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단식을 참고해 총 4주 중 5일 동안 열량이 낮은 식단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단식 모방 다이어트(FMD, Fast-mimicking Diet)’를 실천하면 훨씬 더 건강하게 장수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연구팀이 생쥐로 실험한 연구 결과다. 이 동물실험 결과에 따르면 FMD를 규칙적으로 실천해 지방 성분과 열량이 높은 식단의 음식을 끊으면, 더 건강한 삶을 오래 누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주 중 5일 동안의 다이어트가 기름지고 열량이 높은 식단의 음식을 먹는 평소 식생활의 나쁜 영향을 없애준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총 2년에 걸쳐 생쥐 3개 그룹의 식단, 건강 및 수명을 분석한 결과, FMD가 비만 치료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FMD는 단식하고 있는 것처럼 몸을 속이는 저열량 다이어트로 볼 수 있다.

 

연구팀은 A그룹의 생쥐들에게 열량이 높고 지방 성분이 많은 식단(열량의 60%가 지방)의 음식을 계속 먹였다. 이들 생쥐는 건강하지 못하고 과체중이 됐다.

 

연구팀은 B그룹의 생쥐들에게는 4주 가운데 3주 동안 A그룹과 똑같은 음식을   먹인 뒤, 5일 동안 FMD를 시키고, 이틀 동안 정상적인 건강식을 먹이는 패턴을 적용했다.  또 C그룹의 생쥐들에게는 정상적인 건강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했다.

 

연구팀은 B그룹의 생쥐들이 (C그룹의 생쥐와 마찬가지로) A그룹의 생쥐들보다 더 오래 살았다고 밝혔다. 생쥐들의 콜레스테롤, 혈압, 몸무게를 정상 수준으로 되돌리는 데는 FMD의 적용으로 충분했다는 것이다.

 

인간의 경우 고지방, 고칼로리 식단의 음식 섭취로 인한 비만은 대사증후군,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의 주요 위험 요소다.

 

 

 

연구의 수석 저자인 발터 롱고 USC 교수(생물학)는 “FMD는 평소의 나쁜 식생활 습관의 영향을 상쇄하기 때문에 심장의 탄력성과 기능이 향상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주기적인 FMD가 지방뺀체중(LBM, 체중에서 지방의 무게를 뺀 것)을 감소시키지 않고 내장과 피하지방의 축적을 줄여 생쥐의 비만을 예방하며, 심장 기능을 개선하고 고혈당, 고콜레스테롤을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의하면 규칙적인 FMD가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비만 예방에서 지방세포의 재프로그래밍에 대한 역할을 잘 보여준다. 특히 다이어트가 지방 축적과 심장 노화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고지방, 고칼로리 식단으로 인한 조기 사망이 예방된다고 볼 수 있다.

 

연구팀은 이런 결과를 잘못 해석해서는 안 되며, 규칙적인 단식으로 나쁜 영향이 상쇄된다는 점을 들어 평소 고칼로리, 고지방 식단의 음식을 마음 놓고 섭취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다만 잘못된 식단에 대처하는 잠재적인 이점에 대해서는 추가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매일 매일의 식단을 바꿀 의지가 없거나 바꿀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FMD가 건강 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롱고 교수는 “실험군의 쥐가 고지방, 고칼로리 식단으로 되돌아간 뒤에도 몸 안의 지방분해 개선 효과는 꽤 오랫동안 지속됐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메타볼리즘(Nature Metabolism)≫에 실렸고 미국 건강의학 매체 ‘메디컬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소개했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60755/%eb%8b%a8%ec%8b%9d%eb%aa%a8%eb%b0%a9%eb%8b%a4%ec%9d%b4%ec%96%b4%ed%8a%b8fmd-%ea%b1%b4%ea%b0%95%ec%9e%a5%ec%88%98%ec%97%90-%ed%81%b0-%eb%8f%84%ec%9b%80%ec%97%b0%ea%b5%ac/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수면동안 뇌는 운동방법을 기억에 남긴다.

    운동을 잘 하려면 열심히 연습해야 하지만, 잠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잠을 제대로 자지 않으면, 시험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기술이 필요한 운동능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 특히 주말 골퍼들이 전날 잠을 설쳤다가 라운딩을 망치는 것, ...
    Date2021.10.19 Byflexmun Views360
    Read More
  3. 단식모방다이어트(FMD), 건강장수에 큰 도움된다.

    단식을 참고해 총 4주 중 5일 동안 열량이 낮은 식단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단식 모방 다이어트(FMD, Fast-mimicking Diet)’를 실천하면 훨씬 더 건강하게 장수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연구팀이 ...
    Date2021.10.18 Byflexmun Views428
    Read More
  4. 운동후 커피한잔이 좋은 이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와중에도 탄탄한 몸매를 만들기 위해 운동을 꾸준히 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운동으로 근육을 형성하고 유지하려면 먹는 음식이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탄탄한 몸매를 갖기 위해 평소 운동을 하고 있다...
    Date2021.10.13 Byflexmun Views470
    Read More
  5. 호흡만으로 미주신경을 긍정적으로 활성화 시킬수 있다.

    미주신경은 12쌍의 뇌 신경 중 열 번째 신경이다. 심장 박동, 호흡, 소화 등 무의식적 운동을 조절하는 부교감 신경이다. 미주신경은 그밖에 정신적 긴장과 이완에 영향을 준다. 스트레스를 과해 미주신경이 자극받으면 혈압과 심박이 급격히 낮아지는 식이다...
    Date2021.10.12 Byflexmun Views1328
    Read More
  6. 손이 붓는 이유 10가지

    한번쯤 아침에 손가락이 부어있는 느낌이 든 적이 있을 것이다. 혹은 저녁에 손가락이 뻑뻑하면서 부은 느낌을 받은 적도…, 이렇게 손가락이 붓는 증상은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다. 하지만 통증 등 다른 증상을 동반한다면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
    Date2021.10.07 Byflexmun Views1173
    Read More
  7. 취침전 운동 도움이 될까?

    잠자기 전 강렬히 움직이거나 운동을 한 상태라면 잠이 잘 오기 마련이다. 하지만 저녁시간에 운동을 하는 사람이라면 취침 몇 시간 전 운동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겠다. 운동이 끝난 후 2시간 안에 잠자리에 들면 오히려 숙면에 방해가 된다는 ...
    Date2021.09.30 Byflexmun Views562
    Read More
  8. 걷기 전후 언제 먹는 것이 좋을까?

    걷기는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꼽힌다. 걷기 운동의 효과를 높이려면 적절한 영양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걷기 운동 전후에 무엇을 먹을지, 얼마나 그리고 언제 먹을지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걷는 동안 에너지와 건강...
    Date2021.09.28 Byflexmun Views486
    Read More
  9. 증상없는 폐암 발병 증후들

    폐암은 초기에 거의 증상이 없다. 암세포가 상당히 퍼지고 나서야 기침, 숨 가쁨, 가슴 통증이 나타난다. 그러나 가슴과 전혀 상관없는 곳에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미국 건강 매체 ‘웹엠디’가 폐암에 걸렸을 때 나타나는 뜻밖의 징후를 정리...
    Date2021.09.25 Byflexmun Views456
    Read More
  10. 중년의 하체 위험하다.

    중년은 몸이 요동치는 시기다. 남녀 모두 갱년기를 겪는다. 특히 여성은 폐경기를 거치면서 골다공증,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진다. 중년을 건강하게 넘겨야 노년에 건강수명(건강하게 장수)을 누릴 수 있다. 그런데 몸의 버팀목인 중년의 하체가 흔들리고 있...
    Date2021.09.23 Byflexmun Views48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