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조회 수 65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심부전방선 – 장골근

골반쪽에서 일을 가장 많이 하는 고관절 굴곡근으로 골반을 걸쳐가기에 아주 강력하다. 서 있을 때 골반의 앞쪽을 잡아 고관절이 갑작스럽게 신전되지 않게 안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장골근의 기능이 떨어지면 대퇴골두가 앞으로 빠져나오려는 힘이 강해져 허리가 평평하고 고관절이 신전된 스웨이백 자세가 된다. 이 때 고관절 스트레칭을 하면 장골근 정지부가 원래 길이보다 더 늘어나 길고 뻣뻣해지게 된다. 이 때 레그레이즈와 같은 동작을 할 때 골반 안쪽이 튕기는 느낌이 드는데, 이는 장골근 위에서 대요근이 수축하는 과정에서 튕겨지는 것이다. 등척성 수축을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다.

1.JPG

 

2.JPG

 

 

심부전방선 – 대요근

서 있을 때 허리가 뒤로 젖히지 않게 잡아주는 안정근육이다.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폭발적 달리기를 할 때 쓰여진다. 관절축에 가까이 붙으면 힘의 이득은 없지만 움직임의 이득이 있다. 대요근은 소전자에 붙어 뒤에서 앞으로 강하게 잡아당기기에 고관절을 아주 빠르게 굴곡 시킬 수 있다. 농구나 축구처럼 강한 스프린팅 운동을 반복하게 되면 대요근이 강하게 수축하여 허리를 과하게 잡아당길 수 있다. 허리를 많이 신전시키면 위뼈가 아래 뼈를 눌러 디스크 통증과는 다르게 뼈에 통증이 생긴다. 심부전방선인 대요근의 기능이 떨어지면 표면전방선인 대퇴직근이 과활성하게 되어 고관절 굴곡이 잘 안 된다. 서 있는 상태에서 한 쪽 다리를 들고 무릎을 90도 굽힌 상태에서 아래로 밀 때 버텨내지 못하면 대요근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이고, 전상장골극쪽에 쥐까지 나면 대퇴직근 기능까지 떨어져 대퇴근막장근을 사용하는 것이다.

3.JPG

 


  1. 염리동피티 심부전방선 장골근 대요근

  2. 공덕동피티 심부전방선 장내전근 대내전근

  3. 공덕피티 심부전방선 치골근 단내전근

  4. 공덕헬스 심부전방선 – 내전근

  5. 아현동헬스 표면전방선 – 봉공근 거위발건

  6. 용강동헬스 표면전방선 – 대퇴근막장근

  7. 도화동헬스 표면전방선 대퇴사두 탐구

  8. 마포헬스 표면전방선 내측광근 외측광근

  9. 대흥동헬스 표면전방선 중간광근 대퇴직근

  10. 염리동헬스 심부전방선 슬와근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