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10124_135739559_copy_576x432_1.jpg

20180602_223936.jpg

20180602_223939.jpg

 

햄스트링>반막양근

내측 햄스트링. 넓적한 막의 형태. 아치가 무너지면 내측 가자미근이 긴장되면서 내측 비복근을 더 잡아 당기게 되는데, 이 때 내측 햄스트링도 과긴장하게 된다. 반막양근은 무릎쪽과 가깝게 발달되어 무릎을 굽힐때 많이 쓰게 된다.

 

운동 역학의 기준: 1. 관절과 가까운 근육이 더 많이 쓰이게 된다. 2. 움직이는 방향과 일치하는 근육을 더 많이 쓰게 된다. 3. 힘센 근육이 더 많이 일을 하게 된다 (횡단면적이 넓은)

 

 

보행시 다리를 움직이는 방향은 수직상황에서 앞뒤로 움직이는 것이고, 내측 햄스트링은 외측 햄스트링보다 더 수직방향으로 주행하고 횡단면이 상대적으로 더 넓고 두껍기 때문에 보행시에 내측 햄스트링이 더 많이 쓰이게 된다.

 

고관절이 내회전 되었을때 내측 햄스트링과 내측 비복근은 동원율이 더 높아진다. 외측 대퇴이두는 앞쪽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내측 햄스트링은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고관절이 내회전 되면 움직이는 방향이 내측 햄스트링과 맞아 떨어져 내측 햄스트링을 더 쓰게 되는데, 무릎과 가까이 붙어있어서 무릎을 자꾸 더 돌리게 되 무릎에 압박을 주게 된다. 그래서 고관절 내회전 된 상태에서 계속 걷게 되면 통증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햄스트링>반건양근

반건양근은 골반쪽과 가깝게 붙어있다. 힘줄이 길다. 반막양근에 비해 작아보이지만 잘라보면 생각보다 두꺼워 반막양근보다 힘이 더 세다.

 

장시간 앉아있게 되면 골반과 무릎은 굽어진 자세로 있게 되는데, 이 때 골반쪽 햄스트링(반건양근)은 늘어나고 무릎쪽 햄스트링(반막양근)은 타이트해져 근육 길이가 불일치하게 되어 안정성이 떨어지고 반건양근의 반사적 근수축도 떨어진다. 이 때 앉은 상태에서 무릎을 펴는 스트레칭을 실시할 경우 무릎의 감각신경 민감도가 높아져 골반보다 무릎쪽이 당기는 경우가 훨씬 많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위해선 위아래 햄스트링의 균형이 맞아야 한다.

 

 

 


  1. 공덕헬스 표면후방선 햄스트링 (대퇴이두 장두 단두/ 반막양근 반건양근) 1

    햄스트링>반막양근 내측 햄스트링. 넓적한 막의 형태. 아치가 무너지면 내측 가자미근이 긴장되면서 내측 비복근을 더 잡아 당기게 되는데, 이 때 내측 햄스트링도 과긴장하게 된다. 반막양근은 무릎쪽과 가깝게 발달되어 무릎을 굽힐때 많이 쓰게 된다. 운동...
    Date2023.05.21 Byflexmun Views349
    Read More
  2. 아현동헬스 표면후방선 아킬레스건

    아킬레스건 아킬레스건이 폭발적인 힘을 쓸 때 끊어지는 이유: 점프 점프 하고 뛰어나가게 되면, 플라이오메트릭 원리가 적용되어 근육의 신장성 수축과 단축성 수축 그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는데, 이 때 강하게 척수반사가 일어나게 되어 근육에 반사적 ...
    Date2023.05.21 Byflexmun Views258
    Read More
  3. 용강동헬스 표면후방선 비복근

    비복근(무릎 관절 굽힘 안정) 보폭이 넓은 걷기나 달리기를 할 때 더 많이 사용되는 근육이다. 즉, 발목 관절의 배측굴곡과 저측굴곡이 더 증가 되었을 때 비복근의 동원율이 더 증가된다. 비복근은 저측굴곡과 슬관절 굴곡을 함께할 수 있는 2관절 근육이다....
    Date2023.04.28 Byflexmun Views297
    Read More
  4. 도화동피티 표병후방선 가자미근

    가자미근 (발목관절 안정성) 발목관절에 가깝게 붙어 안정성을 담당한다. 평상시에 서 있는 상태에서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잡아주는 근육이다. 가자미근의 기능은 발목관절의 저측굴곡에 개입한다. 가자미근은 비복근을 덮는 표층 근육이다. 발목 가...
    Date2023.04.28 Byflexmun Views345
    Read More
  5. 대흥동피티 표면후방선 족저근막

    족저근막 아치는 충격 흡수를 하여 상위 관절을 보호한다. (발목,무릎,골반) 아치는 종방향과 횡방향이 있다. 종방향 아치를 유지하게 해주는 핵심은 족저근막이다. 족저근막 기능이 떨어져 족저근막의 길이가 원래보다 늘어나게 되면 주상골뼈가 아래로 하강...
    Date2023.04.14 Byflexmun Views270
    Read More
  6. 공덕피티 안정성관절과 가동성 관절에 대해서

    (5) 안정성과 가동성 관절 가동성관절의 가동성이 나오지 않으면 안정성관절의 안정이 떨어진다. 가동성 확보를 한 다음에 안정성 운동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안정성 관절들이 피해를 본다. 우리 몸은 중력을 받아내야 하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의 근육...
    Date2023.03.31 Byflexmun Views251
    Read More
  7. 염리동헬스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형태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형태 굴곡 신전 내전 외전 수평모음 수평벌림 외회전 내회전 휘돌림 움직임이 한가지 면에서만 발생 : 자유도1 움직임이 2가지 면에서 발생 : 자유도2 움직임이 3가지 면에서 모두 발생 : 자유도3 - 구상관절: 골반, 어깨. 자유도3. 모...
    Date2023.03.24 Byflexmun Views357
    Read More
  8. 대흥동헬스 움직임에 대한 면과 축

    인간의 움직임을 정의하는 3가지 면과 축 관상면 (전후) 시상면 (측면) 수평면 (위아래) - 시상면(Y)에 존재하는 근육이 가장 많다. (좌우축) ex:) 앞 뒤로 움직임. - 관상면(X)의 근육은 시상면에 존재하는 근육들의 앞 뒤 움직임을 안정시켜주기 위해 존재...
    Date2023.03.03 Byflexmun Views377
    Read More
  9. 공덕피티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특성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특성 - 인간의 몸 전체에서 제일 힘센 근육은 골반이다. - 인간의 눈은 앞쪽에 붙어 있기 때문에 앞을 향해 가게 되고(병진竝進운동), 앞으로 가야 하기에 인간의 가장 힘세고 두꺼운 근육은 모두 앞 뒤로 배치되어 시상면에 존재한다....
    Date2023.02.19 Byflexmun Views373
    Read More
  10. 공덕역헬스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2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2 - 관절에서 멀리 위치한 근육은 가동성을 담당한다. (힘쓰기 담당) 표층 근육들은 힘을 쓸 때 사용하는 근육이라 에너지 사용이 많고, 지구력이 부족하여 안정성을 담당하는 심부근육보다 지근섬유가 적다. ex:) 표층근...
    Date2023.01.03 Byflexmun Views33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