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조회 수 35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경추는 관절 자체의 가동성이 커서 사이가 매우 느슨하다. 경추를 안정시켜주는 근육들이 약해지면 분절적인 움직임이 잘 일어나지 않아 한꺼번에 움직이게 되고 경추뼈에 압박이 증가하게 된다. 요추 디스크는 사이즈 자체가 크고 섬유륜이 20겹이라 잘 안터지는데 비해 경추쪽 디스크는 얇고 섬유륜도 10겹이라 허리보다 손상되기 쉬운 부위이다. 아이폰 보급이후 7년사이에 목디스크 환자가 병원에 내원하는 숫자가 7배나 늘었다고 한다. 

 

심부전방선 – 두장근

 

두장근은 경추 3~6번 횡돌기에서 시작하여 경추1번 추체 앞에서 정지한다. 

경추 상부인 1,2번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1.JPG

 

 

심부전방선 – 경장근

경장근은 그 아래쪽을 잡아주는 역할. 

목 뼈 앞뿐만 아니라 등뼈 앞쪽까지 붙는다. 

 

경추의 분절적인 굴곡을 조절하여 목 앞 쪽의 안정성을 담당하는 근육은 두장근과 경장근이다. 경추는 등이 굽혀지고 4번의 중심뼈가 펴져서 앞 뒤쪽 근육의 길이가 정상적인 만곡의 형태를 유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등을 편 꼿꼿한 자세는 정상적인 자세가 아닌 뻣뻣한 자세이다. 머리가 몸의 질량중심점보다 뒤로 이동하게 되면 경장근과 두장근이 원래 길이보다 짧아져 과활성하게 되고 경추의 만곡이 사라져 편평해진다. 흉골 상부에 손가락을 짚고 머리를 굽혔을 때 턱이 닿지 않는다면 경추의 분절적인 굴곡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앉아서 동작을 했을때 중력이 굴곡근으로 사용되어 서서 했을때 보다 더 쉽게 굴곡이 일어나야 된다. 이 때 등을 굽히고 턱을 앞으로 내밀면 굽혀지게 된다. 거북이처럼 과하게 전인하면 표면후방선이 과활성되어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적당하게 턱을 당기는 연습을 해야 한다.

 

  1. 마포피티 심부전방선 두장근 경장근

    경추는 관절 자체의 가동성이 커서 사이가 매우 느슨하다. 경추를 안정시켜주는 근육들이 약해지면 분절적인 움직임이 잘 일어나지 않아 한꺼번에 움직이게 되고 경추뼈에 압박이 증가하게 된다. 요추 디스크는 사이즈 자체가 크고 섬유륜이 20겹이라 잘 안터...
    Date2024.03.10 Byflexmun Views357
    Read More
  2. 대흥동피티 표면전방선 – 2차 코어 근육 1)복직근 2)흉골근

    표면전방선 – 2차 코어 근육 / 복직근 내외복사근 중둔근 대둔근 척추기립근 무거운 무게를 들어 올릴때 코어를 안정시키기 위한 근육들은 2차 코어 근육이다. 데드리프트도 서서하는 코어 운동이다. 심부에서 안정성을 담당하는 1차 코어 근육이 잘 동...
    Date2024.02.25 Byflexmun Views438
    Read More
  3. 염리동피티 심부전방선 – 늑간근

    심부전방선 – 늑간근 (좌 파랑색) 들이쉬는 호흡(들숨): 보조호흡근과 주호흡근으로 나뉨. (우 빨강색) 내쉬는 호흡(날숨) 액티브 브레이싱을 하면 숨을 내쉴 때 복부의 모든 근육이 참여를 하게 되어 흉곽이 좁아지게 된다. 초보자들은 신장성 수축에 ...
    Date2024.02.25 Byflexmun Views453
    Read More
  4. 공덕동피티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2)횡경막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2)횡경막 대정맥을 통해 아래쪽에서 위로 혈액들이 회귀해야 하는 상황에서 과하게 힘을 주면 횡경막이 대동맥을 눌러서 기절할 수 있다. 척추의 안정성을 위해 발살바 호흡이 필요한 사람은 중량 데드리프트가 가능한 중고급...
    Date2024.02.18 Byflexmun Views402
    Read More
  5. 공덕피티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1)복횡근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1)복횡근 복횡근은 안정성을 담당하는 심부전방선 전체를 활성화시켜주는 스위치이다. 복횡근은 옆구리에 있고 앞 뒤쪽으로는 없다. 복횡근의 비어진 부분의 뒤쪽은 요방형근이, 앞쪽은 복직근이, 그 내부로는 복부건막이 커...
    Date2024.02.18 Byflexmun Views474
    Read More
  6. 아현동 피티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 복횡근 횡경막 골반기저근육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 복횡근 횡경막 골반기저근육 코어근육은 원래 무의식적 수축을 하는 근육들이다. 1차 코어 근육들은 몸통 쪽의 뼈가 비어 있는 공간을 채워 풍선효과처럼 일정한 압력을 만들어 골반과 척추 하부쪽을 안정시켜준다. 1차 코...
    Date2024.02.12 Byflexmun Views486
    Read More
  7. 용강동피티 심부전방선 – 고관절 심부 외회전근 2)상쌍자근 3)하쌍자근 4)내폐쇄근 5)외폐쇄근 6) 대퇴방형근

    심부전방선 – 고관절 심부 외회전근 2)상쌍자근 3)하쌍자근 4)내폐쇄근 5)외폐쇄근 내폐쇄근은 고관절을 회전할 때, 특히 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방향 전환을 할 때, 어깨에서 회전근 같은 역할을 한다. 이 기능들이 떨어지면 골반관절 안정성도 떨어진다...
    Date2024.02.12 Byflexmun Views482
    Read More
  8. 도화동피티 심부전방선 – 고관절 심부 외회전근1) 이상근

    심부전방선 – 고관절 심부 외회전근1) 이상근 이상근은 어깨 쪽에서 극상근과 같은 위치에 자리한다. 외회전근의 큰형님이다. 이상근쪽 근막이완은 팔꿈치같은 부위로 직접적으로 하면 힘줄이 벗겨져 염증이 생길 수 있으니 딱딱한 근막이완 도구볼로 하...
    Date2024.02.04 Byflexmun Views412
    Read More
  9. 마포피티 심부전방선 – 고관절심부 외회전근 그룹

    심부전방선 – 고관절심부 외회전근 그룹 항문 가까이에 있는 근육들은 골반 기저근육에도 해당된다. 대둔근에 덮여서 잘 안 보이는 근육들이다. 심부에서 안정성을 담당해주는 근육들이라 항상 동원되는데, 고관절 굴곡근들이 대퇴골두를 앞으로 뽑아가...
    Date2024.02.04 Byflexmun Views532
    Read More
  10. 대흥동피티 심부전방선 장요근(장골근 대요근) 탐구

    장요근(장골근+대요근)탐구 장요근 때문에 디스크가 터지진 않는다. 전력질주를 거의 하지 않는 현대인들은 장시간 앉아있어 기능이 떨어진 장요근 때문에 척추가 뒤로 넘어가 허리의 만곡이 사라지고 편평해진다. 가만히 서있을 때 허리에 통증이 발생한다면...
    Date2024.01.28 Byflexmun Views51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