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조회 수 59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4.JPG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형태


굴곡 신전

내전 외전

수평모음 수평벌림 

외회전 내회전

휘돌림


움직임이 한가지 면에서만 발생 : 자유도1

움직임이 2가지 면에서 발생 : 자유도2

움직임이 3가지 면에서 모두 발생 : 자유도3


- 구상관절: 골반, 어깨. 자유도3. 모든 움직임이 다 가능하다.

가동성이 잘 나오지 않으면 기타 관절들이 스트레스를 받는다.

ex:)고관절 가동성이 나오지 않으면 무릎, 허리가 스트레스를 받는다. 


- 평면관절: 

(1) 중족골 부분의 뼈와 뼈 사이 맞닿은 부분. 자유도1. 약간의 미끄러짐이 기능의 전부이다. 자유도가 3이면 서 있거나 보행이 불가하다. 그래서 이 뼈들은 엄청 땡땡하게 연결되어 있고 발 쪽에 인대가 214개가 있다. 신체 중 발이 인대가 가장 많은 부위에 해당된다. 걸을때 (중간입각기) 발에 체중이 실려 눌렀을 때 인대들이 조금씩 늘어나 탄성에너지를 저장하고, 뒷꿈치를 떼고 발가락으로 바닥을 밀 때 다시 돌려준다. 스프링 같은 역할을 해 준다.


(2) 척추 (요추+흉추부분) 

목 쪽의 뼈 사이 간격은 좁고, 허리쪽으로 갈수록 넓어진다. 디스크가 사이 간격의 길이를 늘려준다. 디스크는 척추 전체 길이의 25%를 차지한다. 척추와 척추뼈 사이(추체사이)는 평면관절로 구성되어있는데 그 사이에 존재하는 디스크 덕에 움직일 수 있다. 척추가 고르게 굽혀지고 펴지지 못하면 특정 부위의 디스크만 과사용되어 해당 관절의 스트레스가 증가한다. 


- 타원관절과 안장관절은 구상관절과 달리 회전빼고 다 된다.

타원관절(손목): 회전의 움직임은 팔꿈치 관절(차축관절)에서 일어난다. 즉 손목관절에서의 움직임이 아니다.

안장관절(엄지)



- 차축관절(1.팔꿈치-요골, 상완골(완요관절) 2.목(경추1+2번)): 오로지 회전만 가능하다.

경추 전체 회전 가동범위가 80도인데, 경추1,2번에서 40도가 나온다. 경추는 흉추 요추보다 짧지만, 굴곡을 제외한 가동범위가 가장 잘 나온다. 위협을 경계하기 위해 두리번거려야해서 경추 1,2번의 회전이 발달된 것이다.



- 경첩관절(상완골+척골): 오로지 굽혔다, 폈다 굴곡 신전만 가능하다. 안정성의 담당. 



  1. 염리동헬스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형태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형태 굴곡 신전 내전 외전 수평모음 수평벌림 외회전 내회전 휘돌림 움직임이 한가지 면에서만 발생 : 자유도1 움직임이 2가지 면에서 발생 : 자유도2 움직임이 3가지 면에서 모두 발생 : 자유도3 - 구상관절: 골반, 어깨. 자유도3. 모...
    Date2023.03.24 Byflexmun Views590
    Read More
  2. 대흥동헬스 움직임에 대한 면과 축

    인간의 움직임을 정의하는 3가지 면과 축 관상면 (전후) 시상면 (측면) 수평면 (위아래) - 시상면(Y)에 존재하는 근육이 가장 많다. (좌우축) ex:) 앞 뒤로 움직임. - 관상면(X)의 근육은 시상면에 존재하는 근육들의 앞 뒤 움직임을 안정시켜주기 위해 존재...
    Date2023.03.03 Byflexmun Views591
    Read More
  3. 공덕피티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특성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특성 - 인간의 몸 전체에서 제일 힘센 근육은 골반이다. - 인간의 눈은 앞쪽에 붙어 있기 때문에 앞을 향해 가게 되고(병진竝進운동), 앞으로 가야 하기에 인간의 가장 힘세고 두꺼운 근육은 모두 앞 뒤로 배치되어 시상면에 존재한다....
    Date2023.02.19 Byflexmun Views624
    Read More
  4. 공덕역헬스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2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2 - 관절에서 멀리 위치한 근육은 가동성을 담당한다. (힘쓰기 담당) 표층 근육들은 힘을 쓸 때 사용하는 근육이라 에너지 사용이 많고, 지구력이 부족하여 안정성을 담당하는 심부근육보다 지근섬유가 적다. ex:) 표층근...
    Date2023.01.03 Byflexmun Views565
    Read More
  5. 공덕동헬스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1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1 - 근육의 기능은 관절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연결되는 관절의 개수가 2개를 넘어가는 2관절의 근육들은 기능의 변화도 그만큼 더 많아진다. ex:) 대요근 1. 달리기 달리기 자세는 다리가 뒤로 넘어가면서 고관절 구조...
    Date2022.12.19 Byflexmun Views651
    Read More
  6. 공덕헬스 근막경선 해부학 기본개념

    (1) 근막경선해부학 기본개념 1. -근육: ATP 에너지를 사용하여 근수축을 하면 장력(拉力) 발생. -인대&힘줄&근막 : ATP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근육이 잡아당겨서 길어질 때(근수축시) 자동으로 장력이 발생한다. ex:) 팔 근육이 수축시 단단해지...
    Date2022.12.04 Byflexmun Views501
    Read More
  7. 염리동헬스 견갑골 상방회전 교정운동

    견갑골 상방회전 교정운동 견갑이 하강되는 경우는 흉추 후만이 평편한 경우가 많아 전거근과 상부승모 후섬유 운동을 한다. 뒤쪽에서 상방회전을 방해하는 근육은 대원근, 소원근, 광배근상부섬유, 능형근하부섬유등이 있다. 엎드려서 복횡근 수축하고 견갑...
    Date2021.02.28 Byflexmun Views1091
    Read More
  8. 마포헬스 하강된 어깨교정운동

    하강된 어깨 교정운동 견갑이 하강되는 경우는 흉추 후만이 평편한 경우가 많아 전거근과 상부승모 후섬유 운동을 한다. 앉은 자세에서 뒤에서 봤을때 견봉이 낮은 어깨를 확인한다. 낮은 어깨로 인해 흉추 굴곡이 있는지 먼저 확인하고 흉추 굴곡이 있다면 ...
    Date2021.02.28 Byflexmun Views914
    Read More
  9. 아현동헬스 어깨 테이핑

    무릎테이핑과 비슷하다 어느쪽이 아프든 통증감소에 도움이된다. 견봉앞뒤 모서리 표시하고 팔을 앞으로 한후 25센티 테이프를 견봉 뒤 모서리에 대고 삼각근 정지부와 팔꿈치 외측상과 일직선상에 부착하고 25프로 장력으로 견봉 뒤 모서리를 덮으면 테이핑 ...
    Date2021.02.28 Byflexmun Views642
    Read More
  10. 애오개헬스 후면삼각근과 중부승모라인

    후면삼각근과 중부승모라인 대흉근 중부승모 전거근 능형근이 견갑운동의 길항관계이다. 대원근과 하부승모 방향 소흉근과 상완이두단두 소흉근이 타이트하면 상완이두가 기지부가 늘어나고 정지부가 타이트해진다. 암벽간에는 광배보다 하부승모를 잘쓰는 것...
    Date2021.02.28 Byflexmun Views92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