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조회 수 36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90127_094550-512x288.jpg

20190127_093956-512x288.jpg

 

극근(표층근육)

척추기립근 표층근육인 극근이다. 흉추를 신전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위치에 있다. 흉추에서 가장 발달되어있지만, 극돌기에 붙어있어 척추를 펼 때 가장 유리한 조건에 있다. 등이 평평하면 극근이 짧고 뻣뻣해져 회전이 안 된다. 회선근과 비슷하다. 흉추 회전 가동범위가 떨어져 정상적 조절이 불가능해 굴곡이 안 된다. 엎드려서 극돌기 주변을 만져보면 뻣뻣할텐데 이걸 다 풀어야 정상 기능이 가능하다. 탱탱볼로 주변을 문지르면 잘 풀린다. 정상적 흉추 굴곡이 가능해져야 회전이나 외측굴곡 가동범위 확보가 가능하다.

 

최장근(표층근육)

길고 두껍고 아주 튼튼한 근육이다. 등을 굽혔을 때 위쪽으로 가장 튀어나와서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척추기립근이다. 흉추 영역에서 가장 발달되어 있고, 흉추를 굽혔다 폈다 했을때 가장 많이 발달하는 근육이다. 좌우 불균형이 생길때 가장 큰 크기 변화가 생긴다. 몸통이 회전된 상태에서 힙힌지 동작을 했을때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한 쪽만 발달했을 가능성이 크다. 

 

장늑근(표층근육)

장골에서 늑근까지 붙어 있다. 척추기립근 중에 두께가 가장 두껍고, 요추의 영역에서 잘 발달되어 있다. 장늑근은 허리쪽에서 가장 잘 발달되어있고, 최장근은 등쪽에서 발달되고, 극근은 흉추와 목쪽에서 발달되어 있다. 목쪽으로는 극근들이 많이 발달되어있다. 목을 세워야 하기 때문이다. 목은 유동적으로 굽혔다 펴야하기 때문에 힘줄이 아닌 근육이 발달되었다. 장늑근은 골반 관절의 굴곡 신전을 할 때 많이 발달된다. 유일하게 요추영역에서 가장 발달된 근육이고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회전에 많이 개입한다. 외측굴곡과 회전에 개입한다. 혹자는 장늑근이 요추의 측만에 많은 영향을 준다고 연구하였다. 코어가 불안정할 때 보상적인 수축을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464 용강동헬스 심부전방선 - 장지굴근 장무지굴근 file flexmun 2023.10.09 2023.10.09 608
463 도화동헬스 심부전방선 - 후경골근 file flexmun 2023.10.09 2023.10.09 279
462 마포헬스 표면전방선 - 전경골근 file flexmun 2023.09.10 2023.10.09 330
461 대흥동헬스 표면전방선과 심부전방선의 관계 file flexmun 2023.08.27 2023.08.27 325
460 염리동헬스 자가근막이완 file flexmun 2023.08.27 2023.08.27 268
459 공덕헬스 에너지라인 페인라인 타우트밴드 file flexmun 2023.08.27 2023.08.27 291
458 아현동헬스 근막에 대해서 file flexmun 2023.06.21 2023.06.21 329
» 용강동헬스 표면후방선 극근 최장근 장늑근 flexmun 2023.06.21 2023.06.21 368
456 도화동헬스 심부안정근 회선근 후두하근 flexmun 2023.05.29 2023.05.29 238
455 대흥동헬스 표면후방선 척추기립근 / 심부안정근 다열근 flexmun 2023.05.29 2023.05.29 30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