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50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운동을 하면 종아리가 두꺼워지진 않을까, 허벅지가 굵어지는 건 아닐까 걱정하는 여성들이 있다. 그런데 여성은 남성처럼 벌크업하기 어렵다. 그렇다면 잔근육은 어떨까? 여성은 잔근육을 만드는 일 역시 어려울까?

근육을 만드는데 지름길은 없다. 남성이든 여성이든 잔근육을 만들려면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해서 근육을 좀 더 빠르게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 또한 아니다. 전략적인 운동과 영양 섭취를 통해 여성도 보다 빠르게 선명한 근육을 만들 수 있다.

정확한 동작, 하지만 도전적인 강도의 운동

미국스포츠의학회(ACSM) 공인 트레이너이자 영양사인 짐 화이트는 미국생활지 ‘팝슈가’를 통해 초보자들도 운동을 시작한 첫 두 달 안에 1~2kg의 근육을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주일에 3회 전신 근력운동을 해야 한다. 매번 근력운동을 할 때마다 근육의 최대 성장을 촉진하는 운동을 각 8~12회 정도 시행하면 된다. 근육 성장을 촉진하는 운동은 플랭크, 스쿼트, 케틀벨 스윙, 바벨 데드리프트 등의 기본적인 동작이면 된다.

이러한 기본 동작을 통해 운동 효과를 보려면 운동 강도가 중요하다. 덤벨, 바벨, 케틀벨 등의 무게는 8~12회를 정확한 자세로 시행할 수 있는 수준의 무게여야 하지만 손쉽게 할 수 있는 무게여서도 안 된다. 동작을 수행할 수는 있지만 다소 힘겹고 도전적인 수준이어야 한다.

단백질, 한꺼번에 몰아 먹지 말아야…휴식까지가 운동의 완성 

그렇다면 식단은 어떻게 해야 할까? 근육을 만들기 위해서는 운동 만큼 적절한 영양소 섭취가 중요하다. 누구나 예상할 수 있듯 우선은 단백질을 잘 섭취해야 한다. 매일 체중 1kg당 1.2~2g 정도의 단백질을 먹으면 된다.

단백질은 한 끼에 한꺼번에 섭취하는 것보다 매 끼니 나눠 먹는 것이 좋다. 가령 체중이 70kg이라면 하루에 84~140g의 단백질을 섭취해야 하는데 이를 세끼로 나누면 끼니마다 28~47g의 단백질을 섭취하는 꼴이 된다. 이처럼 단백질을 조금씩 나눠 먹는 것이 손상된 근육을 회복하고 성장을 촉진시키는데 보다 유리하다.

단백질 섭취 시에는 류신 함량이 높은 단백질을 먹는 것이 좋다. 류신은 단백질 합성을 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아미노산이다. 유제품, 육류, 달걀은 물론 콩류, 견과류 등에도 들어있으니 채식주의자들도 적절한 식단을 통해 이를 보충할 수 있다.

탄수화물 섭취도 중요하다. 다이어트를 할 때 탄수화물 섭취를 극단적으로 제한하는 여성들이 있는데, 근육을 만들고 싶다면 운동의 연료가 되는 탄수화물을 먹어야 한다. 연료가 소진된 자동차는 달리지 못하는 것처럼 우리 몸도 연료가 부족하면 운동 효율이 떨어져 근육을 만들기 위한 적절한 강도의 운동을 채울 수 없다.

또한, 탄수화물이 부족하면 우리 몸은 운동으로 소모된 에너지를 단백질에서 얻으려 하기 때문에 단백질을 근육을 만드는데 적절히 활용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평소 식사를 할 때는 탄수화물 50%, 단백질 30%, 지방 20% 정도의 비율을 유지하도록 한다.

다이어트를 위해 칼로리 섭취를 극단적으로 제한하는 여성들도 있는데 근육을 만들려면 적정량의 칼로리 섭취가 반드시 필요하다. 굶는 다이어트를 통해 살을 뺄 수는 있지만 탄력 있고 이상적인 몸매를 만들기는 어렵다. 또, 골밀도, 면역력, 정서 상태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는 점에서도 영양분을 적절히 공급해야 한다.

근육 만들기는 운동, 식단, 휴식이 조화롭게 어우러져야 한다. 운동을 하고 나면 잘 먹고 잘 자고 잘 쉬는 것까지 완성해야 한다. 이틀에 한 번씩 주 3회 근력운동을 한다면 나머지 날에는 유산소운동을 하거나 근육 회복과 재건에 도움이 되는 휴식이 필요하다. 휴식일에는 근력운동은 피하되, 하루 종일 앉아있거나 누워있지 말고 활동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수면도 근육 회복에 큰 도움이 되는 시간인 만큼, 가급적 7시간의 적정 수면 시간을 유지하도록 한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373649/%ec%9e%94%ea%b7%bc%ec%9c%a1%ec%9d%b4%eb%9d%bc%eb%a9%b4-%ec%97%ac%ec%84%b1%eb%8f%84-%eb%b9%a8%eb%a6%ac-%eb%a7%8c%eb%93%a4-%ec%88%98-%ec%9e%88%ec%9d%84%ea%b9%8c/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코어를 강화하는 3가지 방법

    코어 근육은 몸 깊숙한 곳에 있는 근육이다. 등, 옆구리, 엉덩이, 허벅지 등에서 척추를 지탱하거나 뼈마디를 잇고, 몸통을 움직일 때 중심을 잡아준다. 코어 근육이 튼튼해야 건강하게 오래 산다. 약해지면 하중을 뼈와 관절로 버티게 되어 온몸이 쑤신다. ...
    Date2022.01.05 Byflexmun Views407
    Read More
  3. 운동 규칙적으로 못해도 한번에 하면 효과가 있을까?

    꾸준히 운동하기가 힘든 시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추운 날씨 등등…. 이럴 때 시간이 나는 주말에 몰아서 운동을 하면 어떨까. 이와 관련해 주말에 한차례만 유산소운동을 해도 매일 운동하는 것과 마...
    Date2022.01.01 Byflexmun Views460
    Read More
  4. 여성도 잔근육은 쉽게 만들수 있나?

    ]운동을 하면 종아리가 두꺼워지진 않을까, 허벅지가 굵어지는 건 아닐까 걱정하는 여성들이 있다. 그런데 여성은 남성처럼 벌크업하기 어렵다. 그렇다면 잔근육은 어떨까? 여성은 잔근육을 만드는 일 역시 어려울까? 근육을 만드는데 지름길은 없다. 남성이...
    Date2022.01.01 Byflexmun Views509
    Read More
  5. 짧은시간 고강도운동이 간에 좋다.

    어떤 형태이든 매일 운동하면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 호주 웨스턴시드니대 연구팀은 일정 시간 중간 강도의 훈련을 하는 것이 간 건강 증진을 돕지만 더 짧고 더 강도 높은 운동(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을 해도 비슷한 수준의...
    Date2021.12.30 Byflexmun Views428
    Read More
  6. 장수를 위해서는 감량보다 체력증진에 힘쓰자

    건강과 장수에 관한 첫 번째 숫자는 체중이다. 대부분의 성인은 의사로부터 건강이상이 있다는 말을 듣게 되면 제일 먼저 체중계에 올라서는 일부터 시작한다. 혈압이나 심박수 같은 활력수치는 그 다음이다. 체중감량의 건강상 이점은 증명됐다. 특히 성인의...
    Date2021.12.29 Byflexmun Views443
    Read More
  7. 우울하다면 앉지말고 움직여랴

    코로나 유행이 2년가량 이어지면서 국민들의 활동량이 전반적으로 줄어든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예전이면 산책 나갔을 시간에 집에 머물며 TV를 보고, 오프라인 매장으로 쇼핑을 가는 대신 집에서 온라인 쇼핑을 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이처럼 활동량이 줄...
    Date2021.12.23 Byflexmun Views484
    Read More
  8. 복근운동하면 왜 허리가 아플까?

    여러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운동을 따라해봐도 통증 때문에 그만두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복근운동을 들 수 있다. 출렁이는 뱃살을 줄이고 탄탄하게 해준다는 복근운동을 조금만 해도 허리가 아픈 사람들이 있다. 복근운동할 때 나타나는 허리통증, 자연...
    Date2021.12.21 Byflexmun Views719
    Read More
  9. 덤벨들고 걸으면 칼로리가 더 연소될까?

    파워워킹과 달리기는 다이어트 효과가 좋은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이다. 운동 효과를 높이고자 양손에 아령을 들고 걷거나 뛰기도 한다. 아령 들고 걷거나 달리면 칼로리 소모량이 증가하고 운동 효과가 올라갈까? 운동 전문가에 따르면, 손에 중량을 든 상태...
    Date2021.12.16 Byflexmun Views740
    Read More
  10. 겨울철 야외운동간에 꼭알아야할 사항

    날씨가 추워지면 몸도 움츠러들고 운동을 하고자 하는 동기도 시들해진다. 하지만 무엇보다 건강이 중요한 이때, 추운 날씨에 운동할 때 도움이 되는 몇 가지 팁들로 건강한 겨울을 나보는 건 어떨까. 다음은 미국 메이오클리닉(Mayo Clinic)에서 소개한 당연...
    Date2021.12.15 Byflexmun Views480
    Read More
  11. 건강검진 결과 당뇨전단계 어떻게 해야하나

    건강검진에서 ‘당뇨병 전 단계’ 진단을 받으면 눈앞이 깜깜해지고 두려움이 몰려온다. 당장이라도 인슐린 주사를 맞으며 식단을 조절해야 할 것만 같다. 당뇨병 전 단계는 무엇이고,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 걸까? 당뇨는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Date2021.12.15 Byflexmun Views47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