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80602_223936.jpg

20210124_135739559_copy_576x432_1.jpg

햄스트링>대퇴이두 장두

대퇴이두의 장두는 정지부(무릎)쪽으로 갈수록 힘줄이 발달된다. 힘줄은 에너지를 절약하며 쓸 수 있지만 해당 관절의 디테일한 조절은 어렵다. 그래서 미세한 조절을 담당하는 것은 대퇴이두의 단두이다. 

대퇴이두의 장두는 사선방향으로 주행하여 앞뒤로 움직이는 단순한 동작보다 고관절을 많이 굴곡 많이 신전하는 달리기를 할 때, 고관절 신전후에 무릎을 굽혀서 다시 가지고 오는 것이 메인 역할이다.

고관절은 타원형의 움직임이 발생한다. 앞뒤쪽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타원형의 움직임으로 움직일때 근육이 덜 쓰이는데 인간은 에너지를 적게 쓰는 쪽으로 진화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관절의 움직임은 약간의 회전을 포함해서 움직인다.

고관절을 신전하면 약간의 외전과 외회전이 같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대퇴이두의 장두가 뒤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대퇴이두가 고관절을 많이 신전하게 되면서 고관절 신전근으로 많이 쓰게 된다. 

달리기를 많이 하지 않아 대퇴이두의 쓰임새가 적어지면 내측 햄스트링이 더 활성화 되고 외측은 더 안쓰게 되면서 내외측의 불균형이 생긴다. 내외측 균형을 맞추려면 고관절을 외회전 시킨 상태에서 무릎을 굴곡하는 형태의 운동이 필요하다. 

 

햄스트링> 대퇴이두 단두

대퇴이두의 단두는 무릎쪽 가까이에 근육이 잘 발달되어있다. 정지부쪽을 보강해서 무릎관절의 외측의 안정성을 만들어준다. 대퇴이두 장두와 마찬가지로 고관절의 외회전시 활성화되고, 1관절 근육이라 고관절 신전과는 관련이 없고 무릎을 굽히는 것에 더 많이 개입한다. 무릎 쪽 가까이일수록 장두보다 단두가 횡단면이 더 두껍다.

 

  1. 염리동헬스 표면후방선 햄스트링 (대퇴이두 장두 단두/ 반막양근 반건양근) 2

    햄스트링>대퇴이두 장두 대퇴이두의 장두는 정지부(무릎)쪽으로 갈수록 힘줄이 발달된다. 힘줄은 에너지를 절약하며 쓸 수 있지만 해당 관절의 디테일한 조절은 어렵다. 그래서 미세한 조절을 담당하는 것은 대퇴이두의 단두이다. 대퇴이두의 장두는 사선방향...
    Date2023.05.29 Byflexmun Views307
    Read More
  2. 공덕헬스 표면후방선 햄스트링 (대퇴이두 장두 단두/ 반막양근 반건양근) 1

    햄스트링>반막양근 내측 햄스트링. 넓적한 막의 형태. 아치가 무너지면 내측 가자미근이 긴장되면서 내측 비복근을 더 잡아 당기게 되는데, 이 때 내측 햄스트링도 과긴장하게 된다. 반막양근은 무릎쪽과 가깝게 발달되어 무릎을 굽힐때 많이 쓰게 된다. 운동...
    Date2023.05.21 Byflexmun Views356
    Read More
  3. 아현동헬스 표면후방선 아킬레스건

    아킬레스건 아킬레스건이 폭발적인 힘을 쓸 때 끊어지는 이유: 점프 점프 하고 뛰어나가게 되면, 플라이오메트릭 원리가 적용되어 근육의 신장성 수축과 단축성 수축 그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는데, 이 때 강하게 척수반사가 일어나게 되어 근육에 반사적 ...
    Date2023.05.21 Byflexmun Views258
    Read More
  4. 용강동헬스 표면후방선 비복근

    비복근(무릎 관절 굽힘 안정) 보폭이 넓은 걷기나 달리기를 할 때 더 많이 사용되는 근육이다. 즉, 발목 관절의 배측굴곡과 저측굴곡이 더 증가 되었을 때 비복근의 동원율이 더 증가된다. 비복근은 저측굴곡과 슬관절 굴곡을 함께할 수 있는 2관절 근육이다....
    Date2023.04.28 Byflexmun Views300
    Read More
  5. 도화동피티 표병후방선 가자미근

    가자미근 (발목관절 안정성) 발목관절에 가깝게 붙어 안정성을 담당한다. 평상시에 서 있는 상태에서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잡아주는 근육이다. 가자미근의 기능은 발목관절의 저측굴곡에 개입한다. 가자미근은 비복근을 덮는 표층 근육이다. 발목 가...
    Date2023.04.28 Byflexmun Views346
    Read More
  6. 대흥동피티 표면후방선 족저근막

    족저근막 아치는 충격 흡수를 하여 상위 관절을 보호한다. (발목,무릎,골반) 아치는 종방향과 횡방향이 있다. 종방향 아치를 유지하게 해주는 핵심은 족저근막이다. 족저근막 기능이 떨어져 족저근막의 길이가 원래보다 늘어나게 되면 주상골뼈가 아래로 하강...
    Date2023.04.14 Byflexmun Views276
    Read More
  7. 공덕피티 안정성관절과 가동성 관절에 대해서

    (5) 안정성과 가동성 관절 가동성관절의 가동성이 나오지 않으면 안정성관절의 안정이 떨어진다. 가동성 확보를 한 다음에 안정성 운동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안정성 관절들이 피해를 본다. 우리 몸은 중력을 받아내야 하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의 근육...
    Date2023.03.31 Byflexmun Views253
    Read More
  8. 염리동헬스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형태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형태 굴곡 신전 내전 외전 수평모음 수평벌림 외회전 내회전 휘돌림 움직임이 한가지 면에서만 발생 : 자유도1 움직임이 2가지 면에서 발생 : 자유도2 움직임이 3가지 면에서 모두 발생 : 자유도3 - 구상관절: 골반, 어깨. 자유도3. 모...
    Date2023.03.24 Byflexmun Views358
    Read More
  9. 대흥동헬스 움직임에 대한 면과 축

    인간의 움직임을 정의하는 3가지 면과 축 관상면 (전후) 시상면 (측면) 수평면 (위아래) - 시상면(Y)에 존재하는 근육이 가장 많다. (좌우축) ex:) 앞 뒤로 움직임. - 관상면(X)의 근육은 시상면에 존재하는 근육들의 앞 뒤 움직임을 안정시켜주기 위해 존재...
    Date2023.03.03 Byflexmun Views381
    Read More
  10. 공덕피티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특성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특성 - 인간의 몸 전체에서 제일 힘센 근육은 골반이다. - 인간의 눈은 앞쪽에 붙어 있기 때문에 앞을 향해 가게 되고(병진竝進운동), 앞으로 가야 하기에 인간의 가장 힘세고 두꺼운 근육은 모두 앞 뒤로 배치되어 시상면에 존재한다....
    Date2023.02.19 Byflexmun Views37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