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58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코로나 시국에서 발생하는 불면증을 ‘코로나섬니아(coronasomnia)’라고 한다. 코로나로 인한 불안과 우울 등으로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현상이다.

현대인은 이미 스트레스와 늦은 밤 업무 및 취미활동 등으로 수면 패턴이 망가진 사람들이 많다. 여기에 코시국이 더해지면서 숙면을 취하기 더욱 어려워진 것.

위드 코로나로 접어들면서 최근 다시 통근하는 사람들도 수면의 질이 급격히 떨어졌다고 호소한다. 마치 시차증이 생겼을 때처럼 피곤하고 잠이 잘 안 오고 기분이 우울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

미국 수면 전문가인 레베카 로빈스 박사에 따르면 수면시간은 한 시간만 바뀌어도 생체시계를 흐트러뜨리기에 충분하다. 뇌에 수면 스케줄을 바꾸라는 신호가 전달되면서 혼선이 발생하는 것.

이처럼 수면의 질이 떨어지면 뇌 건강, 심장 건강, 기대수명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잠은 시간 낭비가 아니다. 깨어있는 시간 못지않게 자는 시간 역시 잘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 잠을 자는 동안 고장 난 몸과 마음을 치료하고 회복할 수 있기 때문.

코로나 국면에서는 더욱 그렇다. 감기나 독감뿐 아니라 코로나19 역시 감염 예방이나 감염 시 빠른 회복을 위해서는 면역체계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관된 수면 패턴은 면역력을 잘 유지하기 위한 중요 조건이다.

실질적으로 감기 병원체인 리노바이러스 관련 연구에 의하면 잠이 부족한 사람들은 이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이 2배 이상 높았다.

신생아를 둔 부모의 수면 상태에 대한 연구도 잠의 중요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다. 신생아를 돌봐야 하는 부모는 잠을 제대로 자기 어렵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연구에 의하면 수면 시간이 부족한 산모들은 수면 시간을 늘리는 것만으로도 그들의 생물학적 나이를 3~7년 연장할 수 있다.

뇌 건강을 위해서도 숙면은 중요하다. 뇌는 깨어있는 동안 독소를 생성하는데, 이렇게 축적된 독소는 알츠하이머나 치매와 같은 신경인지능력 저하와 연관이 있다. 잠을 자는 동안에는 이러한 독소 생성이 멈추고, 누적된 독소를 제거하는 뇌액이 생성된다.

그렇다면 숙면을 취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등 잠을 방해하는 기저질환이 있다면 이를 개선하는 것이 우선이다. 특별한 질환이 없을 땐 방의 온도, 습도, 조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면과학(Nature and Science of Sleep)≫저널에 실린 논문에 의하면 실내온도는 18℃가량으로 약간 시원한 정도가 좋고, 천연섬유로 된 침구를 이용하면 수면의 질이 더욱 높아진다.

전문가들은 “잠에 투자하라”고 조언한다. 투자한 만큼 성과를 거두는 것이 수면이란 설명이다. 건강한 수면은 건강한 몸과 마음을 지키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낮잠도 건강한 수면 패턴의 일부다. 낮잠이 밤잠을 방해한다면 피하는 편이 좋지만, 오후마다 피로감으로 괴롭다면 약간의 낮잠을 자도록 한다. 낮잠은 20분 내외가 적당하며 점심 식사 후 오후 2~4시 사이에 자면 된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366783/%ec%9e%a0-1%ec%8b%9c%ea%b0%84%eb%a7%8c-%eb%8d%9c-%ec%9e%90%eb%8f%84-%ec%83%9d%ec%b2%b4%ec%8b%9c%ea%b3%84-%ed%98%bc%eb%9e%80/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6273
    read more
  2. 우울하다면 앉지말고 움직여랴

    코로나 유행이 2년가량 이어지면서 국민들의 활동량이 전반적으로 줄어든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예전이면 산책 나갔을 시간에 집에 머물며 TV를 보고, 오프라인 매장으로 쇼핑을 가는 대신 집에서 온라인 쇼핑을 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이처럼 활동량이 줄...
    Date2021.12.23 Byflexmun Views526
    Read More
  3. 복근운동하면 왜 허리가 아플까?

    여러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운동을 따라해봐도 통증 때문에 그만두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복근운동을 들 수 있다. 출렁이는 뱃살을 줄이고 탄탄하게 해준다는 복근운동을 조금만 해도 허리가 아픈 사람들이 있다. 복근운동할 때 나타나는 허리통증, 자연...
    Date2021.12.21 Byflexmun Views769
    Read More
  4. 덤벨들고 걸으면 칼로리가 더 연소될까?

    파워워킹과 달리기는 다이어트 효과가 좋은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이다. 운동 효과를 높이고자 양손에 아령을 들고 걷거나 뛰기도 한다. 아령 들고 걷거나 달리면 칼로리 소모량이 증가하고 운동 효과가 올라갈까? 운동 전문가에 따르면, 손에 중량을 든 상태...
    Date2021.12.16 Byflexmun Views792
    Read More
  5. 겨울철 야외운동간에 꼭알아야할 사항

    날씨가 추워지면 몸도 움츠러들고 운동을 하고자 하는 동기도 시들해진다. 하지만 무엇보다 건강이 중요한 이때, 추운 날씨에 운동할 때 도움이 되는 몇 가지 팁들로 건강한 겨울을 나보는 건 어떨까. 다음은 미국 메이오클리닉(Mayo Clinic)에서 소개한 당연...
    Date2021.12.15 Byflexmun Views526
    Read More
  6. 건강검진 결과 당뇨전단계 어떻게 해야하나

    건강검진에서 ‘당뇨병 전 단계’ 진단을 받으면 눈앞이 깜깜해지고 두려움이 몰려온다. 당장이라도 인슐린 주사를 맞으며 식단을 조절해야 할 것만 같다. 당뇨병 전 단계는 무엇이고,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 걸까? 당뇨는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Date2021.12.15 Byflexmun Views513
    Read More
  7. 운동간에 얼마나 칼로리 연소가 될까?

    다이어트 시 중요한 건 섭취하는 칼로리보다 소비하는 칼로리를 늘리는 것이다. 나는 하루에 얼만큼의 칼로리를 소모하고 있을까. 미국 건강정보 포털 웹엠디(WebMD)에서 소개한 평소 활동 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통해 알아본다. ◆자동차 연료와도 같은 우리 ...
    Date2021.12.08 Byflexmun Views540
    Read More
  8. 나이들어도 병이있어도 운동이 좋다.

    나이를 떠나 육체적으로 활동적인 사람은 더 오래 산다. 규칙적인 운동은 질병 위험을 낮추고 간병 가능성을 줄인다. 내가 병이 들면 가족도 고생한다. 운동을 싫어하는 사람도 병으로 입원하면 병원 복도라도 걸어야 한다. 의사가 권하기 때문이다. 나이 들...
    Date2021.12.05 Byflexmun Views472
    Read More
  9. 잘못된 응급처지 의학상식

    갑자기 코피가 터지거나 화상을 입었을 때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올바른 응급조치를 하려면 해야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이 있다. 코피 염좌 화상 등이 발생했을 때 잘못된 응급조치로 증상을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미국 건강 ...
    Date2021.12.03 Byflexmun Views499
    Read More
  10. 내몸에 만성염증이 있다는 신호

    염증은 생체 조직이 손상을 입었을 때 체내에서 일어나는 방어적 반응이다.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으로 나뉘는데, 이 중 만성염증은 오랫동안 뚜렷한 증상이 없다가 상태가 악화되면 나타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고혈압, 심혈관질환, 알츠하이머병 등 여러 ...
    Date2021.12.01 Byflexmun Views533
    Read More
  11. 여성 근육을 만드는 효과적인 방법

    규칙적으로 근력 운동을 하는데 눈에 보이는 결과는 거의 없다. 그래서 답답함을 느끼는 여성들이 있다. ‘여자는 근육 만들기가 힘들다’는 고정관념때문에 아예 근육 증강을 포기하는 사례도 있다. 여성들은 어떻게 해야 보기 좋은 근육을 만들 ...
    Date2021.11.27 Byflexmun Views80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104 Next
/ 104
위로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