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힘들더라도 강도 높은 운동을 하는 것이 뇌를 보호해주는 분자를 방출시켜 뇌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뇌 가소성(Brain Plasticity)》에 발표된 미국 미시건대 연구진의 논문을 토대로 건강의학 포털 ‘웹엠디(WebMD)가 20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이다.

운동이 알츠하이머와 치매를 지연시키거나 예방하고 뇌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는 많이 나왔다. 새로운 연구는 운동의 강도를 좀 더 밀어붙이는 것이 이러한 혜택을 강화해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운동량만큼 운동의 강도가 중요함을 보여주는 새로운 증거다. 지난달에는 운동 강도를 높이는 것이 심장병의 위험을 낮추고 더 오래 살게 해준다는 영국 연구진의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가 있다.

운동이 뇌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는 아직 완전히 해명되지 않았다. 일부 전문가는 운동이 단백질분해효소의 하나인 카텝신B(CTSB)와 뇌 유도성 신경영양인자(BDNF) 같은 뇌 보호 분자 방출을 돕는다고 믿고 있다. 이번 논문의 제1저자인 미시건대 이간생물에너지연구소의 코리 마조 박사과정 연구원은 “두 분자는 잠재적으로 인지 건강을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집중적인 운동은 CTSB와 BDNF의 순환 수준을 높이는 데 가장 효과적이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16명의 건강한 젊은이들에게 VO2(1분당 산소소비량) 최대치 대비 40%, 65%, 80%, 100%의 강도로 러닝 머신 위를 뛰게 했다. VO2 100%는 산소소비량을 최대치로 쓰는 바람에 숨이 가빠서 운동을 지속할 수 없는 수준을 말한다.

VO2 대비 80%와 100%로 뛰었을 때는 운동 후 30분 뒤 채취한 혈액 샘플에서 CTSB 수치가 각각 20%,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0%와 65%로 뛰었을 때는 CTSB 수치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 격렬한 운동 후에 BDNF가 완만히 증가하는 것이 관찰됐다.

연구진은 고강도(80%) 운동 전후에 근육 조직검사를 실시한 결과 CTSB와 BDNF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BDNF를 만드는 단계를 설정하는 BDNF 유전자 발현의 증가도 발견됐다. 이는 근육 수축(움직일 때 근육이 길어지고 짧아지는 것)이 뇌를 증진시키는 이점을 유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운동과 뇌의 이점을 연결하는 종전 연구에 기반을 둔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성인은 앉아있는 성인에 비해 인지력 저하 위험이 거의 4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연구 리뷰에서 가장 적게 운동한 사람은 가장 많이 운동한 사람보다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가능성이 두 배 이상 높았다.

이번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알츠하이머병 혁명’의 저자인 조셉 키온은 “뇌를 지탱하는 영양 다음으로 규칙적인 격렬한 운동만큼 뇌의 부피, 기억력, 그리고 일반적인 인지기능을 보존하는데 중요한 것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운동은 말 그대로 뇌의 크기, 구조, 기능을 변화시킨다”라고 강조했다.

이 연구는 격렬한 운동이 이미 뇌 기능 저하를 겪고 있는 노인에게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밝혀내지 못했다. 또 표본의 크기가 작다. 따라서 인지력 저하를 막기 위해서 얼마나 오랫동안 그리고 얼마나 자주 강도 높은 운동을 해야할 것인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마조 연구원은 덧붙였다.

해당 논문은 다음 링크(https://content.iospress.com/articles/brain-plasticity/bpl220137)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552177/%eb%87%8c-%ea%b1%b4%ea%b0%95-%ec%a7%80%ed%82%a4%eb%a0%a4%eb%a9%b4-%ec%9d%b4%eb%a0%87%ea%b2%8c-%ec%9a%b4%eb%8f%99%ed%95%b4%ec%95%bc-%ec%97%b0%ea%b5%ac/


  1.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2. 공덕동헬스 운동후 아몬드가 회복을 돕는다.

  3. 아현동헬스 몸에 만성염증이 있다는 신호들

  4. 대흥동피티 2023년 건강 지침

  5. 공덕헬스 피티 틈새 운동의 중요성

  6. 염리동 헬스 현대 질병 가장 큰 원인 좌식생활이다.

  7. 대흥동 헬스 정신건강을 지키는 방법 7가지

  8. 공덕역 피티 만병의 근원 염증을 줄이는 방법

  9. 공덕동피티 하루 만보가 걷기가 당뇨 위험을 낮춘다.

  10. 공덕피티 밤에 쉽게 잠들려면 낮에 햇볕을 쬐라

  11. 공덕역 헬스 고강도 운동이 뇌건강을 지킨다.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02 Next
/ 10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