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39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1칼로리(cal)는 물 1g의 온도를 섭씨 1도 올릴 때 드는 에너지양이다. 워낙 미미한 에너지라서 음식의 열량을 따질 땐 1킬로칼로리(kcal, 물 1kg의 온도를 1도 올리는 열량) 단위를 많이 쓰고 편의상 그걸 대문자 ‘C’를 써 1칼로리(Cal)라 부른다.

같은 열량이라면 온도를 높이든, 먹어서 살로 가든 효과는 같다. 따라서 ‘살 안 찌는 칼로리가 따로 있다’는 말은 과학적으로 모순이다. 그러나 같은 열량을 어떤 음식으로 섭취하느냐에 따라 체중 관리에 유리하거나 불리할 수 있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 메일’이 칼로리보다 음식에 주목해야 한다는 영양학자의 의견을 소개했다. 어떤 음식은 열량이 높아도 체중 관리에 더 유리하다는 것.

예를 들면 아보카도는 엄청난 고열량 식품이다. 100g당 187칼로리(kcal)에 달한다. 같은 무게의 쇠고기 토시살보다 더 높다. 그러나 같은 열량이라도 비스킷이나 빵보다 아보카도로 섭취하면 체중 조절에 훨씬 유리하다.

아보카도는 지방이 많아 소화가 느린 덕분에 허기를 덜 느낀다. 주전부리를 덜 하게 되고 탄수화물보다 혈당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닭가슴살 등 단백질도 빵보다 유리하다.

견과류도 고지방 식품이어서 열량이 높다. 그러나 지방의 일부는 식물성 세포벽에 갇혀 소화 과정에서 흡수되지 않는다. 연구에 따르면 견과류 제품은 포장에 표시된 열량보다 32%가량 적게 흡수된다. 게다가 견과류엔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해 혈액 속 나쁜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심혈관 질환을 예방한다.

칼로리 계산에 몰두하면 식이 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 열량이 높은 음식을 거부하는 거식증은 물론, 반발 심리에 따른 폭식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음식을 ‘좋은 것’, ‘나쁜 것’으로 나누는 건 건전하지도, 과학적이지도 않은 습관이다. 모든 음식은 고유의 장점이 있다.

최신 연구를 종합하면 탄수화물 섭취 열량을 줄이는 대신, 단백질과 지방의 비중을 높이면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된다. 열량 계산보다 골고루 먹기에 신경쓰란 얘기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52558/%ec%82%b4-%ec%95%88-%ec%b0%8c%eb%8a%94-%ec%b9%bc%eb%a1%9c%eb%a6%ac%ea%b0%80-%ec%9e%88%eb%8b%a4/

 


  1. 칼로리는 높지만 다이어트에 도움이된다.??

    1칼로리(cal)는 물 1g의 온도를 섭씨 1도 올릴 때 드는 에너지양이다. 워낙 미미한 에너지라서 음식의 열량을 따질 땐 1킬로칼로리(kcal, 물 1kg의 온도를 1도 올리는 열량) 단위를 많이 쓰고 편의상 그걸 대문자 ‘C’를 써 1칼로리(Cal)라 부른다...
    Date2021.08.24 Byflexmun Views394
    Read More
  2. 장염 걸렸을때 좋은 음식들

    폭염 아래 장염의 계절이다. 대부분의 여름철 장염은 식중독균 등 세균성으로 인해 발생된다. 비위생적인 상태에서 음식을 조리하거나, 더운 날씨 때문에 음식이 상하기 쉽다. 이 상태에서 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대장균 등의 주요 식중독 균들이 생기고, ...
    Date2021.08.21 Byflexmun Views432
    Read More
  3. 간헐적 단식 또다른 효능

    간헐적 단식을 하면 체중 감량뿐만 아니라, 감염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는 동물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대 의대 연구진은 생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살모넬라 박테리아를 입으로 투여했다. 한 그룹은 이틀간 굶긴 상태였고, 나머지는 정...
    Date2021.08.09 Byflexmun Views438
    Read More
  4. 단백질 섭취가 부족하면 생기는 일

    단백질은 여러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이다. 단백질은 세포를 구성하고 생체 내 물질대사의 촉매 작용을 해 생명 현상을 유지하는 물질이다. 탄수화물, 지방과 함께 사람의 3대 영양소로 꼽힌다. 살을 뺄 목적으로 칼로리를 줄이는 데만 신...
    Date2021.08.05 Byflexmun Views456
    Read More
  5. 알고있던 맥주안주 최악이다.

    요즘 올림픽 경기를 보며 시원한 맥주를 찾는 이가 늘어났다. 한여름 밤 치맥은 더위와 출출함, 스트레스를 한 방에 날리지만, 건강에는 독이 될 수 있다. 입맛에는 찰떡이지만, 알고 보면 상극인 맥주 안주 조합이 있다. ◆ 국민 안주 치맥 ‘치맥&rsquo...
    Date2021.07.31 Byflexmun Views412
    Read More
  6. 아침에 먹는 단백질이 근육에 더 도움이 된다.

    아침에 섭취하는 단백질이 저녁 때 보다 근육 성장을 더 촉진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와세다대학교 연구팀은 인간과 쥐를 대상으로 아침 일찍 단백질을 섭취했을 때의 효과에 대해 연구를 했다. 우선 쥐 실험에서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아침이나 ...
    Date2021.07.27 Byflexmun Views423
    Read More
  7. 블루베리 효능

    최근 블루베리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블루베리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진달래과에 속하는 관목성 식물이다. 세계 각국에서 ‘건강식품’으로 각광받으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재배 면적이 크게 늘고 있다. 저장성이 다른 과실에 비해 떨어지지...
    Date2021.07.26 Byflexmun Views428
    Read More
  8. 몸에 좋은 음식도 해로운 때가 있다.

    폭염이 이어지면서 시원한 과일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채소와 과일은 몸에 좋은 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다. 고혈압, 혈관 질환, 대장암 예방 등을 위해 육류를 절제하고 채소와 과일을 자주 먹으라는 말을 귀가 따갑게 듣고 있다. 몸속 세포의 손상과 노화를 ...
    Date2021.07.25 Byflexmun Views411
    Read More
  9. 중년이 양배추를 먹으면 좋은 이유

    양배추는 위 점막에만 좋은 게 아니다. 혈전 생성을 억제해 중년-노년이 많이 걸리는 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양배추는 품종이 다양하다. 소비량이 가장 많은 푸른양배추는 샐러드와 볶음요리, 적양배추는 샐러드나 즙, 방울다다기양배추는 방울토마토...
    Date2021.07.21 Byflexmun Views431
    Read More
  10. 모유수유가 비알콜성 지방감 위험을 감소시킨다.

    모유수유와 비알코올성 지방간 동반 위험의 상관관계가 밝혀졌다. 단 한 달만 모유수유를 해도 비알코올성 지방간 동반 위험이 낮아질 뿐 아니라 모유수유 기간이 길수록 발병 위험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곽금연, 신동현 ...
    Date2021.07.19 Byflexmun Views37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122 Next
/ 12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