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10228_180201082_copy_576x432.jpg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2


- 관절에서 멀리 위치한 근육은 가동성을 담당한다. (힘쓰기 담당)

표층 근육들은 힘을 쓸 때 사용하는 근육이라 에너지 사용이 많고, 지구력이 부족하여 안정성을 담당하는 심부근육보다 지근섬유가 적다.

ex:) 표층근육인 측면삼각근은 시작점이 관절축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팔을 들어올리는 것이 쉬워 견갑골과 팔뼈의 위치를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담당하는데, 극상근은 관절 가까이에 붙어있어 힘을 잘 쓰지 못한다. 극상근이 손상된 상태에서 팔을 들어올리려하면 극상근과 가까이 위치한 표층근육인 측면삼각근이 대신 일을 하게 된다.  측면삼각근은 지근 섬유가 부족해 쉽게 지치고 아파서 결국 내부에 있는 뼈끼리 부딪혀 손상이 더 심해지게 된다. 


- 몸은 하나의 연결고리. 서로 관계가 있어 보상적인 움직임이 존재한다.

ex:) 스쿼트시 발생하는 무릎굽힘과 골반굽힘에서, 골반굽힘 억제근 > 대둔근, 무릎굽힘 억제근 > 대퇴사두 중, 대둔근의 기능이 약화되어 골반 움직임이 억제가 되지 않으면 대퇴사두의 운동참여율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 때 무릎이 약하면 무릎에 통증 발생. 운동시 뇌 신경을 통해 신호를 전달해 움직임을 적절히 조절해야 하는데 근육 동원율이 떨어지면 다른 근육을 쓰게 된다. 


- 교정 운동의 핵심은 동원순서에 맞춘 이상적인 움직임이다. 데드리프트의 힙힌지 형태로 둔근 사용률을 높이는 훈련을 통해 무릎으로 가는 부하를 골반으로 이동시켜야 좋은 움직임을 학습하게 하여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 공덕역헬스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2 flexmun 2023.01.03 2024.06.27 334
443 공덕동헬스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1 flexmun 2022.12.19 2024.06.26 412
442 공덕헬스 근막경선 해부학 기본개념 flexmun 2022.12.04 2022.12.04 304
441 염리동헬스 견갑골 상방회전 교정운동 file flexmun 2021.02.28 2023.04.20 863
440 마포헬스 하강된 어깨교정운동 file flexmun 2021.02.28 2021.02.28 705
439 아현동헬스 어깨 테이핑 file flexmun 2021.02.28 2021.02.28 429
438 애오개헬스 후면삼각근과 중부승모라인 file flexmun 2021.02.28 2023.04.18 683
437 공덕동헬스 어깨 관절 견갑거근 극상근 file flexmun 2021.02.28 2023.04.17 780
436 염리동헬스 견갑 운동과 관련된 근육들 file flexmun 2021.02.28 2023.04.14 686
435 마포헬스 흉추후만을 위한 교정운동 file flexmun 2021.02.28 2023.04.13 786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