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나이든 사람은 약 때문에 빙판길에 넘어지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진통제, 수면제 등 각종 약을 먹는 데 신경을 써야 한다. 몸이 예전 같지 않아 이상한 약물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소화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젊었을 때처럼 약물을 빨리 흡수하지 못할 수 있다. 예컨대 근육통을 누그러뜨리는 근육이완제는 겨울철 빙판길에 낙상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부작용으로 심한 어지럼증을 느껴 넘어질 수 있다.

나이가 들어 간이 나빠지면 약이 혈류에 쌓이거나 약효가 기대한 만큼 속히 나타나지 않는다. 콩팥(신장)에 문제가 생기면 약이 노폐물로 잘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중년 이상은 TV 등 광고만 믿고 자기 멋대로 약국에서 약을 사서 먹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 담당 의사의 처방에 충실히 따르고, 전문 약사의 도움을 받는 게 좋다. 미국 건강포털 ‘웹엠디(WebMD)’가 ‘나이 들면서 특히 조심해야  할 약 10가지’를 소개했다.

근육이완제

몸이 쑤시고 아플 때 진통제를 무턱대고 사먹으면 안 된다. 근육통은 특정 부위의 근육을 지나치게 많이 써서 생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근육통을 일으키는 병은 한 두가지가 아니다. 독감, 감기와 폐렴, 인후염, 전립샘염, 뇌염, 장티푸스, 말라리아 등 감염성 질환에 걸리면 근육통이 나타날 확률이 높다. 만성피로, 섬유근육통, 근막통증, 저칼륨혈증, 말초신경병증 등도 근육통의 원인이다. 다발성경화증, 근염, 루프스 등 자가면역병, 부신기능부전 등 대사성 질환과 편두통약, 고지혈증약 등 약물도 부작용으로 근육에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온몸이 쑤시고 아픈 통증이 지속되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정밀 진단을 받아야 한다. 어지럼증과 혼란한 느낌을 주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근육이완제에는 플렉세릴(상표명이고, 성분명은 시클로벤자프린), 로박신(성분명은 메토카바몰), 소마(성분명은 카리소프로돌) 등이 포함된다.

약국에서 살 수 있는 진통제

의사의 처방이 없어도 약국에서 살 수 있는 일반약이 많다. 그런 진통제에는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나프록센 등이 있다. 이들 약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제에 속한다. 이들 약은 평소 복용 중인 다른 처방약의 효능을 방해할 수 있다. 당뇨약, 혈압약, 이뇨제, 혈액희석제 등을 복용 중인 나이든 사람이 약국에서 진통제를 사서 먹으면 기존 약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진통제는 콩팥, 간, 심장 등 주요 장기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담당 의사나 전문 약사의 도움이 필요하다.

종합감기약 등 복합제

한 가지 약에 여러 가지 활성 성분이 들어 있을 수 있다. 나이든 사람은 일반 의약품의 라벨을 주의 깊게 살피는 게 좋다. 활성 성분이 두 가지 이상 들어 있다면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하는 게 바람직하다. 일부 감기약, 부비동약에는 충혈 완화제가 항히스타민제와 함께 들어 있다. 종합감기약 같은 명칭이 붙어 있으면 활성 성분이 두 가지 이상 들어 있다는 뜻이다. 복합제를 복용하면 갑자기 혼란스럽고 졸음이 쏟아질 수 있다. 혈압이 높아지고 대소변에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수면제

잠을 잘 자게 도와주는 수면보조제 가운데 일부 약물은 아침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잠에서 깼을 때 졸음이 쏟아지고 몸의 갈피를 잡지 못하고 비틀거릴 수 있다. 사고력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특정 수면제의 주요 성분인 디펜히드라민 탓이다. 구강 건조, 시야 흐림, 방광 문제도 일으킬 수 있다.

속쓰림약

속쓰림, 소화불량, 궤양이 있으면 의사의 처방없이 약국에서 타가메트(상표명이고, 성분명은 시메티딘)를 사먹을 수 있다. 나이든 사람이 이 약을 먹으면 정량 복용 때에도 혼동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변비약

나이든 사람 중 상당수가 변비를 누그러뜨리는 약을 복용한다. 하지만 둘코락스(상표명이고, 성분명은 비사코딜) 같은 변비약(완화제)을 오랜 기간에 걸쳐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것은 썩 좋지 않다.  변비약은 지남에 따라 장에 영구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신경안정제

신경안정제(항불안제)로는 벤조디아제핀 등을 꼽을 수 있다. 일부 신경안정제는 다른 약물보다 몸안에 훨씬 더 오래 남아 있는다. 부작용으로 정신을 어지럽게 할 수 있다. 겨울철 낙상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당뇨병약

당뇨병치료제 중 일부는 부작용으로 저혈당을 일으킬 수 있다. 다이아비네(성분명은 클로르프로파미드), 다이아베타(성분명은 글리부라이드) 등 장기지속형 설포닐우레아 계열 당뇨병 치료제는 혈당이 갑자기 낮아져 쇼크(저혈당 쇼크)를 일으킬 수 있다. 정신이 혼미해지고, 몸이 떨리고, 땀이 나고, 배가 고프고, 피곤해진다. 저혈당 상태가 심하거나 오래 지속되면 발작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하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니 증상이 사라지지 않으면 서둘러 병원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항콜린제

과민성대장증후군, 우울증, 파킨슨병 환자는 항콜린제를 처방받을 수 있다. 이 약은 특히 노인에게 흐릿한 시야, 혼란, 구강 건조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나이든 사람은 부작용으로 소변을 보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항콜린제와 비슷한 약물에는 일부 감기약, 우울증약, 근육이완제, 항히스타민제 등이 있다.

항히스타민제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는 항히스타민제를 처방받는다. 이 약을 먹으면 재채기가 멈춘다. 일부 항히스타민제는 심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나이든 사람을 졸리고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 낙상 사고 위험을 확 높일 수 있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647832/%ea%b7%bc%ec%9c%a1%ed%86%b5-%ec%95%bd-%eb%a8%b9%ea%b3%a0-%ec%96%b4%ec%a7%80%eb%9f%ac%ec%9b%8c-%ec%bd%b0%eb%8b%b9-%ec%9c%84%ed%97%98%ec%9c%84%ed%97%98/


  1. 대흥동헬스 몸에 단백질이 부족하다는 신호?

    감기에 피로감, 단백질 부족 신호? 추운 겨울이기는 하지만 툭하면 콧물이 흐르고 자꾸 아프거나 푹 쉰 것 같은데도 계속 피곤하다면 우리 몸에 ‘단백질’이 더 필요하다는 신호일 수 있다. 근육량을 늘릴 뿐 아니라 건강을 유지하는데 꼭 필요한 ...
    Date2024.01.26 Byflexmun Views311
    Read More
  2. 도화동헬스 폐건강에 좋은 음식과 나쁜음식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단은 폐를 포함해 신체를 튼튼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폐를 건강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음식 섭취를 목표로 해야 한다. 특히 가공식품을 적게 먹고, 식물성 식품을 더 많이 먹는 게 좋다. 또한 폐를 최상의 상...
    Date2024.01.25 Byflexmun Views289
    Read More
  3. 염리동헬스 100% 과일주스의 배신

    100% 과일주스의 배신?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서 맛있게 믿고 마신 ‘100% 과일주스’. 모두 과일로 이뤄져서 좋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오히려 이런 과일주스들이 체중을 증가시킬 수 있어 섭취량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Date2024.01.18 Byflexmun Views260
    Read More
  4. 용강동 헬스 색깔별 최고의 음식들

    건강에 좋은 식품에 관해서 “무지개를 먹어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이는 무지개 색깔처럼 다양한 음식을 먹었을 때 전반적인 건강이 좋아진다는 뜻이다. 미국의 시사 주간지 ‘유에스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U.S. News & World Rep...
    Date2024.01.15 Byflexmun Views256
    Read More
  5. 공덕동헬스 탄수화물에 대한 오해

    건강한 식습관을 실천하려는 사람들에게 탄수화물은 ‘적’ 취급을 받을 때가 있다. 하지만 탄수화물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주요 영양소 중 하나다. 무조건 먹지 않으려고 하기보다는 건강한 종류의 탄수화물을 적당히 먹는 게 좋다. 탄수화물에 ...
    Date2024.01.11 Byflexmun Views316
    Read More
  6. 아현동헬스 주름을 예방하는데 가장 좋은 음식

    “주름 펴려면 ‘이것’ 먹어라”…美피부과 의사가 권한 하루 양은? 주름없는 피부를 유지하려면 아몬드를 먹으면 좋다는 미국 피부과 의사의 주장이 나왔다. 양은? 하루 세 줌씩. 최근 미국 매체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미국의 피...
    Date2024.01.05 Byflexmun Views321
    Read More
  7. 공덕헬스 흔히 먹는 약들의 부작용을 조심하자

    나이든 사람은 약 때문에 빙판길에 넘어지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진통제, 수면제 등 각종 약을 먹는 데 신경을 써야 한다. 몸이 예전 같지 않아 이상한 약물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소화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젊었을 때처럼 약물을 빨리 흡수...
    Date2023.12.21 Byflexmun Views373
    Read More
  8. 공덕역헬스 아침 공복에.. 최악의 습관 vs 좋은 음식은?

    아침 기상 직후는 몸의 신진대사가 뚝 떨어진 상태다. 몸속에 수분도 부족해 피도 끈끈해져 있어 혈관병 위험이 높다. 7~8시간 이상 공복 상태라 위 벽도 민감해져 있다. 이때 무엇을 먹을까? 바쁘다는 핑계로 아무 것도 먹지 않고 출근할까? 가장 위험한 행...
    Date2023.12.21 Byflexmun Views274
    Read More
  9. 대흥동헬스 이것을 먹으면 뼈에 구멍이 숭숭....

    뼈의 강도가 약해지는 골다공증이 걱정되는 사람들은 칼슘과 비타민 D를 복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보충제는 뼈 건강에 도움이 되지만 해가 될 수도 있다. 미국 보스턴에 있는 브리검 여성 병원의 정형외과 부교수인 리즈 매츠킨 박사는 “칼슘과 비타민 ...
    Date2023.12.20 Byflexmun Views214
    Read More
  10. 도화동헬스 술먹은 다음날 운동으로 숙취를 제거할수 있을까?

    숙취는 이튿날까지 깨기 아니하는 취기를 말한다. 연말 술자리 모임이 많은 시기다. 술자리는 즐거웠지만 끝나고 나면 숙취 때문에 항상 고생이다. 머리는 깨질 듯 아프고 속은 울렁거리고 몸에서도 알코올 냄새가 진동한다. 오랜만에 과음했다면, 알코올이 ...
    Date2023.12.13 Byflexmun Views4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