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설탕 대신 인공감미료를 쓰는 경우 여성과 비만인 남성은 더욱 허기를 느낄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케크의대의 캐슬린 페이지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최근 《미국의학협회저널(JAMA) 오픈》에 발표한 논문을 토대로 미국 건강의학포털 웹엠디(WebMD)가 6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이다.

연구진은 인공감미료 수크랄로스가 첨가된 음료와 설탕이 첨가된 음료를 여성과 비만남성에게 마시게 한 뒤 뇌의 보상중추의 활동을 조사한 결과 수크랄로스일 때 더 활동성이 높아진다(식욕이 촉진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 일정기간 금식 후 뷔페에서 음식을 먹게 한 결과 여성들이 훨씬 더 많은 음식을 섭취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수크랄로스 제품은 많은 사람들이 커피와 다른 음료에 설탕 대신 사용하는 파우더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있다. 스펜다(Spenda), 제로칼(Zerocal), 수크라나(Sukrana), 수크라플러스(SucraPlus), 캔디스(Candys), 커크렌(Cukren), 네벨라(Nevella) 같은 브랜드의 인공감미료가 이에 해당한다. 이밖에 다이어트 탄산음료와 메이플 시럽, 샐러드 드레싱, 그리고 다른 소스 같은 무설탕 제품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페이지 교수는 “인공감미료는 필요 이상으로 배고픔을 느끼도록 뇌를 속이는데 여성과 비만인 남성일수록 더 민감하게 이를 느낄 수 있다”면서 “이로 인해 더 많은 칼로리를 소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이어트를 위해 설탕 대신 인공감미료를 먹는 것이 성별과 체중에 따라 역효과를 낼 수도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인공감미료에 대해선 체중감량과 건강한 식단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와 체중 증가, 제2형 당뇨병, 대사장애 등을 가져올 수 있다는 연구가 엇갈리고 있다. 성별과 체질량 지수를 감안하면 이런 엇갈린 결과가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 페이지 교수 연구진 논문의 요지다.

독일 튀빙겐대 헬름홀즈 협회 당뇨병-대사질환 연구소(IDM)의 스테파니 쿨만 박사는 “칼로리는 없지만 단맛을 강화한 인공감미료가 음식에 대한 뇌의 반응성을 손상시킬 수 있고, 특히 여성의 신진대사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이번 연구결과를 평가했다. 그는 “체중 관리를 위한 개인 맞춤형 식이요법에 고려될 사항으로서 성별과 비만이 포함되는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인공감미료를 사용해선 안된다고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는 상황이다. 캐나다 토론토대 영양학과의 존 L 시엔파이퍼 교수는 “과연 이번 결과가 수크랄로스 자체 때문인지 칼로리 부족으로 인한 것인지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수크랄로스를 포함한 저칼로리 내지 무칼로리 감미료가 남녀불문하고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사람의 체중감량에 실제적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좀더 면밀한 추가연구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59600/%ec%9d%b8%ea%b3%b5%ea%b0%90%eb%af%b8%eb%a3%8c-%eb%a8%b9%ec%9d%80-%ec%97%ac%ec%84%b1-%ec%89%bd%ea%b2%8c-%ed%97%88%ea%b8%b0-%eb%8a%90%eb%82%80%eb%8b%a4-%ec%97%b0%ea%b5%ac/

 


  1. 물대신 커피나 차로 마시도 될까?

    하루 물 여덟 잔. 더 정확히는 여성 2.2ℓ, 남성 3ℓ(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연구). 여간 신경 쓰지 않고는 챙겨 마시기 어려운 양이다. 그래서인지 현대인 대부분은 살짝 탈수 상태로 지낸다는 연구도 있다. 맹물 대신 차로 수분을 보충하면 어떨까. 은은한 ...
    Date2021.10.21 Byflexmun Views378
    Read More
  2. 잘모르고 있었던 계피의 효능

    계피는 향만 좋은 게 아니다. 소화를 돕는가 하면 경련을 진정시키는 효과도 있다. 9월부터 12월까지가 제철인 계피. 예로부터 향신료는 물론 민간에서 치료제로 널리 쓰인 계피의 효능을 미국 건강 매체 ‘웹엠디’가 정리했다. ◆ 대사 = 계피는 ...
    Date2021.10.21 Byflexmun Views312
    Read More
  3.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음식

    혈액 순환이 잘 되어야 건강하다. 피가 온몸을 도는데 어려움이 있으면 탈이 나기 쉽다. 혈액 속에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쌓이면 고지혈증, 동맥경화에 이어 심장병(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뇌경색, 뇌출혈) 등 혈관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 피의 흐름...
    Date2021.10.18 Byflexmun Views339
    Read More
  4. 8천종 식품 나침반이 개발되었다.

    음식·음료 8천여 종에 대해 ‘건강에 가장 좋은 음식’(100점)부터 ‘건강에 가장 나쁜 음식’(1점)까지 점수를 매긴 ‘식품 나침반(Food Compass)’이 개발됐다. 새로운 ‘영양소 프로파일링 시스템(NPS, nutrien...
    Date2021.10.18 Byflexmun Views426
    Read More
  5. 화장품속 이성분이 조기사망율을 높인다.

    플라스틱 제품과 화장품 등에 첨가하는 화학 물질, 프탈레이트가 조기 사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첨가하는 화학 물질. 신체에 들어오면 내분비계를 교란하는 환경 호르몬으로 작동한다. 과도하...
    Date2021.10.14 Byflexmun Views388
    Read More
  6. 여성은 인공감미료를 먹으면 쉽게 허기를 느낀다.

    설탕 대신 인공감미료를 쓰는 경우 여성과 비만인 남성은 더욱 허기를 느낄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케크의대의 캐슬린 페이지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최근 《미국의학협회저널(JAMA) 오픈》에 발표한 논문을 토대로 미국 건...
    Date2021.10.11 Byflexmun Views293
    Read More
  7. 단백질에 대한 오해

    단백질은 탄수화물, 지방과 함께 3대 필수 영양소다. 하루 섭취 열량의 20% 안팎을 단백질로 섭취해야 세포와 조직과 장기가 제대로 작동한다. 살을 빼거나 근육을 키우려는 사람이 늘면서 단백질에 대해 관심이 커진다. 미국 건강 매체 ‘프리벤션&rsqu...
    Date2021.10.06 Byflexmun Views343
    Read More
  8. 연구결과 다이어트 음료 체중량에 해롭다 .

    다이어트 음료가 체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기는커녕 오히려 체중 감량 노력에 방해가 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의대 연구 결과다. 이에 따르면 인공감미료 수크랄로스가 들어 있는 다이어트 음료는 체중 감량에 도움...
    Date2021.10.05 Byflexmun Views316
    Read More
  9. 시금치 대장암 예방에 효과적이다.

    우리나라의 대장암 발병률은 세계 1위다. WHO가 세계 184개국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10만 명당 45명으로 대상국가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국에서도 대장암은 남녀 모두 암 사망률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대장암에 대한 시금치의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
    Date2021.10.05 Byflexmun Views326
    Read More
  10. 안먹는 것보다 못한 음식들

    득보다 실이 큰 음식이 있다. 안 먹는 게 오히려 이로운 음식들, 미국 건강 매체 ‘프리벤션’이 정리했다. ◆ 과일 통조림 = 제철에 먹는 복숭아보다 캔에 든 복숭아가 더 달다. 설탕 때문이다. 영양학자 에이미 고린은 “과일은 그 자체로 충...
    Date2021.09.29 Byflexmun Views41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