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조회 수 65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심부전방선 – 장골근

골반쪽에서 일을 가장 많이 하는 고관절 굴곡근으로 골반을 걸쳐가기에 아주 강력하다. 서 있을 때 골반의 앞쪽을 잡아 고관절이 갑작스럽게 신전되지 않게 안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장골근의 기능이 떨어지면 대퇴골두가 앞으로 빠져나오려는 힘이 강해져 허리가 평평하고 고관절이 신전된 스웨이백 자세가 된다. 이 때 고관절 스트레칭을 하면 장골근 정지부가 원래 길이보다 더 늘어나 길고 뻣뻣해지게 된다. 이 때 레그레이즈와 같은 동작을 할 때 골반 안쪽이 튕기는 느낌이 드는데, 이는 장골근 위에서 대요근이 수축하는 과정에서 튕겨지는 것이다. 등척성 수축을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다.

1.JPG

 

2.JPG

 

 

심부전방선 – 대요근

서 있을 때 허리가 뒤로 젖히지 않게 잡아주는 안정근육이다.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폭발적 달리기를 할 때 쓰여진다. 관절축에 가까이 붙으면 힘의 이득은 없지만 움직임의 이득이 있다. 대요근은 소전자에 붙어 뒤에서 앞으로 강하게 잡아당기기에 고관절을 아주 빠르게 굴곡 시킬 수 있다. 농구나 축구처럼 강한 스프린팅 운동을 반복하게 되면 대요근이 강하게 수축하여 허리를 과하게 잡아당길 수 있다. 허리를 많이 신전시키면 위뼈가 아래 뼈를 눌러 디스크 통증과는 다르게 뼈에 통증이 생긴다. 심부전방선인 대요근의 기능이 떨어지면 표면전방선인 대퇴직근이 과활성하게 되어 고관절 굴곡이 잘 안 된다. 서 있는 상태에서 한 쪽 다리를 들고 무릎을 90도 굽힌 상태에서 아래로 밀 때 버텨내지 못하면 대요근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이고, 전상장골극쪽에 쥐까지 나면 대퇴직근 기능까지 떨어져 대퇴근막장근을 사용하는 것이다.

3.JPG

 


  1. 염리동피티 심부전방선 장골근 대요근

    심부전방선 – 장골근 골반쪽에서 일을 가장 많이 하는 고관절 굴곡근으로 골반을 걸쳐가기에 아주 강력하다. 서 있을 때 골반의 앞쪽을 잡아 고관절이 갑작스럽게 신전되지 않게 안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장골근의 기능이 떨어지면 대퇴골두가 앞으로 ...
    Date2024.01.28 Byflexmun Views655
    Read More
  2. 공덕동피티 심부전방선 장내전근 대내전근

    심부전방선 – 장내전근 발의 위치가 중립 보다 조금 더 벌어진 상태일 때 안쪽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대내전근 하부와 주행 방향이 같아 장력을 공유한다. 중간속도 달리기의 뒤꿈치 닿기에서 고관절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달리는 속도가 빠르...
    Date2024.01.21 Byflexmun Views545
    Read More
  3. 공덕피티 심부전방선 치골근 단내전근

    심부전방선 – 치골근 치골 앞쪽에 붙은 가장 안쪽의 짧은 근육, 내전에 개입한다. 치골의 위치를 안정시키기 때문에 특히 임산부들한테 무릎 사이에 볼을 끼우는 브리지 훈련을 많이 시킨다. 다리를 꼬거나 고관절이 굴곡 내회전 된 상태에서 모으면 치...
    Date2024.01.21 Byflexmun Views451
    Read More
  4. 공덕헬스 심부전방선 – 내전근

    심부전방선 – 내전근 네 발 달린 동물은 앞 뒤쪽으로만 발달되고 옆으로 벌어질 일이 없기 때문에 내전근이 발달되지 않았다. 장경인대처럼 특별히 직립보행하는 인간에게 더 발달된 근육이다. 내전과 내회전 고관절 신전에 개입된다. 치골쪽에 붙은 근...
    Date2024.01.07 Byflexmun Views455
    Read More
  5. 아현동헬스 표면전방선 – 봉공근 거위발건

    표면전방선 – 봉공근 대퇴근막장근과 협력하여 같이 고관절을 굴곡 시키는 기능을 하지만 대퇴골두를 앞으로 잡아당긴다. 고관절이 내회전된 자세에서 굴곡하거나 무릎관절이 회전될 때 과활성화 되는데,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을 할 때 무릎 내측에 수...
    Date2024.01.07 Byflexmun Views491
    Read More
  6. 용강동헬스 표면전방선 – 대퇴근막장근

    표면전방선 – 대퇴근막장근 전상장골극 가장 앞쪽 바깥에 위치하고 센서의 역할을 한다. 한 쪽 다리로 서고 직립보행 할 수 있는 인간만이 대퇴근막장근이 발달한다. 골반의 위치를 가장 빠르게 감지하여 다리 위치 변화시 고관절의 모든 움직임들을 감...
    Date2024.01.07 Byflexmun Views425
    Read More
  7. 도화동헬스 표면전방선 대퇴사두 탐구

    대퇴사두 탐구1 슬관절 각도에 따라 대퇴사두의 동원이 달라질 수 있다. 대퇴골과 무릎의 위치가 같은 클래식 스쿼트에선 대퇴직근과 외측광근의 근비대가 목적이지만, 하프스쿼트는 대퇴직근과 내측광근, 풀스쿼트처럼 대퇴골이 무릎보다 더 깊게 앉는 동작에...
    Date2023.11.26 Byflexmun Views453
    Read More
  8. 마포헬스 표면전방선 내측광근 외측광근

    표면전방선 – 내측광근 대퇴사두 중 가장 두껍고 슬관절 가장 가까이 발달되어 무릎관절 신전에 가장 많이 개입한다. 무릎이 불안정 할 때 가장 먼저 개입해서 무릎관절을 안정시켜주려 한다. 내측광근은 섬유방향이 사선방향과 장축방향 섬유 두 가지...
    Date2023.11.26 Byflexmun Views598
    Read More
  9. 대흥동헬스 표면전방선 중간광근 대퇴직근

    표면전방선 – 중간광근 대퇴사두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고 슬개골 가까이에 있어 유일하게 안정성을 담당하고 있는 근육이다. 기능은 안정성을 담당하지만 표면전방선에 속한다. 기마자세처럼 등척성 수축을 할 때 많이 쓰인다. 검도처럼 무릎을 굽힌 채...
    Date2023.11.19 Byflexmun Views562
    Read More
  10. 염리동헬스 심부전방선 슬와근

    심부전방선 – 슬와근 무릎 관절 뒤에서 유일하게 무릎 관절을 안정시켜주는 근육. 비복근이 안쪽과 바깥쪽을 덮고 있고 관절 주머니 안쪽으로 붙는 특이한 근육이다. 가장 심부에 붙어 기장 크게 안정성에 기여한다. 슬와근은 일을 많이 하기 때문에 정...
    Date2023.11.12 Byflexmun Views42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