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조회 수 46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심부전방선 – 내전근

네 발 달린 동물은 앞 뒤쪽으로만 발달되고 옆으로 벌어질 일이 없기 때문에 내전근이 발달되지 않았다. 장경인대처럼 특별히 직립보행하는 인간에게 더 발달된 근육이다. 내전과 내회전 고관절 신전에 개입된다. 

치골쪽에 붙은 근육: 가로 방향. 다리를 모으는데 특화됨.

좌골쪽에 붙은 근육: 세로 방향. 깊게 앉을 때 개입되는 대내전근이 포함됐다. 

내전근들은 하지가 불안정하면 더 동원되게 된다. 스키 타고 무릎이 아픈 사람들은 고관절 외전근을 잘 사용하지 못 해 내전근을 사용하여 무릎이 안으로 더 모아져서 그렇다. 무릎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지면이 불안정해 내전근이 더 우세하게 된 것이다.

빠른 속도의 방향 전환을 할 때 내전근은 신잔성수축을 하여 고관절을 안정시킨다. 방향전환을 할 때, 반대발로 딛고 방향전환을 하는 것은 보폭을 확보하여 속도를 늦추지 않고 방향 전환을 하기 위함이다. 그 과정에서 고관절 외전근과 신전근이 많이 개입이 되는데, 골반이 불안정해지지 않게 특히 치골쪽 내전근들은 빠르게 늘어나는 신장성 수축을 한다. 방향전환을 많이 하는 스포츠선수가 외측근육들에 비해 내전근이 약하면, 사타구니쪽(장내전근)이 파열 될 수 있다.

 


  1. 염리동피티 심부전방선 장골근 대요근

  2. 공덕동피티 심부전방선 장내전근 대내전근

  3. 공덕피티 심부전방선 치골근 단내전근

  4. 공덕헬스 심부전방선 – 내전근

  5. 아현동헬스 표면전방선 – 봉공근 거위발건

  6. 용강동헬스 표면전방선 – 대퇴근막장근

  7. 도화동헬스 표면전방선 대퇴사두 탐구

  8. 마포헬스 표면전방선 내측광근 외측광근

  9. 대흥동헬스 표면전방선 중간광근 대퇴직근

  10. 염리동헬스 심부전방선 슬와근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