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117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한번쯤 아침에 손가락이 부어있는 느낌이 든 적이 있을 것이다. 혹은 저녁에 손가락이 뻑뻑하면서 부은 느낌을 받은 적도…, 이렇게 손가락이 붓는 증상은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다.

하지만 통증 등 다른 증상을 동반한다면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손가락이 붓는 원인은 다양하다. 보통 심각하지 않은 경우가 많지만, 질환이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도 있다. 미국 건강정보 온라인 포털 웹엠디(WebMD)가 소개한 손가락이 붓는 원인 10가지다.

1.     체액저류(Fluid Retention)

신체 조직이나 관절에 체액이 축적되어 몸이 붓는 현상이다. 손가락이 부어 평소에 잘 끼던 반지가 맞지 않을 수 있다. 짠 음식을 먹어서 부은 거라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그 외에 손가락과 손이 붓는다면 건강에 문제가 있다는 신호일 수 있으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2.     운동

운동할 때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심장, 폐, 근육은 산소를 필요로 한다. 그래서 운동을 하면 더 많은 혈액이 이쪽으로 흘러가게 되고 손으로 가는 혈류는 적어진다. 혈관이 이 변화에 반응해 확장되고, 이 때문에 손가락이 붓는다.

3.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 내벽에 영향을 미쳐 부종, 통증, 뻣뻣함을 유발한다. 증상은 보통 손 관절에 먼저 나타나며 양 손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선성 관절염은 건선(psoriasis)이라고 하는 피부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발병할 수 있다.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소시지처럼 부어오르기도 한다. 두 가지 관절염 모두 심각한 질환이며, 치료를 받지 않으면 관절 손상이나 다른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4.     통풍

통풍은 ‘부자병(rich man’s disease)’이라고 하여 주로 고기나 해산물, 술을 많이 먹을 수 있는 사람이 걸리는 병이었다. 지금은 누구나 걸릴 수 있는 병이다. 극심한 통증과 부종을 유발한다. 보통 엄지 발가락에 발생하지만, 손가락 등 어떤 관절에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통풍은 혈액에 요산이 너무 많아져 관절에 결정이 쌓일 때 일어난다.

5.     약물

복용하는 약 때문에 부기가 생기기도 한다. 부기를 유발하는 약물에는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같은 일반의약품 진통제 △스테로이드 △당뇨나 고혈압에 사용되는 특정 약물 △가바펜틴, 프레가발린 같은 신경 통증 약 △에스트로겐이나 테스토스테론을 이용한 호르몬 치료가 있다. 약물로 인한 부종은 보통 심각한 문제는 아니지만, 우려스럽다면 의사와 상의하도록 한다.

6.     손목터널증후군/수근관 증후군

손목에 있는 수근관(carpal tunnel)이라고 하는 부위의 신경이 조여지면서 나타나는 질환이다. 겉으로 보기엔 괜찮더라도 손가락이 부은 느낌을 받는 사람이 있다. 통증, 저림이 느껴지거나 감각이 없어지기도 한다. 손으로 같은 동작을 계속해서 반복하면 나타날 수 있다. 치료가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지속적인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7.     방아쇠수지(Trigger Finger)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펼 때 방아쇠를 당길 때처럼 딱 소리가 나면서 통증이 느껴지는 질환이다. 손가락이 붓기도 한다. 힘줄 주변이 부을 때 발생하며 손목터널증후군 수술 이후 나타나기도 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당뇨병이 있는 사람에게 더 흔하다. 저절로 나아지기도 한다. 하지만 심해지면 손가락이 구부러진 채로 굳어지기도 한다.

8.     신장질환

신장은 신체의 노폐물과 과도한 체액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문제가 있다는 첫 번째 신호 중 하나는 손가락과 발, 눈 주변이 붓는 것이다. 당뇨나 고혈압이 있으면 신장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

9.     림프부종|

림프부종은 림프계의 체액이 잘 배출되지 않아 부종이 생기는 질환이다. 암 치료의 부작용이기도 하다. 유방암 검사를 위해 겨드랑이의 림프절을 제거하기도 하는데, 이것이 림프 흐름을 방해하고 팔과 손에 부종이 생기게 할 수 있다. 방사선 치료는 림프절을 손상시키고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치료 후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치료는 할 수 없지만 관리는 가능하다.

10.  피부경화증(Scleroderma)

피부경화증은 콜라겐의 과다한 축적으로 인해 피부가 딱딱해지고 두꺼워지는 면역계 질환이다. 다른 신체 부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손이 뻣뻣해지거나 손가락이 소시지처럼 부어오를 수 있다. 증상이 가벼운 사람도 있지만, 심각한 경우 장기가 손상될 수 있다. 피부경화증은 완치가 어렵지만 치료로 증상을 경감시킬 수는 있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59467/%ec%9a%b4%eb%8f%99-%ed%9b%84%ec%97%90%eb%8f%84-%ec%86%90%ea%b0%80%eb%9d%bd%ec%9d%b4-%eb%b6%93%eb%8a%94-%ec%9d%b4%ec%9c%a0-10/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수면동안 뇌는 운동방법을 기억에 남긴다.

    운동을 잘 하려면 열심히 연습해야 하지만, 잠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잠을 제대로 자지 않으면, 시험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기술이 필요한 운동능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 특히 주말 골퍼들이 전날 잠을 설쳤다가 라운딩을 망치는 것, ...
    Date2021.10.19 Byflexmun Views360
    Read More
  3. 단식모방다이어트(FMD), 건강장수에 큰 도움된다.

    단식을 참고해 총 4주 중 5일 동안 열량이 낮은 식단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단식 모방 다이어트(FMD, Fast-mimicking Diet)’를 실천하면 훨씬 더 건강하게 장수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연구팀이 ...
    Date2021.10.18 Byflexmun Views428
    Read More
  4. 운동후 커피한잔이 좋은 이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와중에도 탄탄한 몸매를 만들기 위해 운동을 꾸준히 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운동으로 근육을 형성하고 유지하려면 먹는 음식이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탄탄한 몸매를 갖기 위해 평소 운동을 하고 있다...
    Date2021.10.13 Byflexmun Views470
    Read More
  5. 호흡만으로 미주신경을 긍정적으로 활성화 시킬수 있다.

    미주신경은 12쌍의 뇌 신경 중 열 번째 신경이다. 심장 박동, 호흡, 소화 등 무의식적 운동을 조절하는 부교감 신경이다. 미주신경은 그밖에 정신적 긴장과 이완에 영향을 준다. 스트레스를 과해 미주신경이 자극받으면 혈압과 심박이 급격히 낮아지는 식이다...
    Date2021.10.12 Byflexmun Views1328
    Read More
  6. 손이 붓는 이유 10가지

    한번쯤 아침에 손가락이 부어있는 느낌이 든 적이 있을 것이다. 혹은 저녁에 손가락이 뻑뻑하면서 부은 느낌을 받은 적도…, 이렇게 손가락이 붓는 증상은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다. 하지만 통증 등 다른 증상을 동반한다면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
    Date2021.10.07 Byflexmun Views1173
    Read More
  7. 취침전 운동 도움이 될까?

    잠자기 전 강렬히 움직이거나 운동을 한 상태라면 잠이 잘 오기 마련이다. 하지만 저녁시간에 운동을 하는 사람이라면 취침 몇 시간 전 운동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겠다. 운동이 끝난 후 2시간 안에 잠자리에 들면 오히려 숙면에 방해가 된다는 ...
    Date2021.09.30 Byflexmun Views562
    Read More
  8. 걷기 전후 언제 먹는 것이 좋을까?

    걷기는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꼽힌다. 걷기 운동의 효과를 높이려면 적절한 영양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걷기 운동 전후에 무엇을 먹을지, 얼마나 그리고 언제 먹을지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걷는 동안 에너지와 건강...
    Date2021.09.28 Byflexmun Views486
    Read More
  9. 증상없는 폐암 발병 증후들

    폐암은 초기에 거의 증상이 없다. 암세포가 상당히 퍼지고 나서야 기침, 숨 가쁨, 가슴 통증이 나타난다. 그러나 가슴과 전혀 상관없는 곳에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미국 건강 매체 ‘웹엠디’가 폐암에 걸렸을 때 나타나는 뜻밖의 징후를 정리...
    Date2021.09.25 Byflexmun Views456
    Read More
  10. 중년의 하체 위험하다.

    중년은 몸이 요동치는 시기다. 남녀 모두 갱년기를 겪는다. 특히 여성은 폐경기를 거치면서 골다공증,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진다. 중년을 건강하게 넘겨야 노년에 건강수명(건강하게 장수)을 누릴 수 있다. 그런데 몸의 버팀목인 중년의 하체가 흔들리고 있...
    Date2021.09.23 Byflexmun Views48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