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술에 취해 팔이나 다리가 굽어져 잠들 때가 있습니다. 알코올로 통제된 뇌에 통증 전달이 더뎌 팔이 저린지 다리가 저린지 모르죠. 이럴 때 주의해야 할 질환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구획증후군. 다리나 몸통이 다른 신체 부위를 누르는 자세가 지속될 경우 근육이 썩는 구획증후군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실제로 캐나다에 사는 36세 여성 줄리아 앤더슨은 술에 취해 무릎을 꿇은 자세에서 앞으로 엎드려 자다가 종아리 조직이 썩어버린 일이 생겼습니다. 종아리 부위에 구획증후군이 생긴 건데요.  더 오래 이 자세로 있지 않았고 제때 응급수술을 받았지만 아찔했습니다. 하마터면 다리를 절단해야 할 지경이었죠. 종아리에 피가 안통해 괴사된 것이었습니다. 앤더슨은 허벅지 피부를 떼내어 종아리에 이식하는 수술을 받았습니다. 투석 치료도 이어가야 했지요. 1년간 심한 통증으로 진통제를 복용해야 했고, 3년이 지난 후에도 발끝이 저리고 제대로 걷기 어려운 후유증을 겪고 있습니다.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할 정도로 술을 마시고 팔이나 다리를 구부린 채 잠이 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이유입니다. 구획증후군은 이외에도 △매우 단단한 붕대 또는 석고 깁스를 오래 한 경우 △뱀에 물린 경우 △심한 화상 △심한 타박상 △아나볼릭 스테로이드(근육 키우는 도핑용 스테로이드) 사용 △혈액 순환이 차단된 후 혈류가 축적된 경우 △달리기, 자전거 타기, 조정과 같은 반복적인 운동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미국 메이요클리닉에 따르면 우리 몸 하체와 상체에는 근육이 한 덩어리를 이루며 여러 구획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가령 다리에는 4개의 구획이 있습니다. 구획증후군은 보통 몸의 양쪽 팔다리 구획, 하체 구획에서 발생합니다. 보통 해당 구획을 압박하는 요인을 중단하면 15분 이내에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다만 오랜 시간 팔 다리 한쪽이 강하게 눌린 채 고정되면 림프액, 혈액이 원활하게 돌 수 없겠죠. 이로 인해 부종이 심해지면서 근육 구획 내 압력이 증가합니다. 문제는 이 근육 구획 부위를 지나는 동맥이 더 압박될 경우입니다. 말단부 혈액 공급이 차단되면 피가 돌 수 없죠. 이런 피 막힘 시간이 4~8시간 동안 지속되면 구획 내 근육이나 다른 연부조직이 괴사합니다. 즉 살이 썩습니다.

구획증후군이 생기기 시작하면 피가 안도는 부위가 먼저 창백해집니다. 부종, 감각 장애, 마비, 심한 통증 등이 나타납니다. 심하면 맥박도 떨어집니다. 한 자세로 짓눌려 있다가 이러한 증상이 느껴지면 바로 해당 부위에 가해지던 외부 압력을 바로 제거해야 합니다. 외부 압력을 제거한 후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병원에 바로 가야 합니다. 조직이 썩는 것을 막기 위해서 근막을 절개해 구획 내 압력을 떨어뜨리는 응급 수술을 받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늦지 않고 바로 수술하면 68%~70% 정상 기능 회복이 가능합니다. 구획증후군이 생기고 12시간 이상 지난 후에는 그 회복 정도는 낮아집니다. 이 시간이 지났을 시 근막 절개술을 받아도 8% 정도만 정상 기능을 회복한다고 보고됩니다.

구획 증후군은 근육 구획 내의 조직 압력을 측정하여 진단 할 수 있습니다. 측정한 압력이 30mmHg를 초과한다면 구획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구획증후군이 의심되면 압박하는 요인을 빠르게 없애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원인에 따라 조치를 취해야 하죠. 깁스나 붕대로 생기는 구획증후군도 흔한 만큼, 병변 주위를 감싸고 있는 붕대나 드레싱, 석고 붕대를 신속히 제거하도록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654130/%eb%a7%8e%ea%b1%b4%eb%b6%80-%ec%88%a0-%ec%b7%a8%ed%95%b4-%eb%8b%a4%eb%a6%ac-%ea%b5%ac%eb%b6%80%eb%a6%b0-%ec%b1%84-%ec%9e%90%eb%a9%b4-%ec%95%88%eb%90%98%eb%8a%94-%ec%9d%b4%ec%9c%a0%eb%8a%94/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대흥동피티 걸음수에 따른 건강효과

    하루에 걷는 걸음 수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꽤 크다. 걷는 목적에 따라 걸음 수를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신뢰도가 높은 미국 건강포털 ‘웹엠디(WebMD)’는 ‘걷기와 건강에 대해 정말 알아야 할 모든 것’을 다음과 같이 소개했다...
    Date2024.01.21 Byflexmun Views396
    Read More
  3. 도화동 피티 매일 유산소운동을 해도 살이 안빠지는 이유

    살을 빼기 위해 매일 걷고 뛰는 등 유산소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매일 힘들게 달려도 살이 안 빠지거나 더디게 빠지는 걸 느낀다. 유산소운동이 살 빼는 데는 별로 도움이 안되는 것일까? 체중 감량을 목표로 할 땐 전략을 달리 해야 한다. 저강도의 유...
    Date2024.01.18 Byflexmun Views327
    Read More
  4. 공덕동 피티 물을 안먹고 운동을 심하게 하면 근육이 녹아 내린다.

    #.29세 직장인 A 씨는 ‘바디 프로필'(바프) 사진 촬영을 새해 목표로 정했다. 30대를 앞두고 건강한 자신의 모습을 사진으로 남겨두려는 이유에서다. 주 5일 헬스장에 출근 도장을 찍고, 집이나 회사에서도 쉬는 시간마다 운동 영상을 보며 따라 했...
    Date2024.01.17 Byflexmun Views374
    Read More
  5. 아현동 피티 술취해서 잘못 자면 근육이 썩을수 있다.

    술에 취해 팔이나 다리가 굽어져 잠들 때가 있습니다. 알코올로 통제된 뇌에 통증 전달이 더뎌 팔이 저린지 다리가 저린지 모르죠. 이럴 때 주의해야 할 질환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구획증후군. 다리나 몸통이 다른 신체 부위를 누르는 자세가 지속될 경우 ...
    Date2024.01.14 Byflexmun Views499
    Read More
  6. 용강동 헬스장 남성이 여성보다 대장암이 많은이유

    인체에 유익한 세균인 유산균과 낙산균이 대장암·대장선종 등 대장 질환 발병률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성의 대장암 발병률이 남성보다 크게 낮은 이유도 여성에게 해당 균들이 더 많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
    Date2024.01.09 Byflexmun Views382
    Read More
  7. 마포헬스 운동에 대한 오해 8가지

    운동은 두말 할 필요도 없이 건강에 유익한 활동이다. 하지만 잘못된 방식으로 할 경우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미국 리먼칼리지 운동과학부 브래드 쇼엔펠드 교수는 끊임없이 발전하는 과학과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하는 수많은 인플루언서들 덕분에 운동 ...
    Date2024.01.09 Byflexmun Views465
    Read More
  8. 염리동헬스 신장 건강을 지키위해서 해야할 것들

    보통 주먹만 한 신장(콩팥)은 아래쪽 배의 등 쪽에 좌우 한 쌍이 있다. 신장은 노폐물을 배설하고 산 염기 및 전해질 대사 등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중요한 장기 중 하나다. 양쪽 신장의 총 무게는 전체 체중의 약 0.4%에 지나지 않지만 기능이...
    Date2024.01.07 Byflexmun Views376
    Read More
  9. 대흥동헬스 2023년 새롭게 밝혀진 운동효과들

    왜 많은 사람이 헬스클럽의 러닝머신 위에서 땀을 뻘뻘 흘릴까? 힘들게 땀을 빼면 충분한 보상이 뒤따른다. 미국 과학문화포털 ‘스터디파인즈(Studyfinds)’가 ‘2023년 밝혀진 운동의 효과: 땀 빼면 좋은 놀라운 이유 5가지’를 소개했...
    Date2024.01.04 Byflexmun Views401
    Read More
  10. 도화동헬스 2024년 남성운동 트랜드 힙업이다.

    탄탄하게 봉긋 솟은 애플힙을 갖고자 하는 건 이제 여성뿐만이 아닌 듯 하다. 피트니스 및 패션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엉덩이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남성들의 노력이 눈에 띄게 늘었다. 이들은 팬데믹을 전환점으로 남성들 또한 옷을 입었을 때 몸매가 어...
    Date2024.01.03 Byflexmun Views402
    Read More
  11. 공덕동헬스 알지만 못했던 것들 2024년에 해보자

    ‘돈을 잃으면 조금 잃는 것이고, 명예를 잃으면 많이 잃지만,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는다’. 인생에서 건강이 얼마나 중요한지 일깨워주는 격언이다. 이처럼 소중한 건강을 지키는 비결은 건강한 생활 습관에서 나온다. 이와 관련해 미국 건...
    Date2023.12.24 Byflexmun Views34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