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조회 수 4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표면전방선 – 흉쇄유돌근

경추를 자유롭게 움직이기 위해 가장 이상적인 위치에 있다. 앞쪽에서 시작해서 옆쪽으로 끝나기 때문에, 경추 굴곡 외에도 외측굴곡과 회전이 가능하다. 복직근과 복사근을 합쳐놓은 것 같은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지만 경추가 후인되어 머리가 원래 위치보다 뒤에 있으면 과활성되어 스트레스를 받는다. 목만 굽히게 되고 등을 같이 굽히지 못해 목이 아프게 된다. 

*턱을 당긴 상태에서 머리를 뒤로 젖히면 흉쇄유돌근이 수축되는걸 느낄 수 있다. 

2.JPG

 

경추가 후인되면 심부전방선이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어 표층전방선인 흉쇄유돌근이 과활성하게 되는데, 이 때 머리를 뒤로 젖히면 경추 4번 대신 경추 6, 7번에서 신전을 대신 하기 때문에 극돌기끼리 부딪치게 되어 통증을 느끼게 된다. 흉추는 굽히고 목을 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일부러 턱을 앞으로 당기고 경추를 신전하면 신전 범위가 증가되어 통증이 사라진다.

경추를 회전할 때 사용하는 근육은 경추 1, 2번을 회전하는 근육과 그 외 나머지를 회전하는 근육들로 나뉜다. 경추 1, 2번의 회전가동범위는 경추 전체 회전 가동 범위(80도)의 반인 40도가 나온다. 추가 후인되면, 후두하근이 원래 길이보다 길어져 수축을 못하게 되고 경추 1, 2번에서 회전하기가 힘들어 나머지 근육들이 대신 회전을 하게 된다. 등을 평평하게 만들고, 그 상태에서 좌우로 고개를 돌려보면 회전이 안 되는 느낌을 알 수 있다. 경추 1, 2번이 빠져 회전이 잘 안 되는 것인데, 이 때 회전을 위해 무리하게 동원되는 게 흉쇄유돌근과 판상근이다. 왼쪽으로 회전할 때 왼쪽의 판상근이 수축하고, 오른쪽 흉쇄유돌근이 수축하여 회전을 증가시켜주는데, 나머지 경추 뼈를 회전시켜준다. 표층근육이 머리를 아래로 잡아당기는 스트레스때문에 경추의 압박이 증가하여 머리를 조금만 돌려도 목이 아픈 것이다. 

3.JPG

 

목은 재활 운동을 했을 때, 허리보다 비용 대비 효율성이 떨어진다. 허리는 운동을 하면 통증이 나아지지만, 목은 그렇지 않다. 목은 상태가 좋지 않다면 우선 엑스레이와 같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목의 문제를 해결할 가장 좋은 방법은 등을 굽히고 목은 살짝 내밀고 펴서 목 주변과 등 주위 근육이 편안해 질 수 있는 좋은 정렬의 자세를 알려주는 것이다. 

 

경추는 약한데 몸통인 흉추와 요추의 근육이 강하면 목이 아플 가능성이 있다. 중량 스쿼트나 데드리프트를 했을때 후두까지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웨이트와 같은 고립 운동을 한다면 따로 목 운동도 반드시 해주는 것이 좋다.

 

  1. 도화동피티 표면전방선 흉쇄유돌근

    표면전방선 – 흉쇄유돌근 경추를 자유롭게 움직이기 위해 가장 이상적인 위치에 있다. 앞쪽에서 시작해서 옆쪽으로 끝나기 때문에, 경추 굴곡 외에도 외측굴곡과 회전이 가능하다. 복직근과 복사근을 합쳐놓은 것 같은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지만 경...
    Date2024.03.10 Byflexmun Views426
    Read More
  2. 마포피티 심부전방선 두장근 경장근

    경추는 관절 자체의 가동성이 커서 사이가 매우 느슨하다. 경추를 안정시켜주는 근육들이 약해지면 분절적인 움직임이 잘 일어나지 않아 한꺼번에 움직이게 되고 경추뼈에 압박이 증가하게 된다. 요추 디스크는 사이즈 자체가 크고 섬유륜이 20겹이라 잘 안터...
    Date2024.03.10 Byflexmun Views414
    Read More
  3. 대흥동피티 표면전방선 – 2차 코어 근육 1)복직근 2)흉골근

    표면전방선 – 2차 코어 근육 / 복직근 내외복사근 중둔근 대둔근 척추기립근 무거운 무게를 들어 올릴때 코어를 안정시키기 위한 근육들은 2차 코어 근육이다. 데드리프트도 서서하는 코어 운동이다. 심부에서 안정성을 담당하는 1차 코어 근육이 잘 동...
    Date2024.02.25 Byflexmun Views542
    Read More
  4. 염리동피티 심부전방선 – 늑간근

    심부전방선 – 늑간근 (좌 파랑색) 들이쉬는 호흡(들숨): 보조호흡근과 주호흡근으로 나뉨. (우 빨강색) 내쉬는 호흡(날숨) 액티브 브레이싱을 하면 숨을 내쉴 때 복부의 모든 근육이 참여를 하게 되어 흉곽이 좁아지게 된다. 초보자들은 신장성 수축에 ...
    Date2024.02.25 Byflexmun Views525
    Read More
  5. 공덕동피티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2)횡경막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2)횡경막 대정맥을 통해 아래쪽에서 위로 혈액들이 회귀해야 하는 상황에서 과하게 힘을 주면 횡경막이 대동맥을 눌러서 기절할 수 있다. 척추의 안정성을 위해 발살바 호흡이 필요한 사람은 중량 데드리프트가 가능한 중고급...
    Date2024.02.18 Byflexmun Views490
    Read More
  6. 공덕피티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1)복횡근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1)복횡근 복횡근은 안정성을 담당하는 심부전방선 전체를 활성화시켜주는 스위치이다. 복횡근은 옆구리에 있고 앞 뒤쪽으로는 없다. 복횡근의 비어진 부분의 뒤쪽은 요방형근이, 앞쪽은 복직근이, 그 내부로는 복부건막이 커...
    Date2024.02.18 Byflexmun Views517
    Read More
  7. 아현동 피티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 복횡근 횡경막 골반기저근육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 복횡근 횡경막 골반기저근육 코어근육은 원래 무의식적 수축을 하는 근육들이다. 1차 코어 근육들은 몸통 쪽의 뼈가 비어 있는 공간을 채워 풍선효과처럼 일정한 압력을 만들어 골반과 척추 하부쪽을 안정시켜준다. 1차 코...
    Date2024.02.12 Byflexmun Views533
    Read More
  8. 용강동피티 심부전방선 – 고관절 심부 외회전근 2)상쌍자근 3)하쌍자근 4)내폐쇄근 5)외폐쇄근 6) 대퇴방형근

    심부전방선 – 고관절 심부 외회전근 2)상쌍자근 3)하쌍자근 4)내폐쇄근 5)외폐쇄근 내폐쇄근은 고관절을 회전할 때, 특히 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방향 전환을 할 때, 어깨에서 회전근 같은 역할을 한다. 이 기능들이 떨어지면 골반관절 안정성도 떨어진다...
    Date2024.02.12 Byflexmun Views514
    Read More
  9. 도화동피티 심부전방선 – 고관절 심부 외회전근1) 이상근

    심부전방선 – 고관절 심부 외회전근1) 이상근 이상근은 어깨 쪽에서 극상근과 같은 위치에 자리한다. 외회전근의 큰형님이다. 이상근쪽 근막이완은 팔꿈치같은 부위로 직접적으로 하면 힘줄이 벗겨져 염증이 생길 수 있으니 딱딱한 근막이완 도구볼로 하...
    Date2024.02.04 Byflexmun Views455
    Read More
  10. 마포피티 심부전방선 – 고관절심부 외회전근 그룹

    심부전방선 – 고관절심부 외회전근 그룹 항문 가까이에 있는 근육들은 골반 기저근육에도 해당된다. 대둔근에 덮여서 잘 안 보이는 근육들이다. 심부에서 안정성을 담당해주는 근육들이라 항상 동원되는데, 고관절 굴곡근들이 대퇴골두를 앞으로 뽑아가...
    Date2024.02.04 Byflexmun Views55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