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조회 수 47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표면전방선 - 장무지신근

1.JPG

 

전경골근 앞쪽으로 부착되어 있다. 발목 앞쪽 아래에서 바깥쪽으로 통증이 발생하면 장무지신근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 전경골근보다 배측굴곡에 먼저 개입된다. 장무지굴근이 기능을 상실하여 장무지신근이 과수축하게 되면, 엄지발가락이 접혀있을수 있다. 저측굴곡 스트레칭시 엄지발가락을 끌어내렸을때 찢어지는 통증이 생긴다면 주변 힘줄과 피부가 유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표면전방선 - 장지신근

2.JPG

 

근육을 사용하여 발가락을 들어올릴 때 발가락을 끝까지 들어올리는 역할을 담당한다. 전경골근보다 근육이 바깥쪽에 위치해 외번했을 때 근육의 길이가 더 짧아지게 된다.

 

* 표면전방선의 전경골근 장무지신근 장지신근은 아치를 만들기 위한 교정 운동 진행 전에 반드시 먼저 풀어줘야하는 근육들이다.

 

* 더 빠르게 고관절을 굴곡해서 더 빨리 달리기 위한 스프린팅 훈련 중 배측굴곡근(전경골근 장무지신근 장지신근) 훈련을 하는 이유는 해당 근육이 먼저 수축하면 고관절 근육인 대퇴직근과 장요근을 매우 빨리 수축하는게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1. 공덕헬스 표면전방선 장무지신근 장지신근

    표면전방선 - 장무지신근 전경골근 앞쪽으로 부착되어 있다. 발목 앞쪽 아래에서 바깥쪽으로 통증이 발생하면 장무지신근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 전경골근보다 배측굴곡에 먼저 개입된다. 장무지굴근이 기능을 상실하여 장무지신근이 과수축하게 되면, 엄지발...
    Date2023.11.05 Byflexmun Views471
    Read More
  2. 아현동 헬스 발목 안정성 탐구

    발목안정근 탐구1 발목안정근을 담당하는 후경골근 장지굴근 장무지굴근 삼총사는 카프레이즈를 사용할 때 사용되는 근육이다. 비복근과 가자미근이 동원되기 전에 삼총사 근육들은 무의식적인 수축상태로 자동 수축하여야 하는데, 아치가 무너져 원래의 길이...
    Date2023.11.05 Byflexmun Views418
    Read More
  3. 용강동헬스 심부전방선 - 장지굴근 장무지굴근

    심부전방선 - 장지굴근 후경골근 다음으로 많은 뼈에 부착된다. 네 개의 뼈에 부착된다. 장무지굴근 훈련만 하면 체중이 몸 안쪽으로 실리고 장무지굴근 힘줄에 염증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소지를 굴곡 시키는 운동을 먼저 해야 한다. 장지굴근 운동을 통해 ...
    Date2023.10.09 Byflexmun Views787
    Read More
  4. 도화동헬스 심부전방선 - 후경골근

    심부전방선 - 후경골근 전경골근과 대표적 길항관계. 후경골근은 심부전방선의 시작점이다. 후경골근은 반우상근(半羽狀筋)이다. 우상근의 반쪽인 새 깃털모양으로 생긴 근육의 모습이다. 우상근은 생긴 거와 다르게 힘이 세서 후경골근도 힘이 세다. 발 아치...
    Date2023.10.09 Byflexmun Views458
    Read More
  5. 마포헬스 표면전방선 - 전경골근

    표면전방선 - 전경골근 전경골근은 정강뼈의 앞쪽에 있고 종아리의 가장 겉에 있다. 배측굴곡 근육(장지신근 장무지신근 전경골근)중에 가장 넓이가 넓고 두껍다. 강력한 배측굴곡근으로 발목 앞쪽의 횡인대를 거쳐서 힘을 쓰기 때문에 대퇴사두근보다 힘이 ...
    Date2023.09.10 Byflexmun Views591
    Read More
  6. 대흥동헬스 표면전방선과 심부전방선의 관계

    표면전방선과 심부전방선의 관계 표면전방선: 발 > 무릎> 골반 > 척추의 앞 쪽 전체를 연결. 몸의 앞쪽에서 뒤로 젖혀지지 않게 잡아준다. 심부전방선: 모든 코어 머슬의 연결. 모든 관절의 안정성을 담당한다. 심부전방선의 기능이 떨어지면, 표면전방선이 ...
    Date2023.08.27 Byflexmun Views511
    Read More
  7. 염리동헬스 자가근막이완

    자가근막이완 근막이 뻣뻣해져 가동범위가 잘 안 나온다면, 근육에 있는 근방추의 민감도가 높아져서 근육을 정상적인 수축과 이완이 되지 않는다. 근방추의 민감도를 떨어트려야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다. 부상이나 비정상적인 생활습관으로 장기간 관절을 ...
    Date2023.08.27 Byflexmun Views437
    Read More
  8. 공덕헬스 에너지라인 페인라인 타우트밴드

    근막의 힘을 공유하는 ‘에너지라인’ 근막경선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황에선 서로 장력을 원활하게 주고 받아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통증을 공유하는 ‘페인라인’ 바르지 못한 정렬에 의한 움직임의 수축은 근막의 연...
    Date2023.08.27 Byflexmun Views467
    Read More
  9. 아현동헬스 근막에 대해서

    근막 근막은 바깥근육막과 지방사이에 존재하고, 표층 근막과 심층 근막으로 나뉜다. 신장성 수축과 단축성 수축을 반복하면서 튼튼해지는데, 신장성 수축만 반복하면 길어진 상태에서 뻣뻣해져 근막의 연결이 엉성해지고 손상이 잘되어 근육의 정상적인 수축...
    Date2023.06.21 Byflexmun Views512
    Read More
  10. 용강동헬스 표면후방선 극근 최장근 장늑근

    극근(표층근육) 척추기립근 표층근육인 극근이다. 흉추를 신전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위치에 있다. 흉추에서 가장 발달되어있지만, 극돌기에 붙어있어 척추를 펼 때 가장 유리한 조건에 있다. 등이 평평하면 극근이 짧고 뻣뻣해져 회전이 안 된다. 회선근과 비...
    Date2023.06.21 Byflexmun Views52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