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2016.06.02 00:58

트리거포인트

조회 수 238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근육이 뭉쳤다’ 무슨 말일까?

By 김지용 -


2016년 4월 29일

0

12067

그림1
1
보통 우리는 근육이 뻣뻣하고 통증이 있을때 근육이 뭉쳤다고 말합니다.
특히 양쪽 어깨 근육을 강하게 눌러보면 뭔가 덩어리로 만져지는 것이 있지요
그렇다면 근육이 뭉쳤다는 것은 정말로 무엇일까요?
우리 몸에서 어떤 변화를 야기하는 것일까요?

1
4001
1
위의 그림은 근육을 하나씩 하나씩 작은 단위로 잘라 놓은 것이에요
muscle – fascicle – fiber – fibril
각 근육의 단위가 이렇게 세분화 되어 있죠
fibril을 또다시 자세히 보면 두가지 근육의 섬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ctin 과 myosin
우리 몸의 모든 근육은 actin과 myosin의 결합체라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1
4001 (1)
1
액틴과 마이오신이라는 두 개의 섬유가 가까워지면 근육은 수축하는 것이고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보고 우리는 근육이 일을 한다고 합니다. 즉, 힘을 쓰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근육이 이완하게 되면 다시 근육의 섬유 길이는 늘어나게 됩니다. 액틴과 마이오신이 본래의 길이로 돌아가는 것이죠.
1
4002
1
그런데 이런 근육은 운동신경의 지배를 받아서 명령을 받고 일을 하게 됩니다.
신경이 근육에 붙는 부위를 일컬어 우리는 근-신경접합부 혹은 종판(endplate)라고 부르지요.
이곳에서는 시냅스를 거쳐온 전기적 신호가 신경전달물질을 방출하여 근육에 명령을 내립니다.
기억해야할 것은 근육에 명령을 내리는 기전은 최종적으로 전기적 신호가 아닌 화학적 신호라는 것이겠지요.
1
4012
1
그런데 한번 근육이 수축하고 이완하는 것은 큰 문제가 없지만
여러가지 문제에 의해서 근육이 일을 계속한다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근육이 수축한 상태에서 이완한 상태로 돌아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죠.
1
4001
1
위의 근육의 단축상태가 근육이 일하는 상태이고, 아래의 이완상태가 근육이 휴식하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근육에 무리가 가면 휴식 상태에서 근육이 이완되지 못하고, 액틴과 마이오신이 얽혀 있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1
4013
1
다시한번 근육이 이완되지 못하고 계속 수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위의 도표인데요
* 신경계 명령에 의한 지속적인 근육의 수축은
1) 일을 하기 위해 지속적 에너지를 갈아먹고
2) 근육 두께의 증가로 인해 주변 모세혈관을 압박하여
국소적인 허혈성 상태를 만들게 됩니다.
3) 이는 결과적으로 에너지 위기를 만들어서
4) 근육 수축 이완에 관련된 칼슘의 재흡수를 억제하게 됩니다.
5) 칼슘이 재흡수되지 못하면 근육은 신경전달에 의한 (나의 명령에 의한) 근수축이 아닌 의도치 않은 지속적 근수축을 계속 발생시킵니다.
위의 현상이 지속되다보면 근 섬유가 얽히고 섥히게 되겠지요?
1
4004
1
이 사진은 즉 근섬유의 지속적 수축작용이 일어난 후의 모습입니다.
전자현미경을 통해서 보면 근섬유의 밀도가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
4005
1
이런 얽힌 근섬유의 다발들이 특히나 많이 모여있는 부분들이 있는데, 그 부분은 딱히 전자현미경으로 아주 작게 보지 않아도 손으로만 만져도 느껴질만큼 아주 큰 형태를 띄는데요
이것을 우리가 Trigger point = 통증 유발점이라고 합니다.
1
4006
1
근육의 Trigger point는 많이 쓰이는 모든 근육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커진 Trigger point는 충분히 손으로 만져질 수 있습니다.
한의사 선생님들이 침놓을때 혈자리를 찾듣이 근육을 꼼꼼히 만지고 누르고 해도 놀라지 마십시요.  그것은 더 좋은 치료를 위해서 검사하는 것이니까요
1
1
세줄 요약해 보겠습니다.
1. 근육에 지속적 부하가 주어지면 근육의 에너지가 감소하고 근육 속의 혈류 순환에 문제가 발생한다
2. 위의 증상은 지속적 선순환의 과정으로 근육 섬유의 단축을 야기하여 Trigger point 통증유발점을 발생한다.
3. 이런 Trigger point는 치료가 필요할 정도가 되면 충분히 손으로 만져질 수 있다.

출처 http://backtowork.co.kr/?p=869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4
    read more
  2. 운동한 아빠가 똑똑한 아이를 낳는다..

    남성이 운동을 열심히 하면 똑똑한 자식을 낳을 수 있을까? 미국 '뉴욕타임스'가 소개한 독일 의료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렇다.​​​​​​​ 운동은 두뇌 속 신경세포의 연결을 강화한다. 특히 해마 부위에서 그런 현상이 두드러지는데 이곳은 기억과 학습을 담...
    Date2018.05.15 Byflexmun Views529
    Read More
  3. 하체비만 하비를 만드는 습관

    여성들이 가장 꺼리는 체형 중 하나가 ‘하체비만’이다. 하체에 살이 붙으면 옷을 코디하기도 곤란하고 무엇보다 몸이 불편해 스트레스가 쌓이기 때문이다. 일본 올어바웃은 18일 기사를 통해 무의식중에 여성들의 다리를 살찌게 만드는 10가지 행동을 소개했다...
    Date2018.05.03 Byflexmun Views604
    Read More
  4. 운동에 대한 오해와 진실

    "근력 운동을 너무 많이 하면 몸이 울퉁불퉁 남성처럼 된다는데...", "운동하면서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면 금세 날씬해진데..." 헬스클럽에서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을 종종 볼 수 있다.​​​​​​​ 하지만 운동을 제대로 해서 여러 가지 건강 효과를 보려면 이런 ...
    Date2018.04.30 Byflexmun Views529
    Read More
  5. 운동을 하는데 왜 살이 안빠질까?

    "매일 한 시간씩 운동을 하는데도 도무지 살이 빠지지 않아요."​​​​​​​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 가운데 이렇게 하소연하는 이들이 상당히 많다. 따로 운동할 시간을 내지 못하는 이들은 스마트폰 만보계 앱 등을 활용해서 출퇴근길이나 점심 식사 후에 하루 1만 ...
    Date2018.04.25 Byflexmun Views622
    Read More
  6. 걷기와 달리기 어떤것이 좋을까?

    걷는 것과 달리기에 어떤 차이가 있을까? 이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는 규칙적인 운동으로 달리기를 하는 사람 3만3000명과 걷는 사람 1만5000명을 대상으로 6년 동안 관찰하며 운동 효과를 비교했다. 달리기를 한 사람들...
    Date2018.04.23 Byflexmun Views543
    Read More
  7. 왜 다이어트는 항상 실패할까?

    바야흐로 다이어트의 계절이다. 겨우내 추위에 웅크려 있던 심신의 기를 펴고 싶어, 또 여름철 피서지에서 날씬한 몸매를 자랑하고 싶어서 3월부터 100일간 고행에 들어가는 이가 많다. 건강 관리나 취업을 위해 살을 빼려는 사람도 항상 많다. 다이어트 산업...
    Date2018.04.18 Byflexmun Views402
    Read More
  8. 과학자도 인정한 뱃살 빼는 법 5

    복부 비만은 보기에도 흉할 뿐 아니라 질병의 원인이 된다. 지금도 뱃살을 움켜쥐며 한숨짓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복부 비만은 우리나라의 경우 남자는 허리둘레 90㎝ 이상, 여자는 85㎝ 이상을 말한다. 복부 비만은 내장 지방이 쌓이면서 생기는데 과식, 운...
    Date2018.04.08 Byflexmun Views522
    Read More
  9. 일자목·거북목 예방, 교정하는 초간단 스트레칭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활용한 업무 등이 활발해지고, 보급이 확산되면서 가장 고통받는 신체 부위는 바로 '목'이다. 목을 쭉 뺀채로 스마트폰을 보거나, 컴퓨터 모니터를 보는 습관은 목의 정상적인 C자 커브를 변형시킨다. 이로 인해 거북목이 되거나...
    Date2018.04.08 Byflexmun Views700
    Read More
  10. 무릎 관절염과 자가 진단법

    나이가 들면서 안쪽 무릎 연골이 찢어지고 뼈가 닿게 되면서 퇴행성 관절염(사진1)이 생긴다. 퇴행성 관절염을 앓는 여성 환자 대부분은 다리가 0(오)다리로 휘게 된다. 오다리로 휜 관절은 무릎 안쪽에 힘이 많이 가해지면서 안쪽 관절염이 진행속도가 더 빨...
    Date2018.04.08 Byflexmun Views482
    Read More
  11. 무릎 수술 후 재활 운동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하고 나면 수술 직후부터 무릎을 구부리고 펴는 운동 치료를 곧바로 시작해야 한다. 무릎을 자동으로 구부리고 펴주는 기계에 다리를 넣고 치료를 받을 수도 있고 물리치료사가 무릎을 꺾어주는 치료를 하기도 한다. 일주일 정도 지난 ...
    Date2018.04.08 Byflexmun Views107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