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60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a.jpg

밤 10시에서 11시 사이에 잠자리에 드는 것이 심장 건강에 가장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엑서터대학교 데이비드 플랜스 박사팀은 수면 시작 시간과 심혈관 질환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를 최근 유럽 심장 저널(European Heart Journal) ‘디지털 헬스(Digital Health)’에 발표했다.

플랜스 박사는 “이번 연구가 잠자리에 드는 최적의 시간은 신체의 24시간 주기 사이클 중 특정 지점에 위치하며, 그 시간대에서 벗어나 잠자리에 드는 것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수면 시간보다 언제 잠드는지 취침 타이밍이 중요

연구진은 43세에서 79세 성인 8만 8천명 이상을 대상으로 움직임을 기록하는 장치인 가속도계(accelerometers)를 이용하여 7일 동안의 취침 및 기상 시간에 대한 자료를 수집했다. 또한 참가자에 대한 인구통계자료, 라이프스타일, 건강 및 신체 평가도 완료했다.

그 후 연구진은 5.7년에 걸쳐 연구 그룹을 추적 조사해 심장마비, 심부전, 만성 허혈성심질환, 뇌졸중, 일과성 허혈성 발작과 같은 심혈관 질환 진단을 받았는지 조사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연구 대상의 3%가 이후 심혈관 질환에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발병률은 밤 10시에서 10시 59분 사이에 수면이 시작되는 사람들에게서 가장 낮았다. 이에 반해 자정 또는 그 이후에 잠에 드는 사람들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잠드는 시간에 따라 심장질환 위험률 비교 결과를 요약하면,

△자정이나 그 이후 잠이 드는 사람들의 심혈관 질환 위험이 25% 더 높았으며

△밤 11시에서 11시 59분 사이에 수면이 시작되는 사람들에게서 심혈관 질환 위험이 12% 더 높았고

△밤 10시 전에 잠드는 사람에게서 심혈관 질환 위험이 24% 증가했다.

연령, 성별, 수면 지속 시간, 수면 불규칙성, 아침형 인간인지 저녁형 인간인지 여부, 흡연 여부, 체질량 지수, 당뇨, 혈압, 콜레스테롤 수치, 사회경제적 위치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했을 때에도 자정이나 그 이후 규칙적으로 잠에 드는 것은 여전히 심장 질환 위험이 가장 많이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연관성은 특히 여성에게서 더 두드러졌다. 이에 대해 플랜스 박사는 “내분비계가 생체리듬 혼란에 어떻게 반응하는지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그게 아니라면, 완경(폐경) 이후 여성의 심혈관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연구 참가자의 연령이 높은 것이 교란요인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많은 연구들이 수면 부족이 심혈관 질환의 위험 요인이라고 지적해 왔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가 다른 연구에서도 확인된다면, 수면 타이밍과 기본 수면위생(잠을 자기 위해 지켜야 할 하나의 생활습관)은 심장질환 위험을 낮추기 위한 저비용의 공중 보건 목표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364836/%eb%aa%87%ec%8b%9c%ec%97%90-%ec%9e%90%ec%95%bc%ed%95%a0%ea%b9%8c-%ec%9d%b4-%ec%8b%9c%ea%b0%84%ec%97%90-%ec%9e%90%ec%95%bc-%ec%8b%ac%ec%9e%a5%ec%97%90-%ec%a2%8b%eb%8b%a4-%ec%97%b0%ea%b5%ac/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6319
    read more
  2. 잠 한시간만 못자도 생체리듬 혼란

    코로나 시국에서 발생하는 불면증을 ‘코로나섬니아(coronasomnia)’라고 한다. 코로나로 인한 불안과 우울 등으로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현상이다. 현대인은 이미 스트레스와 늦은 밤 업무 및 취미활동 등으로 수면 패턴이 망가진 사람들이 많다. ...
    Date2021.11.22 Byflexmun Views593
    Read More
  3. 거울만 자주봐도 살이 빠진다.

    과체중 혹은 비만인 사람들은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수시로 보는 것이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거울을 보는 것이 더 건강한 활동에 참여하는데 촉발 요인이 된다는 것. 미국 텍사스여대 연구팀은 1600여명이 참여한 5건...
    Date2021.11.21 Byflexmun Views545
    Read More
  4. 일상에서 목과 허리에 위험한 자세

    올바르게 서 있는 자세는 턱은 살짝 아래로 당기고 목은 C자 형태의 커브 상태다. 가슴은 앞을 향해 열려 있으며 허리는 완만한 아치 형태다. 꼬리뼈는 살짝 둥글게 말려있어 옆에서 봤을 때 바깥 복사뼈 앞쪽, 무릎뼈 옆, 어깨뼈, 귓불이 일직선인 상태가 이...
    Date2021.11.17 Byflexmun Views641
    Read More
  5. 운동 주말에 몰아서해도 효과가 있을까?

    많은 직장인이 주중에 몰린 업무, 회식 등으로 운동을 제대로 못한다. 그렇다면 못했던 운동을 주말에 몰아서 하면 효과가 있을까? 영국 레스터대학 게리 오도노반 박사 연구팀이 궁금증을 밝히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인...
    Date2021.11.13 Byflexmun Views676
    Read More
  6. 몇시에 자는 것이 가장 좋을까?

    밤 10시에서 11시 사이에 잠자리에 드는 것이 심장 건강에 가장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엑서터대학교 데이비드 플랜스 박사팀은 수면 시작 시간과 심혈관 질환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를 최근 유럽 심장 저널(European Heart Journal) &l...
    Date2021.11.10 Byflexmun Views600
    Read More
  7. 신진대사가 떨어지는 이유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모든 화학반응을 신진대사라고 한다. 섭취한 영양분을 몸 안에서 분해, 합성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필요하지 않은 물질은 몸 밖으로 내보내는 일련의 작용으로, 물질대사라고도 불린다. 신진대사가 원활하면 섭취한 영양분을 에너지로 잘...
    Date2021.11.09 Byflexmun Views587
    Read More
  8. 수면이 부족하면 살이 찐다.

    수면 장애란 건강한 수면을 못 하거나, 충분한 자는데도 낮에 각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 수면리듬이 흐트러져 있어서 깨어 있을 때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말한다. ◆ 충분히 못 자면 체중 유지도 힘들다? 잘 자야 신체기능이 정상적으로 가동돼 배고픔을 ...
    Date2021.11.07 Byflexmun Views578
    Read More
  9. 과거에 사람들보다 현대인이 뚱뚱한 이유

    현대인들은 2세기 전 사람들보다 몸을 훨씬 덜 움직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대인이 2세기 전 선조들보다 전반적인 신체활동을 하루에 약 27분씩 덜 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힘든 운동을 하면 체온이 높아지고 신진대사...
    Date2021.11.05 Byflexmun Views591
    Read More
  10. 간헐적 단식 당뇨환자에게도 좋을까?

    간헐적 단식이 대중의 인기를 모으고 있다. 학술적 연구도 잇따른다. 올해 9월 학술지 ‘뉴트리언트’에는 간헐적 단식이 체중감량, 허리둘레 감소, 혈압 혈당 총콜레스테롤 감소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가 실렸다. 그렇다면 당뇨병을 앓는 사람들에...
    Date2021.11.02 Byflexmun Views756
    Read More
  11. 자면서도 살을 뺄수 있다.

    잠을 잘 못 자면 짜증이 날 뿐만 아니라 살이 찔 수도 있다. 연구에 의하면 8시간 미만의 수면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 수치를 증가시켜 장내 미생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신진대사를 늦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임상영양저널에 실린 연구는 하루만 ...
    Date2021.10.30 Byflexmun Views61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105 Next
/ 10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