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29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건강식 트렌드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클린 이팅(clean eating)은 지난 10년 간 빠르게 인기를 얻고 있다. 클린 이팅의 기본은 영양소가 풍부한 자연 식품을 섭취하고 가공되거나 정제된 식품은 피하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건강한 생활습관과 체중 관리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이렇게 좋은 의도에서 등장했더라도 이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아직 없다. 이 때문에 개념 자체에 대해 해석의 여지가 생기고, 어떤 사람들은 너무 극단적인 방법으로 식단을 제한하는 등 부작용도 생긴다.

영국 건강정보사이트 메디컬뉴스투데이(Medical News Today)에서 클린 이팅이란 무엇인지, 잠재적인 이점과 위험은 무엇인지 소개했다.

말그대로 가공성분 및 첨가제 없는 깨끗한 식단

클린 이팅이란 자연스럽고 건강에 좋은 음식을 선택하는 것이다. 첨가제와 보존제, 정제 및 가공 성분이 없는 음식을 섭취하는 방식이다.

깨끗한 식단에 집중하는 것은 나트륨, 설탕이 든 음료, 지나치게 가공된 음식 섭취를 줄이기 때문에 건강에 유익하다. 통곡물, 과일, 채소, 견과류, 건강한 단백질로 가득 찬 영양가 높은 식습관을 지키는 클린 이팅 방식은 신체에 적절하게 영양분을 공급하고 전반적인 건강과 체중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설탕이 든 음료, 나트륨, 가공 식품을 너무 많이 섭취하는 등의 식습관은 만성 질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영국 의학저널 BMJ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초가공식품 10%를 더 섭취하면 관상동맥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위험이 최소 1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린이팅의 이면, 영양 결핍 등 이어질 수 있어

연구에 따르면 클린 이팅은 과도한 음식 제한으로 이어져 영양 결핍, 사회적 관계 상실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정신적 고통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클린 이팅에서 어떤 식단을 권하는지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확실한 근거 없이 어떤 음식은 ‘나쁜’ 음식으로 어떤 음식은 ‘좋은’ 음식으로 규정지어 버리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는 특정한 식사 방식을 고수해야 한다는 압박을 주고 건강한 식습관에 대한 과도한 집착을 초래할 수 있다.

미국 섭식장애협회(National Eating Disorders Association)에 따르면, 다이어트와 유사하게 클린 이팅은 오소렉시아 너보사(orthorexia nervosa) 위험을 증가시킨다. 오소렉시아 너보사란 건강한 음식 섭취에 병적으로 집착하는 증상을 말하는 것으로 첨가물, 비유기농 식품, 가공 식품 등 건강에 좋지 않다고 여기는 음식을 엄격하게 절제한다.

모든 식품군의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한 특별히 걱정할 이유는 없다. 어떤 식습관을 따르는지에 관계없이 건강하고 균형잡힌 식단을 지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클린 이팅, 어떻게 먹어야 할까

깨끗한 식단을 지켜야 한다는 생각에 너무 집착하지 않으면서 건강한 식사를 하려면 어느 정도 균형을 잡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오늘날 시중에 판매되는 대부분의 식품은 어느 정도 가공을 거친 제품이다. 가공식품이라고 해서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며 절대로 먹지 말아야 하는 것도 아니다.

필요한 영양소를 채우기 위해 미국 식생활 가이드라인에서 권장하는 음식들을 보면 △모든 유형과 색깔의 채소 △과일, 특히 통과일 △곡물, 최소 반은 통곡물 △유제품 △살코기, 가금류, 달걀, 해산물, 견실류, 콩제품, 콩, 등 단백질 식품 △식물성 기름 및 견과 등 식품에 들어있는 기름 등이 있다. 첨가당, 포화지방, 나트륨, 알코올 음료는 제한할 것을 권한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375698/1375698/

 


  1. 전세계 트랜드 '클린이팅' 이란?

    건강식 트렌드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클린 이팅(clean eating)은 지난 10년 간 빠르게 인기를 얻고 있다. 클린 이팅의 기본은 영양소가 풍부한 자연 식품을 섭취하고 가공되거나 정제된 식품은 피하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건강한 생활습관과 체중 관...
    Date2022.01.12 Byflexmun Views298
    Read More
  2. 수면부족 학생 비만이 될 가능성이 높다.

    잠을 잘 못 자는 학생은 정크푸드와 설탕 식품 섭취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미국 브리검영대가 신시내티아동병원(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에서 실시한 새로운 연구에서는 십 대 아이들의 수면 부족이 나쁜 식습관으로...
    Date2022.01.11 Byflexmun Views301
    Read More
  3. 영양제 언제 어떻게 먹는 것이 좋을까?

    영양소를 섭취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건강한 음식으로 균형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 영양제라도 자연 식품에 들어있는 모든 영양소를 캡슐 하나에 담았다고 할 순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특정 비타민이나 미네랄이 부족해 영양 보충제 복용을 고...
    Date2022.01.10 Byflexmun Views394
    Read More
  4. 불면증에 좋은 음식들

    수면장애 환자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수면장애는 여러 가지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학습장애, 능률저하, 교통사고, 안전사고, 정서장애, 사회 적응장애, 결혼생활의 불만족, 그리고 산업재해 등의 원인이 된다. 또한 수면장애를 적절...
    Date2022.01.08 Byflexmun Views350
    Read More
  5. 붉은고기 혈전 동맥경화에 영향을 미치는데 원인은?

    붉은 고기(적색육)가 심장 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것은 장내 박테리아의 일종인 ‘ET’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노스플로리다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붉은 고기를 먹으면 많이 생기는 장 내 ‘ET’(Emergencia Timonensis, 에...
    Date2022.01.06 Byflexmun Views318
    Read More
  6. 숙취해소제 거의 효과 없음

    많은 숙취해소제가 숙취를 말끔히 해소하거나 예방해 준다고 요란하게 광고되고 있다. 하지만 숱한 숙취해소제의 효과를 확신할 만한 뚜렷한 과학적 증거는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대학인 킹스 칼리지 런던, 사우스런던·모즐리 국가보건서비...
    Date2022.01.03 Byflexmun Views358
    Read More
  7. 간에 안좋은 것들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 역할도 막중하다. 간은 섭취한 음식물을 몸의 각 기관에 필요한 형태로 변화시킨다. 쓰고 남은 영양분을 축적하는 곳도 간이다. 간은 또한 단백질을 합성하고, 비타민 대사에 관여한다. 해로운 물질을 해독하고, 유해한 세균...
    Date2021.12.28 Byflexmun Views308
    Read More
  8. 술이 완전히 해독되는데 얼마나 걸릴까?

    정확히 말하면, 사람마다 다르다. 주량이 그런 것처럼 술이 깨는 데, 즉 술을 대사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사람에 따라 다르다는 뜻이다. 알코올은 다른 음식처럼 위로 들어간다. 거기서 소장으로 이동한 다음, 혈류를 타고 간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90% 이상...
    Date2021.12.27 Byflexmun Views458
    Read More
  9. 운동하면 술이 땡긴다.

    운동을 많이 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술을 더 많이 마실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쿠퍼 연구소, 이스라엘 하이파대 등 연구진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술을 마시는 미국의 성인 남녀 4만여 명을 대상으로 음주와 운동 간의 관계...
    Date2021.12.25 Byflexmun Views322
    Read More
  10. 술먹고 얼굴 빨개지면 대사증후군 위험

    술을 마시면 얼굴이 빨개지는 '알코올 홍조반응'을 보이는 여성은 대사증후군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충남대병원 가정의학과 김종섭 교수팀은 65세 이상 여성 1,344명을 대상으로 음주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을 분석해 대한가정의학회지에...
    Date2021.12.22 Byflexmun Views35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