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42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술을 ‘적당하게’ 마시면 건강에 좋다는 주장이 있었다. 하지만 요즘에는 이런 주장이 점차 힘을 잃고 있다.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하루 술 1~2잔도 해롭다는 연구결과들을 계속 발표하기 때문이다. 사실 술은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IARC)가 발표한 1군(group1) 발암물질이다. 미세먼지, 담배와 같은 1군이다. 애초부터 ‘적당한 주량’은 납득하기 어려운 얘기였는지도 모른다.

◆ 건강한 사람은 술을 ‘절제’ 한다… ‘적정 주량’ 연구의 함정

적당한 음주는 심혈관계 질환 발생을 줄여준다는 논문들이 있었다. 그런데 여기에는 함정이 있다. 평소 과음을 하지 않는 사람들은 자신의 몸을 챙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절제력을 바탕으로 식탐을 조절하고 운동도 열심히 한다. 이런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했기 때문에 적당한 음주가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소량 음주 자체가 실제로 건강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자들이 의문을 갖고 있었다.

◆ 음주량 자체만 보니… 소량 음주도 심장병 위험 1.7배

국제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는 미국의사협회지(JAMA)에 최근 의미 있는 논문이 발표됐다. 연구 참여 대상자의 건강한 생활습관 효과를 차단하기 위해 음주량 자체와 질병 발생만을 분석했다. 그 결과 소량의 음주라도 심장병 관련 관상동맥 질환이 1.7배 늘어났다. ‘적당한 술’이  심혈관계에도 해로운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고혈압 발생 위험은 1.3배였다. 과음을 하면 심장병, 고혈압 위험이 엄청나게 증가했다. 이 연구도 일주일에 8잔 이내의 적당한 술을 마신 사람들은 이전 연구처럼 심혈관계 질환 발생이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도 낮았다.

◆ 암 예방에는 적정 음주량 없다… 술 1잔도 암 위험 높인다

세계 각국의 암 관련 기구는 술 1잔도 암 위험을 높인다는 입장이다. ‘유럽 암 예방 수칙’에는 암에 관한 한 ‘안전한 양’(no safe limit)은 없다고 게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보건복지부  ‘국민 암 예방 수칙’에도 암 예방을 위해서 하루 1~2잔의 술도 마시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다. 하루 1~2잔의 음주로도 구강암, 식도암, 간암, 유방암, 대장암 발생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 ‘적정 음주량’ 정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적정 음주’의 기준을 정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사람마다 알코올 분해 속도가 다르다. 술 1잔에도 얼굴이 벌겋게 되는 사람에게 술을 권하는 것은 위험한 행동이다. 국가, 인종에 따라 술을 받아들이는 신체·건강 상태, 술 종류가 천차만별이다. 이제 적당한 양의 술이 건강에 좋다는 주장은 점차 설득력을 잃고 있다. 술은 WHO가 규정한 ‘발암물질’이라는 사실을 떠올리자. 같은 1군 발암물질인 담배, 흡연에 적정 수준이 없듯이, 음주도 ‘적정한’ 양은 없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390672/%ec%a0%81%eb%8b%b9%ed%95%9c-%ec%9d%8c%ec%a3%bc-%ec%82%ac%eb%9d%bc%ec%a7%84%eb%8b%a4-%ec%88%a0-1%ec%9e%94%eb%8f%84-%ed%95%b4%eb%a1%ad%eb%8b%a4/


  1. 공덕역 헬스 걷기 전후 바나나와 참외가 좋다.

    걷기 등 운동하기 좋은 계절이다. 한낮이면 햇볕이 강해 자외선 차단제나 모자 등을 꼭 준비해야 한다. 기온이 많이 올라 빠르게 걷기라도 하면 몸에 땀이 난다. 이럴 때 물을 마시는 것은 기본. 또 어떤 음식이 몸에 좋을까? 야외 운동 전후에 좋은 바나나와...
    Date2022.04.13 Byflexmun Views380
    Read More
  2. 공덕헬스 한잔도 해롭다 1군 발암물질

    술을 ‘적당하게’ 마시면 건강에 좋다는 주장이 있었다. 하지만 요즘에는 이런 주장이 점차 힘을 잃고 있다.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하루 술 1~2잔도 해롭다는 연구결과들을 계속 발표하기 때문이다. 사실 술은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IAR...
    Date2022.04.09 Byflexmun Views427
    Read More
  3. 공덕동헬스 커피가 간에 미치는 영향

    몸이 찌뿌듯한 아침, 커피를 마시면 기운이 난다. 커피는 당뇨를 막고 심장병 위험을 낮춘다. 커피는 또 간에 좋다. 알코올과 반대로 간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 단 커피가 주는 이득을 고스란히 챙기려면 설탕과 크림은 빼고 마셔야 한다. 커피는 간에 ...
    Date2022.04.04 Byflexmun Views529
    Read More
  4. 비타민 C가 많은 식품들

    일교차가 심한 환절기에는 면역 기능이 떨어지기 쉽다. 비타민C 섭취에 공을 들일 계절이다. 비타민C를 먹는다고 감기나 코로나에 아예 걸리지 않는 건 아니다. 그러나 앓는 기간을 줄이고 증상의 강도를 낮출 수는 있다. 비타민C가 풍부한 식품, 어떤 게 있...
    Date2022.03.31 Byflexmun Views416
    Read More
  5. 근육을 만드는데 좋은 식품들

    근육은 근력운동만으로는 만들어지지 않는다. 운동과 함께 적절한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근육을 만들고 힘을 얻으려면 매 끼니 30g 가량 단백질을 식품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 또한 운동을 하면 근육에 미세한 상처가 생기는데 이런 상처가 회복되는 과정에...
    Date2022.03.28 Byflexmun Views335
    Read More
  6. 고기 좋아하는 젊은 여성 맹장염 위험

    우리 몸 속의 쓸모없는 충수(맹장 끝에 붙어있는 막창자꼬리)에도 암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기를 좋아하는 20~30대 여성 등 비교적 젊은 사람들이 충수암에 잘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충수암(맹장암)이 충수염처럼 보일 수 있으므로, 젊은 여성 등 5...
    Date2022.03.23 Byflexmun Views345
    Read More
  7. 숙취가 오래가는 이유들

    술이 센 사람도, 술을 즐기는 사람도, 피해 갈 수 없는 게 있다. 바로 숙취다. 술 마신 다음날 아침이면 머리가 아프고 속이 메슥거린다. 밥맛이 없는 건 물론, 일어나 앉을 기운도 없다. 다행인 건 숙취는 시간이 가면 저절로 사라진다는 것. 연구에 따르면,...
    Date2022.03.22 Byflexmun Views458
    Read More
  8. 수분 부족은 노화뿐만 아니라 두통을 유발 할 수도 있다.

    우리 몸은 70% 이상이 물로 구성되어 있다. 물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으면 피로나 허기를 느끼기 쉽다. 미국 코네티컷대의 연구에 따르면, 탈수 증상은 수분이 정상적인 수준에서 1.5%만 모자라도 나타난다. 두통도 그중 하나다. 수분 부족으로 인한 두통은 다...
    Date2022.03.15 Byflexmun Views237
    Read More
  9. 내장지방을 줄이는데 좋은 음식

    뱃살처럼 겉으로 드러나진 않아도 몸속 깊숙한 곳에 낀 지방이 있다. 바로 ‘내장 지방’이다. 복부 주위의 주요 장기들 사이에 지방이 잔뜩 쌓여 있는 것이다. 내장 지방이 많이 축적되면 혈압이 오르고 심장병(협심증·심근경색), 뇌졸중(...
    Date2022.03.10 Byflexmun Views332
    Read More
  10. 술마신 다음날 어지럼증 숙취가 아닐수 있다.

    과음을 하거나 유독 컨디션이 좋지 않은 날 술을 마시면 어지러움을 느낀다. 뇌에 충분한 혈류가 공급되어야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한데, 혈류가 급속히 저하되거나 뇌에 이상 현상이 생기면 머리가 핑 도는 느낌이 드는 것. 그런데 술 마신 다음날에도 어지러...
    Date2022.03.07 Byflexmun Views184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