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가 당뇨의 원인?
미국 하버드대 공중보건대학원 연구팀은 1988~2017년 수행된 3가지 코호트 연구에서 건강한 사람들을 분석했다. 참여자들은 24~78세로 연령대가 다양했고, 남성이 11.6%와 14.2%를 차지했다. 4.5kg 이상 감량을 가져온 방법은 저칼로리 식단, 운동, 저칼로리 식단+운동, 단식, 상업적 체중감량 프로그램, 다이어트 알약, 단식과 다이어트 알약의 조합(FCP) 등 7개 그룹으로 나뉜다.
운동은 비만인 사람에게서 장기적인 체중 조절과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4년 후까지 가장 적은 체중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운동을 통해 비만인들은 평균 4.2%, 과체중인 사람들은 2.5%, 마른 사람은 0.4% 체중이 줄었다. FCP의 경우 결과는 달라졌다. 비만인 사람들은 0.3%의 체중감소, 과체중인 사람들은 2%의 체중증가, 마른 사람들은 3.7%의 체중증가율을 보였다.
24년 후, 비만인 사람들은 어떤 종류의 체중 감량방법을 사용하든 상관없이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감소했다. 운동으로 체중감량을 한 경우 당뇨병 위험은 21% 감소, 다이어트 알약을 사용한 경우 13% 감소했다. 과체중인 사람의 경우, 제2형 당뇨병 위험은 운동으로 9% 감소한 반면, 알약을 복용한 경우 42%의 위험이 증가했다.
마른 사람의 경우 어떤 방법이 됐든 체중 감소는 제2형 당뇨병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운동의 경우 9%, 알약과 FCP를 사용한 경우 54% 위험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체중 감량이 과체중과 비만인 사람들에게 유익할 수 있으나 마른사람에게는 동일한 이점이 없는 만큼 체중 감량 전략은 의학적으로 필요한 사람들만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 연구팀의 결론이다.
http://ptgym.co.kr/index.php?mid=workout&document_srl=32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