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신체 활동이 늘면 운동 효과가 커 건강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직업적인 신체활동은 오히려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가 시간의 운동은 심혈관질환·당뇨병·암 예방 등 효과가 있는 데 비해 직업적 신체활동은 심장병이나 당뇨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신체활동의 역설’인 셈이다.

지금까지 한국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없던 가운데 최근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강모열 교수팀이 한국 직장인 5501명을 대상으로 추적조사를 진행해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 표본에는 △사무직 △생산직 △서비스직 등 노동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직장인이 모두 포함됐다.

조사 결과, 여가 시간의 신체활동은 근로능력은 높이고, 건강과 관련된 노동생산성 손실을 적게했다. 반면 직업적인 신체활동은 근로능력을 낮추고 건강관련 노동생산성 손실을 크게 했다.

‘건강관련 노동생산성 손실’은 건강 상태가 좋지 못해 결근을 하거나 출근은 했지만 육체·정신적 컨디션이 좋지 못해 업무효율성을 떨어지는 상황을 말한다. 즉 고된 노동은 향후 노동 생산성도 갉아 먹는다는 의미다. .

강모열 교수는 “운동과 같은 여가시간의 신체활동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근로능력과 노동생산성을 높일 수 있었다”며 그러나 “직장에서의 과도한 신체부담은 오히려 그 반대로 건강을 악화해 결국 근로능력과 노동생산성을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 참여자의 모든 직업군에서 동일한 양상이 발견된 것은 아니다. 강 교수는 “생산직과 같이 일의 강도가 높은 작업군에서 (이같은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며 “힘든 일을 하는 분들이 병결이나 출근 후 무기력을 호소하는 등 건강악화 현상이 두드러졌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직업적으로 신체 활동이 많으면 그만큼 운동량이 많아져 건강할 것이란 생각을 할 수 있다”며 그러나 “이는 잘못된 상식이다. 오히려 신체 능력과 건강이 나빠지고, 심혈관질환, 정신질환 등 질병에 대한 노출 정도가 더 높다”고 덧붙였다.

여가시간에 하는 운동, 직업적 신체 활동 뭐가 다를까?

같은 신체 활동이라도 신체 부담이 다르고 비자발적 운동이라는 점이 이같은 차이를 만들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강 교수는 “직업 환경에서 하는 신체 활동은 유산소 운동이 아닌, 전신 근육에 무리를 주는 활동일 가능성이 높다”며 “여가시간 운동은 휴식을 병행해 조절할 수 있지만, 근무는 강제성이 있어 쉴 때 쉬지 못해 전신에 염증 반응과 스트레스 수준을 높여 온갖 병에 노출된다”고 말했다.

한편, 60세 이상 직업적인 신체 활동을 많이 하는 근로자는 여가시간의 운동도 건강에 무리를 주고 노동생산성도 떨어뜨릴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고강도 노동을 하면서 여가시간 운동도 함께하는 경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658632/%eb%a7%89%eb%85%b8%eb%8f%99%ec%9c%bc%eb%a1%9c-%eb%8f%88%ea%b3%bc-%ea%b7%bc%ec%9c%a1-%eb%aa%a8%eb%91%90-%ec%9e%98%eb%aa%bb%ed%95%98%eb%8b%a4%ea%b0%84-%ec%8b%ac%ec%9e%a5%eb%b3%91-%ec%9c%84/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6318
    read more
  2. 도화동피티 운동 한번에 몰아서 해도 효과있을까?

    주말에 몰아서 운동해도 충분히 체중 감량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성인 기준 일주일에 적당한 강도의 신체활동을 최소 150분 이상, 혹은 격렬한 강도로 75분 이상 할 것을 권하는데, 이 권장 수준을 충족한다면 규칙적으로 운...
    Date2024.02.23 Byflexmun Views512
    Read More
  3. 공덕동 피티 살뺄려면 얼마나 빨리 걸어야 할까?

    수명을 늘리고 건강을 지키기 위해 ‘걷기’ 등 꾸준한 유산소 운동이 중요하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걷기는 언제 어디서나 쉽게, 누구나 할 수 있으면서도 ‘체중 감량’에도 도움되는 운동으로 살을 빼기 위해 ‘걷기&rs...
    Date2024.02.19 Byflexmun Views435
    Read More
  4. 아현동피티 이것 지키면 오십견 예방할수 있다.

    어깨의 무리한 사용과 운동 중 부상, 장시간 컴퓨터 기기 및 스마트폰 사용 등으로 인해 어깨질환자가 늘고 있다. 전 국민의 약 30%가 크고 작은 어깨질환에 시달린다는 조사도 있다. 이 중 ‘동결견’은 어깨 관절과 관절을 싸고 있는 낭(주머니)...
    Date2024.02.15 Byflexmun Views690
    Read More
  5. 용강동피티 명절때 찐살 감량에 최적기는?

    명절 연휴에 기름진 음식과 술로 얻은 ‘급찐살’(급하게 찐 살)은 아직 지방이 아닌 몸 속 다당류인 글리코겐 형태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글리코겐이 지방으로 바뀌기 전인 2주가 급찐살 감량을 위한 골든타임이다. 평소보다 많은 양의 음식을 ...
    Date2024.02.14 Byflexmun Views584
    Read More
  6. 마포피티 유산소보다 혈압을 낮추는데 이운동을 해라

    활발하게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 등은 고혈압 조절을 위해 의사들이 권장하는 운동들이다. 그런데 이런 유산소 운동보다 플랭크, 월시트 등 등척성 운동이 고혈압을 낮추는데 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Exercise training and resting blood pressure: a ...
    Date2024.02.12 Byflexmun Views359
    Read More
  7. 염리동피티 콜레스테롤 줄이는 11가지 팁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심장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그러나 좋은 소식은 통제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이라는 것이다. 몇 가지 간단한 변화로 나쁜 콜레스테롤(LDL)은 낮추고, 좋은 콜레스테롤(HDL)은 높일 수 있다. 미국 뉴욕시 레녹스 힐 병원의 심장 ...
    Date2024.02.08 Byflexmun Views471
    Read More
  8. 대흥동피티 사망위험율을 낮추는 최고의 운동조합

    각종 사망 위험을 낮추는 데 가장 효과적인 운동 조합은 주 2회 근육 운동, 중간 강도의 유산소 운동, 격렬한 유산소 운동 등 세 가지를 적절히 혼합한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시드니대 보건대학원 연구팀은 미국 국민건강 면접조사 데이터(1997~...
    Date2024.02.07 Byflexmun Views489
    Read More
  9. 도화동피티 손바닥으로 보는 건강상태 11가지

    손은 ‘인체의 축소판’이라 불린다. 특히 한의학계에는 손과 건강의 관계를 다루는 이론들이 널리 전해져 왔다 한의학계에서는 전부터 손을 몸 전체의 건강을 진단할 수 있는 지표로 삼아왔다. 예를 들어 손바닥이 뜨거우면 배가 뜨겁고, 손바닥이...
    Date2024.02.04 Byflexmun Views590
    Read More
  10. 공덕동 피티 단식과 몸속 염증의 연관성

    단식은 우리 몸에 어떤 변화를 만들까? 영국 캠브리지 대학 연구진들은 최근 단식이 만성염증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캠브리지 대학 의과대학 클레어 브라이언트 교수팀을 비롯한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 for Hea...
    Date2024.02.01 Byflexmun Views468
    Read More
  11. 아현동 피티 운동과 일 똑같은 신체활동일까?

    신체 활동이 늘면 운동 효과가 커 건강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직업적인 신체활동은 오히려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가 시간의 운동은 심혈관질환·당뇨병·암 예방 등 효과가 있는 데 비해 직업적 ...
    Date2024.01.30 Byflexmun Views5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05 Next
/ 10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