이가 달린 원판(구멍난 원판)을 이용하면 구멍난 곳을 바로 손으로 잡아서 동작하기 때문에 당기는 힘과 중량의 작용점이 같고 지룃대 원리가 작용하기가 힘들어 바벨 반대쪽을 고정하지 않아도 들릴 위험이 없어 상대적으로 더 집중해서 동작을 할 수 있다. T-바 로우를 실시할 때는 몸통에 의한 지룃대 작용이 안일어나도록 원판에 가장 가깝게 발을 고정하도록 한다. 

 

신발은 되도록 평평한 것을 신고 만약 동작시 뒷꿈치가 뜨는 등 불편하다면 발 앞에 원판 또는 패드를 대서 높이는 높여준다. 일반저저긍로 발 앞쪽을 높여주면 상대적으로 덜 숙인 상태에서 팔을 수직으로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각도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본 -t바로우-발넓이.jpg

원판에 가깝게 발을 붙였으면 발의 넓이를 잡아야 하는데 발의 넓이는 되도록 어깨 정도의 넓이로 한다. 발 간격이 너무 좁을 경우 중량이 흔들리는 것을 제어하기가 힘들어 자세가 흐트러지며 발을 너무 넓게 벌릴 경우 가동 범위에 제한을 받는다. 

 

사본 -t바로우-준비동작.jpg

 

운동을 하기 위해 중량을 들어 올릴 때에는, 사진의 좌측/가운데처럼 하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벤셔널 데드리프트처럼 자세의 높이 자체가 내려와서 준비하거나 루마니안 데드의 자세처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가운데 자세의 경우 고중량 시에는 허리에 부담이 늘어나게 되므로 가벼울 때 사용하거나 바벨 끝에 파트너의 보조를 받아 올리는 것이 좋다.

 

사진 오른쪽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무거운 무게를 들어올릴때 자세를 낮추기 귀찮아서 나타나는 자세이다. 아동들의 움직임만 봐도 인체에서 척추를 보호하기 위한 동작 원리를 볼 수가 있다. 아동(더 어리면 어릴수록)들은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았음에도 바닥에 인접하기 위해 혹은 바닥에 있는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해 자세를 낮춘다.  

 

the-resting-squat.jpg

 

하지만 성인들은 자체를 낮추는 것이 귀찮아서 그런지 허리를 구부려서 무거운 무게를 들어올리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척추부에 무리를 주거나 부상을 당하는 것이다(아동들이 허리를 다치는 일은 흔치 않다. 보통 부딪히거나 넘어져서 까지는 일이 많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중량을 리프팅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t바로우-준비동작-잘못된동작.gif

 

그렇다면 어떻게 올바른 동작으로 시행하냐? 계속적으로 얘기했지만 척추중립을 유지하는 것이다. 척추중립을 유지해서 중량을 리프팅하며 운동 동작 시에도 척추중립을 유지해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흉곽을 과도하게 열 경우 복부가 못버티고 허리가 과도한 아치가 되기 때문에 과도한 아치도 새우등이 되는 것도 방지하기 위해서 척추중립을 유지한다는 것에 초점을 둬야 한다.

 

사본 -t바로우-당기는동작.jpg

중량을 리프팅 했으면 견갑을 살짝 릴렉션 시켜주어 과도하게 견갑을 조이고 있지 않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사진 가운데처럼 견갑을 후인시키며 중량을 배꼽 쪽으로 당겨준다. 일부 고중량을 사용하는 빌더들이 사진 왼쪽과 같이 하는 경우가 있지만, 보디빌더의 운동 방식을 따라하는 것은 이 동작에 대해서 확실하게 알고난 후에 해도 늦지 않다. 이처럼 상체를 세우고 배꼽보다 약간 높은 지점으로 당기는 법도 있지만, 되도록이면 광배근을 확실하게 수축시키기 위해 가운데와 같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t바로우-당기는동작-잘못된자세.gif

 

사진 오른쪽의 경우 자세는 낮게 잘 설정이 되었지만 고개를 과도하게 숙이면서 척추의 중립을 헤친 경우이다. 시선은 전방 45~60도 정도를 바라보는 것이 좋으며 오른쪽처럼 타점을 높게 잡을 경우 승모근 집중도가 커치므로 광배근을 주동근으로 해서 운동하기가 어려워 진다. 바벨로우에서 설명했듯이 너무 단전쪽으로나 너무 좁게 잡지 말고 배꼽 인근을 중량의 이동점으로 생각하며 된다.

 

T-바 로우는 간격을 좁게 잡아 팔꿈치가 몸통에 인접해서 동작하면서 등을 최대한 수축하게 동작하는 것이 좋다. 바벨로우와 유사하지만 이런 작은 차이가 있으므로서 두 운동의 자극점이 조금씩 다르게 되는 것이다. 물론 T-바 로우도 바벨로우처럼 간격이 넓은 손잡이를 이용해서 할 수 있으며 바벨로우도 T-바처럼 팔꿈치를 몸통쪽에 붙여서 할 수 있지만 각자 운동이 가지는 장점을 최대한 이용해서 운동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방법이다. 

 

T-바 로우는 바벨로우에 비해서 등을 수축하는 느낌을 잡기가 더 쉬운 운동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바벨로우와 곁들여 하거나 바벨로우보다 먼저 이 운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바닥에서 중량을 들어 올릴 때, 잘못된 동작에 의해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머신을 이용하거나 올바른 리프팅 동작을 통해 안전하게 중량을 다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T-바 로우는 광배근도 중요하지만 중/하부 승모근에 집중해서 하기를 권장한다. 바벨로우와 풀업으로 충분히 광배근을 사용한 후에 광배근 부수적인 부분으로 하고 중/하부 승모근을 비롯해 상부 등 발달에 초점을 두는 운동에 기본으로 T-바 로우를 추천한다. 그렇기에 T-바 로우 동작시 견갑을 모으는 벤트오버 쉬러그 동작을 선행해서 연습할 필요가 있다.

 

MONSTERZYM SPORTS SCIENCE TEAM

글 작성 : 이호욱

글 감수 : 오경모

촬    영 : 박성우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6
    read more
  2. 허리통증 운동을 해야되나? 말아야되나?

    요통으로 불리는 허리 통증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증상으로 막대한 건강 관리 비용이 들어간다. 요통은 통증의 범위를 넘어서 사회나 가정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조언들로 인해 허리 통증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
    Date2018.08.30 Byflexmun Views639
    Read More
  3. 골다공증 노인이 되면 나타나는 소아과 질환이다.??

    우리 몸의 골격은 십대에 만들어진다. 뼈를 튼튼하게 유지하려면 나이를 먹을수록 노력이 필요하다. 영국의 가디언이 뼈의 건강을 위해 신경 써야 할 7가지 방법을 정리했다. ​​​​​​​ ◆ 십대 시절 = 골격 형성에 가장 중요한 기간이다. 오죽하면 골다공증의 별...
    Date2018.08.28 Byflexmun Views808
    Read More
  4. 홈트(홈트레이닝)족 어깨 충돌증후군에 위험하다.

    집에서 운동하는 홈트족이 늘고 있다. 홈트는 홈 트레이닝(Home Training)의 줄임말로 집에서 동영상을 보면서 운동하는 것을 말한다.​​​​​​​ 시간 제약 없이 집에서 언제든지 할 수 있고, 별도의 비용도 들지 않아 바쁜 현대인들에게 안성맞춤이다. 하지만 잘...
    Date2018.08.24 Byflexmun Views553
    Read More
  5. 골다공증이 있으면 치매 걸릴 확률이 높다.

    골다공증이 있으면 치매 발병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아이큐비아(IQVIA) 연구팀에 따르면 골다공증이 있는 여성은 치매 위험이 30%, 남성은 20%까지 더 커진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20년 동안 1215개 독일 병원에서 진료를...
    Date2018.08.23 Byflexmun Views594
    Read More
  6. 굶는 다이어트 때문에 살이 찔수도 있다.

    식단 조절은 체지방 감소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다. 하지만 바쁜 일상을 보내다 보면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식단 관리가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간편한 '굶는 방식'을 다이어트의 왕도처럼 따를 위험도 높아진다. 하지만...
    Date2018.08.21 Byflexmun Views565
    Read More
  7. 암예방을 위한 최고의 방법은 운동이다

    암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몇 가지 종류의 식품을 섭취하는 것부터 신체 활동을 늘리는 것 등이 있지만 발암 물질은 도처에 잠재해 있다. '미국 내과학회지(JAMA Internal Medicine)'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암을 예방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은 운동이다.​​​​​​​ ...
    Date2018.08.20 Byflexmun Views510
    Read More
  8. 비만이 남성호른몬 수치를 감소시킨다.

    발기부전 환자라면 남성호르몬 수치를 높이기 위해 다이어트와 심폐 체력 운동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남성호르몬으로 알려진 테스토스테론은 정상적인 발기력을 유지하는데에도 매우 중요한 호르몬이다. 많은 발기부전 환자들이 남성호르몬이 저...
    Date2018.08.17 Byflexmun Views551
    Read More
  9. 웃고 서있는것만으로 다이어트가 된다.

    식사량을 줄이고 운동을 더 하고.... 체중을 줄이기 위해 보통 실행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살을 좀 더 빨리 빼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령이 필요하다. '그랜페런츠닷컴'이 체중을 빨리 줄일 수 있는 독특한 방법 5가지를 소개했다.​​​​​​​ 1. 자주 웃어라 자기 ...
    Date2018.08.13 Byflexmun Views576
    Read More
  10. 똑같은 다이어트를 했는데 왜 결과는 다를까?

    같은 방법으로 다이어트 해도 살이 잘 빠지지 않는다면, 장내 미생물 구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 연구진이 26명의 과체중 또는 비만인의 비만 치료 과정에서 장내 미생물과 체중 조절의 연관성을 밝혔다. 식단 조절, 운동, 생활 ...
    Date2018.08.03 Byflexmun Views1805
    Read More
  11. 악력이 약하면 삶에 질이 떨어진다

    주로 노인의 근력평가 지표로 활용되는 손으로 쥐는 힘이 보통 성인의 '삶의 질'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박혜순 교수, 강서영 임상강사 연구팀은 20세 이상의 한국 성인 남녀 4620명(남 2070명, 여 2550명)을 대상...
    Date2018.08.02 Byflexmun Views57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