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36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다이어트를 위해 채소를 듬뿍 먹는 사람들에게 하는 이야기가 있다. “코끼리도 풀만 먹는다.” 어떤 음식을 먹든 양이 중요하다는 것에서 나온 말이다. 채소는 다이어트와 건강 식단에 빠지지 않지만, 체중 증가와 전혀 무관하지는 않다. 체중 감량이 아닌, 오히려 살이 찌게 도와주는 채소도 있기 때문.

채소와 체중 증가에 관해 다룬 연구가 있다. 미국의 하버드대 연구팀은 성인남녀 약 13만 명의 식단 자료를 토대로 채소 섭취와 체중 변화를 분석했다. 과일과 채소를 포함한 식품 131가지의 섭취량과 빈도, 운동량, 흡연여부, TV시청시간, 체중 변화 등을 24년에 걸쳐 조사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단맛이 도는 과일이 오히려 채소보다 군살을 빼는 데 더 효과적이었다. 과일 중에서 가장 체중감량에 도움 되는 것은 블루베리였다. 하루 한 줌만 먹어도 체중감량 효과는 0.7kg에 달했다. 그밖에 사과와 배, 포도, 딸기는 물론 말린 자두와 건포도도 체중감량에 유의미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이 확인한 체중 조절에 도움 되는 과일‧ 채소에는 항산화물질인 안토시아닌과 플라보놀, 플라보노이드 등이 풍부했다. 안토시아닌은 진보라색이나 검푸른 과일‧채소에 풍부하며, 플라보놀은 양파에 많이 들어있다. 채소 중에서도 체중감량에 도움 되는 것이 있다. 대표적으로 콜리플라워와 브로콜리, 미니양배추가 있었다.

◆ 꾸준히 먹으면 살찌는 채소, 이유는 전분?

반대로 군살이 붙게 하는 채소도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감자와 옥수수, 완두콩이 있었다. 모두 전분이 풍부한 채소로 다른 채소에 비해 혈당이 높아질 수 있다. 콩은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채소이지만, 완두콩은 단백질 함량은 낮고 탄수화물이 많이 들어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연구에 따르면, 4년간 옥수수를 꾸준히 먹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체중이 1.8kg 증가했다. 완두콩을 먹은 사람은 4년간 0.9kg, 감자를 먹은 사람은 0.3kg가량 체중이 증가했다.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에 게재된 경희대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임현정 교수팀의 논문에 따르면, 감자는 100g당 칼로리가 63kcal이지만, 찐감자의 GI 지수는 93.6이다. 찐옥수수의 GI 지수는 73.4, 옥수수죽의 GI 지수는 91.8이다.

GI(혈당지수)는 포도당, 흰 빵 기준(100)으로 어떤 식품이 혈당을 얼마나 빨리, 많이 올리느냐를 나타낸 수치로 55 이하면 저 GI, 70 이상은 고 GI 식품으로 분류된다. GI 지수가 높은 음식을 먹으면 혈당이 급격하게 상승해 혈중 포도당 농도를 낮추기 위해 인슐린이 분비되고 인슐린 때문에 혈당이 낮아져 허기가 지는 악순환이 이어진다. 또한 체내에서 탄수화물 식품의 포도당 전환과 흡수 속도를 높이고 각종 성인병을 유발한다. 당뇨병 위험이 커질 뿐 아니라 섭취한 열량이 지방으로 축적돼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진은 “과일과 채소도 지방 축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매일 많은 양을 섭취하면 체중이 변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체중조절을 하고 있거나 혈당을 관리하는 중이라면 전분 함량이 낮고 단맛이 적은 채소를 선택하는 것이 낫다. 전분 함량이 높은 채소에는 감자와 옥수수 이외에 도토리 등이 있다. 반면 양배추, 오이, 콩나물, 부추,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치커리, 케일, 상추, 양파, 미나리 등은 전분 함량이 낮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361608/%ec%b1%84%ec%86%8c%eb%8f%84-%ec%82%b4%ec%aa%84%ec%9a%94-%eb%a7%8e%ec%9d%b4-%eb%a8%b9%ec%9c%bc%eb%a9%b4-%ec%82%b4%ec%b0%8c%eb%8a%94-%ec%b1%84%ec%86%8c-1%ec%9c%84%eb%8a%94/

 


  1. 보쌈은 살이 안쪄?

    흔히 수육이나 보쌈 고기를 지방이 쏙 빠졌다고 말한다. 삼겹살이나 목살 등 두툼한 돼지고기를 끓는 물에 삶으면 정말 지방과 기름이 쏙 빠질까? 김장 시즌을 맞이해 마트에서는 수육용 돼지고기를 앞세워 판매하고 있다. 김장김치의 꽃이라 할 수 있는 보쌈...
    Date2021.11.24 Byflexmun Views1475
    Read More
  2. 저녁을 거지처럼 억어야 하는 이유 과학적으로 입증

    ‘점심은 왕자처럼, 저녁은 거지처럼 먹으라’는 말은 왜 나온 걸까. 이렇게 해야 살을 빼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연구 결과가 있다. 미국 밴더빌트대학교 연구팀은 생쥐의 체내 인슐린 농도 변화를 세심하게 측정했다. 인슐린은 음식속의...
    Date2021.11.19 Byflexmun Views396
    Read More
  3. MSG 먹어도 괜찮을까?

    외식을 하면 MSG(글루탐산 모노나트륨) 때문에 뾰루지가 올라오고, 소화가 잘되지 않는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대체 MSG는 무엇이기에 한 번의 식사로 몸에 증상이 나타나는 것일까? 사실 MSG는 자연 식재료에도 존재한다. 소고기, 닭고기, 생선, 사탕수수,...
    Date2021.11.17 Byflexmun Views316
    Read More
  4. 이유없는 근육통 비타민D 부족

    우리 몸은 치아와 뼈를 튼튼하게 하는 칼슘, 인과 같은 미네랄을 흡수하는 데 비타민D를 사용한다. 또한 비타민D는 근육과 신경, 면역기능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햇빛을 쬐어 얻을 수 있고 계란이나 지방이 많은 생선, 우유나 시리얼 등 강화식품 섭취를 통해...
    Date2021.11.16 Byflexmun Views364
    Read More
  5. 뇌졸증 위험 지방에 따라 다르다.

    어떤 종류의 지방을 섭취하느냐가 뇌졸중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보통 지방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뇌졸중과 기타 심장질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섭취하는 지방의 종류에 따라 그 위험이 다르다는 것이다. 미국 하...
    Date2021.11.12 Byflexmun Views312
    Read More
  6. 적당한 음주 정말 건강에 좋을까?

    술을 적당히 마시면 잠재적인 건강상 이점이 있다는 주장을 뒤집는 새로운 연구가 나왔다. 독일 그라이프스발트대 연구팀은 건강 보호를 위해 적당한 양의 술을 마신다는 생각에 반기를 든다. 마시는 양이 적든 적당하든 건강상 이유로 알코올 섭취를 권해서...
    Date2021.11.10 Byflexmun Views304
    Read More
  7. 카페인 크래시, 커피를 마셨는데 더 피곤하다.

    커피는 많은 사람들이 즐겨 마시는 기호 식품이자, 잠을 깨는데 도움이 되는 보조 수단이다. 커피에 든 카페인이 각성 효과를 일으켜 졸음을 쫓는다. 하지만 카페인에 예민한 사람은 커피가 졸음을 막는 수준을 넘어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손이 떨리는 등의 부...
    Date2021.11.02 Byflexmun Views840
    Read More
  8. 흐린날 식욕이 땡기는 과학적이유

    유독 을씨년스러운 춥고 흐린 날에는 음식 생각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게 된다. 수제비·라면· 부침개·국밥 등 자꾸만 든든한 한 끼, 특별한 야식 메뉴 생각이 나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자꾸만 먹고 싶은 이유는 바로 날씨 때문이었다...
    Date2021.11.02 Byflexmun Views538
    Read More
  9. 채소도 맘놓고 먹으면 살찔수 있다.

    다이어트를 위해 채소를 듬뿍 먹는 사람들에게 하는 이야기가 있다. “코끼리도 풀만 먹는다.” 어떤 음식을 먹든 양이 중요하다는 것에서 나온 말이다. 채소는 다이어트와 건강 식단에 빠지지 않지만, 체중 증가와 전혀 무관하지는 않다. 체중 감...
    Date2021.10.26 Byflexmun Views368
    Read More
  10. 뜻밖의 두통을 일으키는 식품

    머리가 지끈지끈 아픈 두통은 누구나 겪을 수 있다. 두통의 원인은 수백 가지일 정도로 다양하다. 뇌종양, 뇌염, 뇌수막염 같은 뇌 질환이 있을 때는 두통과 함께 구토도 나타난다. 열이 나고 의식이 혼미해지는 등 위험한 상황을 맞을 수 있다. 편두통은 뇌...
    Date2021.10.25 Byflexmun Views40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